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박종진의 과학 이야기] 블랙홀 물리학

우주를 이루는 가장 기본단위는 별이다. 밤하늘에 반짝이는 무수히 많은 별 중에는 북극성도 있지만, 우리가 사는 지구가 속한 별인 태양도 사실 그 중 하나다. 태양과 같은 별이 수천억 개가 모여서 은하를 이루고 그런 은하가 또 수천억 개가 모여서 비로소 우주가 된다.     슈퍼컴퓨터를 시뮬레이션 하면 은하들이 마치 거미줄처럼 퍼져 있는 우주거대구조를 볼 수 있는데 그 모양은 놀랍게도 우리의 뇌와 생김새가 흡사하다. 은하끼리 연결된 모양이 마치 뉴런(신경세포)과 시냅스(신경세포접합부)로 이루어진 사람의 뇌처럼 생겼다. 작은 것들이 모여서 큰 것으로 진화할 때 그런 모양으로 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어쨌거나 우리는 빅뱅으로부터 시작하여 팽창하는 우주 끝을 가늠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최근에 모든 은하마다 그 중심부에 초거대질량 블랙홀이 있다는 사실도 알게 되었다. 어쩌면 아주 머나먼 미래에 온 우주를 평정한 극초대형블랙홀의 특이점이 폭발하면서 새 우주가 시작할지도 모른다.   천체물리학의 약점은 실험해볼 수 없다는 것이다. 과학이란 관찰과 실험을 통해 증명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럴 수 없다면 그것은 오히려 철학의 범주에 든다. 백 년쯤 전 아인슈타인이 한창 뜨던 시절에 양자역학이란 기상천외한 물리학이 등장해서 지금까지 많은 사람의 골칫거리가 되고 있다. 거시세계에서는 잘 들어맞았던 물리학이 아원자의 세계에서는 통하지 않는 일이 생겼다.     곱셈의 답은 곱하는 것의 순서와 관계가 없어야 한다. 3 곱하기 5가 15라면, 당연히 5 곱하기 3도 15여야 한다는 말이다. 그런데 곱할 것의 순서를 바꾸니 답이 다르게 나오는 행렬역학이 등장한 것도 이 무렵이다. 아인슈타인이 길고도 어려운 수학 계산으로 추측했던 블랙홀이 그 실체를 드러내자 그나마 연명하던 물리학에 문제가 생겼다. 블랙홀 사건의 지평선까지는 멀쩡하다가도 거기만 넘어서면 건전한 물리학은 더는 정상 기능을 하지 못했다. 블랙홀을 다룰 수 있는 정도의 물리학이 있어야 빅뱅을 설명하고, 급팽창과 가속팽창 하는 우주를 이해할 수 있을 텐데 우리는 아직 그 단계에 다가서지 못했다.   오래 전에 세균의 존재를 몰랐을 때는 병이 전염되는 이유를 알 수 없었다. 그런 어느 날 현미경으로만 보이는 세균이란 것이 병을 옮긴다는 사실을 알았다. 처음 라듐이 발견되었을 때, 그 신기한 것이 무조건 좋은 것인 줄 알고 치약에도 넣고 화장품에도 첨가했다. 접촉하면 생길 방사성 물질 피폭 위험을 몰랐다.     인수분해와 근의 공식을 깨우친 중학생에게 고등학교 미적분을 내놓으면 같은 수학인데도 전혀 이해하지 못한다. 아직 그 수준이 되지 못해서다. 지금 우리의 물리학은 고전물리학을 지나 막 양자역학을 이해하려는 단계에 와 있다. 블랙홀의 특이점을 이해하기는 아직 갈 길이 먼 형편이다.   138억 년 전 우주의 모든 것이 한 점에 모여 있었다. 부피는 없지만, 질량이 무한대인 블랙홀 특이점 같은 것이 한계를 견디지 못하고 폭발하여 생긴 것이 우주인지 모른다. 중력, 전자기력, 약한 핵력, 그리고 강한 핵력 등 우주의 모든 힘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더욱 고차원적인 블랙홀 물리학이 기대된다. (작가)       박종진박종진의 과학 이야기 블랙홀 물리학 블랙홀 물리학 블랙홀 특이점 초거대질량 블랙홀

2023-07-07

[박종진의 과학 이야기] 블랙홀

블랙홀이란 말을 들으면 먼저 공상과학 영화가 떠오른다. 우주선이 은하 사이를 쌩쌩 날아다니고, 소용돌이치는 터널을 통해 과거와 미래로 여행한다. 중력이 너무 커서 빛조차도 빠져나갈 수 없는 천체를 블랙홀이라고 한다.     200년 전 천문학자들에 의해 이론으로만 존재하다가 아인슈타인에 의해 비로소 수식으로 증명되었고, 최근에 X선 망원경으로 그 실체가 드러나게 되었다. 21세기로 넘어오면서 우리 은하 중심부에 거대한 블랙홀이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거대 블랙홀의 질량은 태양의 대략 370만 배나 된다고 한다.     이제는 우주에 산재한 거의 모든 은하 중심부에 그런 큰 블랙홀이 있을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다분히 이론적이긴 하지만 블랙홀처럼 끌어들이기만 하는 천체가 있는가 하면 반대로 밀쳐내기만 하는 화이트홀이 존재한다고 하는데 혹시 블랙홀로 빨려 들어간 물체가 이 두 곳을 연결하는 웜홀을 통해 화이트홀로 나오지 않을까?     여기서 등장하는 웜홀은 공상과학 영화의 소재 정도로 들리지만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에서 수학적으로 증명이 가능한 아주 과학적 이론이다. 블랙홀은 발견되고 이미 그 특성까지 밝혀진 데 비해 웜홀은 아직 관찰된 적이 없다. 하지만 불과 몇십 년 전까지 상상의 천체에 불과했던 블랙홀이 그 모습을 드러낸 지금 또다시 몇십 년이 지나면 웜홀도 어느 정도 밝혀질 것이다.     일반상대성 이론에 의하면 물질이 극단적으로 작아지면 중력은 무한대가 되어 빛을 포함한 그 어느 것도 탈출하지 못한다. 아주 무거운 별이 수명을 다할 때 생기는 수축 때문에 중력을 벗어날 때 필요한 탈출 속도가 빛의 속도보다 커져서 빛조차 빠져나오지 못하기 때문이다.   블랙홀은 빛을 포함하여 근처에 있는 모든 물질을 흡수해 버리기 때문에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고, 그래서 처음에는 어두운 별이라고 했다가 지금은 블랙홀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우주 전체를 지배하는 물리 법칙은 블랙홀에서는 무용지물이다. 블랙홀의 표면인 사건의 지평 그 뒤쪽에는 어떠한 추측도 먹히지 않는다. 혹시 그곳이 바로 다른 차원의 경계가 아닐까? 아니면 다른 우주로의 통로가 아닐까? 그곳은 우리의 경험이나 관찰, 추측이나 심지어는 모든 것의 창문인 수학도 통하지 않는다.     양자역학이 처음 소개되었을 때 아인슈타인은, "하나님은 주사위 놀이를 하지 않는다."라며 역정을 냈다. 블랙홀의 존재가 밝혀지자 휠체어의 스티븐 호킹은, "신은 주사위 놀이를 할 뿐만 아니라, 우리가 못 보는 곳에 던짐으로써 우리를 혼란스럽게 한다."라고 투덜거렸다고 한다.   별은 거대한 핵융합 원자로이다. 그런데 별의 질량이 엄청난데도 스스로 붕괴하지 않는 이유는 핵융합에서 나오는 막대한 에너지가 중력에 의한 수축을 상쇄하기 때문이다. 그러다 재료인 수소가 다 떨어져서 핵융합이 멈추면 중력 때문에 핵이 급격히 수축하게 된다.     그렇게 별의 수명이 다했을 때, 별이 작은 경우는 백색왜성이 되지만, 덩치가 큰 별들은 중성자별이 되고, 그보다 더 큰 별은 중력붕괴로 블랙홀이 된다. 그러나 블랙홀도 천천히 증발하며 질량이 줄어들다가 종국에는 사라져 버린다고 한다. 이 세상에 영원한 것은 없다. (작가)   박종진박종진의 과학 이야기 블랙홀 거대 블랙홀 공상과학 영화 일반상대성 이론

2022-05-20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