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시조가 있는 아침] 깨진 벼루의 명(銘)

  ━   깨진 벼루의 명(銘)     최남선(1890~1957)   다 부서지는 때에 혼자 성키 바랄소냐   금이야 갔을망정 벼루는 벼루로다   무른 듯 단단한 속은 알 이 알까 하노라   -백팔번뇌     ━   지식인은 어떻게 살아야 하나?     육당(六堂) 최남선(崔南善)은 일본 유학을 중퇴하고 귀국한 열여덟 살 때 출판사 신문관을 차리고, 이듬해 종합월간지 ‘소년’을 창간하면서 우리나라 최초의 신체시 ‘해에게서 소년에게’를 발표했다. 1919년 기미독립선언서 기초 책임자로 투옥되었다. 1920년대 중반에 논문 ‘조선 국민문학으로서의 시조’를 발표하고 우리 겨레가 오랫동안 자신들의 모든 것을 담아냈던 노랫가락으로 되돌아갔다. 그는 일제에 맞서 한민족의 뿌리인 단군 사상과, 한민족 특유의 시가(詩歌)인 시조를 부활시켰다. 1926년에 출간된 첫 개인 시조집 『백팔번뇌』는 육당이 과거의 여러 가지 실험적인 시 형식을 모두 끝내고 택한 최종적 결정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신범순 교수)   깨진 벼루를 보며 다 부서지는데 ‘어떻게 혼자 성키를’ 바라겠느냐, 금이 가도 ‘벼루는 벼루’라는 말, ‘무른 듯 단단한 속은’ 알 이가 있을 것이라는 위로는 훗날 자신이 걸었던 친일의 길을 무서우리 만치 정확하게 예언하고 있는 듯하다. 그는 해방 후 반민족행위자로 기소됐으나 일체 자기변명을 하지 않았다 한다. 망국과 동족상잔 같은 민족 최악의 수난기를 살다 간 그의 생애는 지식인의 삶의 방식에 대한 준엄한 반면교사라고도 하겠다. 국난의 시기를 지식인으로 살기가 얼마나 어려운가? 우리는 그것을 육당의 생애에서 본다. 유자효 / 시인시조가 있는 아침 벼루 개인 시조집 한민족 특유 육당의 생애

2022-12-29

[시조가 있는 아침] 깨진 벼루의 명(銘)

  ━   깨진 벼루의 명(銘)     최남선(1890~1957)   다 부서지는 때에 혼자 성키 바랄소냐   금이야 갔을망정 벼루는 벼루로다   무른 듯 단단한 속은 알 이 알까 하노라   -백팔번뇌     ━   지식인은 어떻게 살아야 하나?     육당(六堂) 최남선(崔南善)은 일본 유학을 중퇴하고 귀국한 열여덟 살 때 출판사 신문관을 차리고, 이듬해 종합월간지 ‘소년’을 창간하면서 우리나라 최초의 신체시 ‘해에게서 소년에게’를 발표했다. 1919년 기미독립선언서 기초 책임자로 투옥되었다. 1920년대 중반에 논문 ‘조선 국민문학으로서의 시조’를 발표하고 우리 겨레가 오랫동안 자신들의 모든 것을 담아냈던 노랫가락으로 되돌아갔다. 그는 일제에 맞서 한민족의 뿌리인 단군 사상과, 한민족 특유의 시가(詩歌)인 시조를 부활시켰다. 1926년에 출간된 첫 개인 시조집 ‘백팔번뇌’는 육당이 과거의 여러 가지 실험적인 시 형식을 모두 끝내고 택한 최종적 결정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신범순 교수)   깨진 벼루를 보며 다 부서지는데 ‘어떻게 혼자 성키를’ 바라겠느냐, 금이 가도 ‘벼루는 벼루’라는 말, ‘무른 듯 단단한 속은’ 알 이가 있을 것이라는 위로는 훗날 자신이 걸었던 친일의 길을 무서우리 만치 정확하게 예언하고 있는 듯하다. 그는 해방 후 반민족행위자로 기소됐으나 일체 자기변명을 하지 않았다 한다. 망국과 동족상잔 같은 민족 최악의 수난기를 살다 간 그의 생애는 지식인의 삶의 방식에 대한 준엄한 반면교사라고도 하겠다. 국난의 시기를 지식인으로 살기가 얼마나 어려운가? 우리는 그것을 육당의 생애에서 본다. 유자효 / 시인시조가 있는 아침 벼루 개인 시조집 한민족 특유 육당의 생애

2022-11-17

깨진 벼루의 명(銘)-최남선(1890~1957)

다 부서지는 때에   혼자 성키 바랄소냐 금이야 갔을망정   벼루는 벼루로다 무른 듯 단단한 속은   알 이 알까 하노라   -백팔번뇌   지식인의 지조   육당 최남선은 일본 유학을 중퇴하고 귀국한 열여덟 살 때 출판사 신문관을 차리고, 이듬해 종합월간지 ‘소년’을 창간하면서 우리나라 최초의 신체시 ‘해에게서 소년에게’를 발표했다. 1919년 기미독립선언서 기초 책임자로 투옥되었다.     1920년대 중반에 논문 ‘조선 국민문학으로서의 시조’를 발표하고 우리 겨레가 오랫동안 자신들의 모든 것을 담아냈던 노랫가락으로 되돌아갔다. 그는 일제에 맞서 한민족의 뿌리인 단군 사상과, 한민족 특유의 시가(詩歌)인 시조를 부활시켰다. 1926년에 출간된 첫 개인 시조집 ‘백팔번뇌’는 육당이 과거의 여러 가지 실험적인 시 형식을 모두 끝내고 택한 최종적 결정에 해당하는 것이었다. (신범순 교수)   깨진 벼루를 보며 다 부서지는데 ‘어떻게 혼자 성키를’ 바라겠느냐, 금이 가도 ‘벼루는 벼루’라는 말, ‘무른 듯 단단한 속은’ 알 이가 있을 것이라는 위로는 훗날 자신이 걸었던 친일의 길을 무서우리 만치 정확하게 예언하고 있는 듯하다. 그는 해방 후 반민족행위자로 기소됐으나 일체 자기변명을 하지 않았다 한다. 망국과 동족상잔 같은 민족 최악의 수난기를 살다 간 그의 생애는 지식인의 삶의 방식에 대한 준엄한 반면교사라고도 하겠다. 국난의 시기를 지식인으로 살기가 얼마나 어려운가? 우리는 그것을 육당의 생애에서 본다.   유자효 / 시인최남선 벼루 백팔번뇌 지식인 개인 시조집 한민족 특유

2022-02-0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