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이 아침에] 너 몇 살이니?

며칠 전 소그룹의 연말 모임을 하려고 일식 뷔페에서 모였다. 특별히 수요일엔 10% 시니어 디스카운트가 있어서 조금이라도 아끼려고 수요일로 잡았다. 그래봐야 2불 남짓 절약이지만, 연금 받는 은퇴자의 사는 방법으로 합당하다 생각했다.   나와 띠동갑 위인 팔순 넘으신 멋쟁이 선배님이 조금 늦게 오셨다. 입구에서 계산하지 않고 직진해서 우리들이 모여 앉은 곳으로 와서 함께 식사를 시작했다. 도우미 청년이 선배님의 밥값 계산서를 가져왔다. 일반 어른요금이 찍혔기에 시니어 할인으로 계산해 달라고 요청했다.   젊은 도우미가 선배를 아래위로 훑어보더니 대뜸 “How old are you?” 하는 바람에 모두 웃었다.   블루진 상하의에 모자를 쓰셔서 젊어 보였나 보다. 그 원초적인 질문은 적어도 65세 이하로 보인다는 말과도 통하므로 다음 모임의 밥값은 선배님이 쏘시기로 했다. 기분 좋은 착각이 아닌가.   큰수술 후 머리가 하얗게 센 나는, 염색약이 신장 이식 환자에겐 안 좋다기에 흰머리로 산 지 오래다. 머리칼 때문에라도 나이보다 훨씬 많게 보는 이들이 있다.     가끔은 남편을 아들로 보니 난감하기도 하다. 옆에서 내 수발을 드는 남편을 보고 “착한 아드님을 두셨네요!” 하고 염장 지르는 사람도 있었다. 물론 모르고 한 소리이긴 하지만 그렇다고 남편이 젊어 보이는 편도 아니기에 억울하다. 그런 내게 “너 몇 살이니?” 했다면 골든벨이라도 울릴 작정인데 그럴 리 없는 현실이 아쉽다.   맥도널드의 커피를 사러 드라이브 스루로 갔더니 말 안 해도 시니어 값 받는다고 “대박!”이라며 좋아하던 때도 있었건만, 이젠 나이만큼만 봐줘도 만족하겠다.     생일이 12월이라 평생 억울하게 애먼 한 살을 더 먹었다. 올 봄 여고 동창들이 졸업 50주년 기념으로 한국에서 모인다며 별칭 칠순 합동잔치라고 했다. 그 칠순이란 말 때문에 심사가 뒤틀렸다. 나는 아직 칠순이 아니라고! 공연히 꼬장 부리느라 가기 싫었다. 심술이 살아있는 걸 보면 아직 젊은가 보다.   고희는 당나라 두보의 시에 나오는 ‘人生七十古來稀(인생 칠십 고래희)’의 줄임말이다. ‘삶에 있어 칠십도 드문 일이다’라는 뜻인데, 평균수명이 늘어난 작금엔 칠순을 넘겨 사는 이가 대부분이다.   공자는 논어 위정 편에서, 나이 일흔에는 마음이 하고자 하는 대로 따라도 그것이 법도를 벗어나지 않았다고 회고한 데서 ‘종심소욕 불유구(從心所欲 不踰矩)’라고 한 것이 70세를 가리키는 말로 굳어졌다. 줄여서 종심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종심은 고희 및 칠순과 동의어이다.   나는 만으로 70세가 되는 해의 생일을 칠순으로 할 것이다. 전통적으로 70세 생일은 망팔(望八)이라고도 했다던데 이건 고희보다 더 싫다. 일 년 더 있다가 종심 하겠다! 쓰다 보니 나이 자랑했다. 이를 어째. 이정아 / 수필가이 아침에 종심소욕 불유구 종심소욕 부유구 밥값 계산서

2024-12-23

밥값 아껴도 커피는 호황…직장 복귀·폭염 등 영향

#.LA한인타운에서 일하는 이해준(42)씨는 출근 길 회사 인근 커피숍에서 아메리카노를 주문한다. 커피 한잔 가격은 올해 봄 3.99달러에서 꾸준히 올라 4.75달러로 한 달이면 100달러 정도 쓴다. 이씨는 커피값에 쓰는 돈은 그만한 가치가 있다고 말했다.     #.고등학교 교사인 김수아(34)씨는 인플레이션으로 외식과 마켓 비용을 줄였지만 일주일에 2~3번 아이스라떼와 페스트리에 11달러를 지출한다. 김씨는 팬데믹 시대 제한된 생활에서 ‘나를 위한 작은 선물’이라고 말했다.     인플레이션 급등으로 소비자들이 외식을 빠르게 줄였지만 커피 지출은 줄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LA한인타운 엠코 커피전문점의 한 관계자는 “경기침체 우려에도 매출이 최근 30% 증가했다”며 “주말 경우 고객이 2배 가까이 늘었다”고 밝혔다.     최근 100도가 넘는 폭염 날씨도 커피 매출 증가에 일조하고 있다. 알키미스트 커피 프로젝트는 “날씨에 따라 매출 변화가 있지만 최근 뜨거운 날씨로 아이스 아메리카노와 콜드브루 아이스메뉴 매출이 눈에 띄게 늘었다”고 말했다.     팬데믹으로 집에 머물던 사람들이 코로나19 확진자 수치가 완화되면서 커피숍과 빵집에서 시간을 보내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도 커피전문점 호황에 한몫했다.     LA 한인타운에 거주하는 이시아씨는 “한인타운은 커피숍으로 둘러싸여 있다”며 “애완견과 산책하면서 어디에서나 쉽게 커피숍을 들리고 그곳에서 사람들과 만나고 얘기할 수 있는 시간이 즐겁다”고 말했다.     이런 현상은 전국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금융서비스 제공업체인 래보뱅크에 따르면 6월초 레스토랑에서 소비자 지출은 1년 전보다 3.1% 감소했다. 반면 이 기간 커피숍과 베이커리 카페에서 지출은 1.9% 증가했다.     전국커피협회(NCA)에 따르면 미국인의 약 66%가 매일 커피를 마시고 있다. 10명 중 거의 7명이 매일 커피를 소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인플레이션과 경기침체 우려가 쏟아지는 가운데 커피 매출이 증가하는 이유로 경제학자들은 6월 초부터 뚜렷하게 나타나는 사무실로 복귀 현상을 지목했다.     팬데믹동안 재택근무에서 사무실로 복귀하는 직장인들이 카페인과 달달한 디저트를 선호하면서 경기침체 우려에도 커피전문점이 호황이라는 분석이다.     뱅크오브아메리카 연구소 수석 경제학자인 데이비드 틴슬리는 “특히 출퇴근하는 직장인들의 커피숍에서 지출이 높다”며 “출근길에 모닝 커피 외에도 점심이나 오후에 커피 한 잔을 더 살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런 직장인들의 사무실 복귀 영향으로 한인타운 내 커피전문점들은 출근시간이나 점심시간 이후 사람들로 북적거린다.   6월 소비자물가지수는 9.1%로 4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가 7월에는 8.5%까지 떨어졌는데 커피 가격 상승세는 물가상승보다 빨랐다.     시장조사업체 NPD그룹에 따르면 올해 1~6월 커피전문점에서 커피 한 잔 평균 가격은 4.90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6%나 올랐다.   집에서 직접 커피를 만드는 비용도 더 올랐다. 노동부에 따르면 6월 커피 가격은 1년 전보다 15.8%, 7월에는 20.3%나 상승했다.     스타벅스 경우 7월 3일부터 9월 3일까지 3개월동안 커피가격이 5% 상승했지만 미전역 매장 매출이 1년 전보다 9% 증가했다.  이은영 기자밥값 커피 커피전문점 호황 기간 커피숍 커피 매출

2022-09-08

[데스크 칼럼] ‘밥그릇’ 말고 ‘밥값’에 관심을

지난달 말부터 한국에서는 새 정부의 정부조직 개편 논의 중 통상 조직과 기능을 어디에 둘 것인가를 놓고 외교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추한 ‘밥그릇 싸움’을 벌이고 있다.   통상 조직과 기능은 김영삼 정부에서는 산업부로, 김대중 정부에서는 외교부로, 2013년 출범한 박근혜 정부에서는 다시 산업부로 옮겨져 지금에 이르고 있다. 외교부는 윤석열 정부 출범과 함께 이를 되찾겠다고 나선 것이다.   팽팽한 대립 속에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외교부로 이관하는 방안에 무게를 두는 듯 하더니 한덕수 초대총리 후보자가 등장하면서 ‘통상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조직을 신설하는 방안이 최근 힘을 얻고 있다. 결국 인수위 측은 조직 개편의 최종 결론을 새 정부 출범 이후로 미룬 상태다.     통상 기능이 어디로 가든, 국민들이 바라는 것은 관료들의 ‘밥그릇 싸움’이 아니라 밥을 먹은 후에 이들이 ‘밥값’을 하는 것이다. 중국의 덩샤오핑 전 주석은 이른바 ‘흑묘백묘론’으로 유명하다. 검은 고양이든 흰 고양이든 쥐만 잘 잡으면 된다는 뜻인데, 자본주의든 공산주의든 국민을 잘 살게만 하면 된다며 중국에 시장경제를 도입할 당시 강조했던 내용이다.   이명박 정부 당시 통상 기능은 ‘외교통상부’ 소관이었다. 이때 한미자유무역협정(FTA)이 체결됐고, 한국정부는 이를 큰 성과로 내세웠다.     하지만, 당시 ‘한국인 전용 취업비자’를 확보하지 못했다. FTA 협상을 마무리하는 게 더 중요했기에, 이 문제는 추후 논의하자는 미국의 주장을 받아들였고 결국 다음 박근혜 정부에서 통상 기능이 산업부로 이관됨과 동시에 ‘아무도 관심을 갖지 않는’ 이슈가 됐다.     미국과 FTA를 체결하면서 싱가포르와 칠레는 매년 각각 5400개와 1400개의 별도 전문직 취업비자(H-1B1)를 제공받고 있다. 호주는 FTA 체결로 ‘E-3 비자’라는 신설 비자로 매년 1만500개의 취업비자를 보장받았다. 미국과의 교역규모에서 호주를 훨씬 능가하는 한국은 아직 빈손이다.   한인사회의 노력 등으로 연방의회에는 지난 회기까지 매번 ‘한국과의 동반자 법안(Partner with Korea Act)’이라는 이름으로 한국에 연간 1만5000개의 전용 취업비자(E-4)를 제공하는 내용의 법안이 상정됐다. 하지만, 번번이 통상 외교의 실패로 법안이 의회를 통과하지 못했다.   일자리 찾기가 최고의 과제인 한국 청년들이 매년 1만5000명씩 미국에서 일할 기회를 얻고, 미국 내 한인 기업들도 구인난을 크게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자 어쩌면 FTA를 통한 우리의 ‘권리’일 수도 있는 문제가 ‘제대로 밥값을 하는’ 관료들에 의해 이제는 해결되길 기대해 본다. 박기수 / 편집국장데스크 칼럼 밥그릇 밥값 정부조직 개편 전용 취업비자 정부 출범

2022-04-1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