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미우호상 주인을 찾자
창립 62주년을 맞는 한미 교류 민간단체인 한미협회가 설립자인 고 이원순(1890~1993) 전 회장의 미국내 자손들을 찾고 있다. 협회는 지난해 10월 한미우호상 수상자로 이 전 회장 부부를 선정했지만 한국에서 가족과 친인척을 찾지못해 본지에 부탁해 왔다. 이 전 회장은 미주 한인 독립운동사의 뿌리인 동시에 대한민국 체육계의 은인으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10년 전 광복 70주년 기념으로 대한인국민회가 후원하고 민병용 한인역사박물관장이 집필한 ‘미주독립유공자 전집’은 그를 한인 최초의 부동산 백만장자이자 ‘독립과 민족’이라는 시대정신을 실천한 거상으로 기록하고 있다. 1890년 서울 출생인 그는 24세 되던 1914년 보성전문학교(고려대학교 전신) 법과 졸업 직후 하와이로 망명해 30년간 독립운동에 힘썼다. 초기에는 파인애플 통조림 공장 등에서 막노동으로 생계를 이었지만 자동차 행상, 가구점 등 탁월한 사업 수완으로 돈을 모았다. 특히 하와이대학에서 부동산 중개 면허를 취득한 뒤 토지 매매로 부를 축적했다. 그에게 돈은 조국 독립을 위한 수단이었다. 이승만 박사의 측근으로 활동하면서 1928년부터 1943년까지 대한인동지회 회장으로 외교와 독립운동자금 조달에 힘썼다. 광복 이후 그가 남긴 가장 큰 족적은 1948년 런던 올림픽에서 대한민국의 첫 올림픽 참가를 이뤄낸 역사다. 그는 1947년 스톡홀롬에서 열린 IOC 총회에 참석차 뉴욕에서 출국하기 위해 ‘사제 여권’을 만들었다. 미국 시민권자도 아닌데다 피신탁통치국 국민이었기 때문에 촉박한 시간내 여권을 받기 어려웠다. 그는 공문지에 나이, 본적, 주소 등 신상정보와 당시 미국 후생성에서 일한 부인 이매리의 경력까지 쓰고 조선의 올림픽 참가 필요성을 적었다. 비공식 여권이었지만 영국, 스웨덴, 덴마크 총영사관은 한국이 처한 상황을 감안해 비자를 내줬다고 한다. 그 여권은 현재 한국체육박물관에 문화재로 전시되고 있다. 그의 후손을 찾는 일은 우리 한인들의 몫이다. 그가 1993년 102세로 별세한 지 32년이 흘렀지만 각 지역 총영사관, 한인회가 함께 찾고자 노력한다면 어렵지 않다. 한미협회에 따르면 전 회장의 세 딸은 미주 한인들과 결혼해 줄곧 미국에 거주해온 것으로 추정된다. 이 전 회장은 고 이희호 여사의 외삼촌이다. 그러니 이 전 회장의 세 딸은 이 여사와 외사촌 지간이다. 80대 중후반인 세 딸 중 두 딸은 쌍둥이다. 대통령 부부의 인척이고 쌍둥이인 80대 중후반의 한인과 그 후손은 어디서든 도드라지게 마련이다. 올해 광복 80주년을 맞는다. 이 전 회장의 한미우호상 선정은 단순한 상패 이상이다. 그의 후손들에게는 애국 유산이자 한인들에게는 지켜야 할 미주 한인 독립운동사다.사설 한미우호상 한미우호상 수상자 대한인동지회 회장 민병용 한인역사박물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