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우리말] 문화번역의 세계
번역은 한 언어를 다른 언어로 바꾸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글이나 말로 하는 게 번역이지만 요즘에는 말로 하는 번역은 통역이라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확히는 통역도 번역의 일종이라고 보는 게 좋겠습니다. 번역을 잘하려면 당연히 두 언어를 잘해야 합니다. 어떤 경우에는 참고할 다른 언어의 번역본이 필요할 때도 있어서 더 많은 언어를 잘해야 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자칫 번역을 언어의 문제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번역에서 실제로 어려운 것은 문화번역입니다. 아무리 언어를 잘한다고 해도, 사전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문화적 내용이 있습니다. 그래서 번역은 한 문화를 다른 문화로 바꾸어 설명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언어와 마찬가지로 두 문화를 잘 이해하는 사람이어야 좋은 번역이 가능합니다. 그 나라에 가보지도 않은 사람이 제대로 번역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생활문화도 정확히 번역하기가 어렵습니다. ‘퇴근길에 삼겹살에 소주 한 잔’을 어떻게 번역할 수 있을까요? 소주가 서민적이라는 느낌을 모른다면 번역은 실패한 것입니다. 한편 돼지고기와 술이 금기인 이슬람 문화에서는 이 부분을 어떻게 번역해야 할까요? 실제로 한국어 수업에서 이런 장면이 나올 때마다 선생님이 고통스러워하기도 합니다. 금기의 번역, 상징의 번역이 쉽지가 않습니다. 무엇이 금기이고, 무엇을 상징하는지 깊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아침에 까치가 울었다는 말이 손님이 온다는 의미라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신체언어의 번역은 어떨까요? 발을 꼬고 앉아있는 모습, 팔짱을 끼고 있는 모습, 뒷짐을 지고 있는 모습은 문화권마다 해석이 달라집니다.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는 문화도 있지만, 버릇이 없거나, 관심이 없는 것으로 해석하기도 합니다. 인사를 하는 모습도 번역에서는 어렵습니다. 눈을 마주 보며 인사하는 게 예의인 문화도 있고, 윗사람의 눈을 쳐다보면 문화도 있습니다. 신체언어만으로도 해석이 가능한데 번역에서는 그 모습을 전부 담지 못하기도 합니다. 화행의 경우는 더 심각합니다. 감사의 표현, 사과의 표현이 문화마다 다릅니다. 어떤 문화에서는 표현을 하지 않는 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반면에 어떤 문화에서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하는 게 좋다고 봅니다. 잘못의 원인을 길게 설명하는 장면은 문화권에 따라 해석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칭찬이나 불평에 대한 반응도 문제입니다. 문화에 따라 반응의 모습이 전혀 다릅니다. 같은 한국 문화라고 해도 연령층에 따라 다릅니다. 문화번역이 쉬운 게 아닙니다. 정신문화로 오면 번역은 정말 어렵습니다. 정을 어떻게 번역하면 좋을까요? 한을 어떻게 번역할까요? 한국인의 사랑과 다른 나라 사람의 사랑이 같은가요? 행복에 대한 개념도, 불행에 대한 개념도 다릅니다. 전생이나 내세에 대한 사고도 전혀 다릅니다. 현세적인 사고를 하는 문화와 내세를 중요시하는 문화는 관점이 전혀 다를 겁니다. 한국인의 무속관, 유교관을 어떻게 번역 속에 담을까요? 종교에 관한 내용을 어떻게 번역할 수 있을까요? 산스크리트어나 빠알리어 경전을 한문으로 번역할 때 아홉 단계를 거쳤다는 말이 있습니다. 간략히 소개하자면, 번역의 마지막 단계로 가면 한문만 잘 아는 사람이 문장을 다듬는 과정이 있었고, 마지막에는 깨달은 스님이 한문으로 적당한지를 살피기도 했다고 합니다. 종교에 대한 번역, 깨달음에 대한 번역은 그 종교에 가장 높은 경지에 있는 사람이 그렇다고 맞다고 해야 할 것 같습니다. 문화번역의 수준은 번역가의 수준이기도 하고, 그 사회의 문화교류와 문화이해의 수준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한국의 드라마, 영화, 노래, 문학작품이 세계로 번역되기 위해서는 언어뿐 아니라 문화이해 능력이 뛰어난 사람이 많아져야 합니다. 한국어로 된 작품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한국어 학습자의 문화 능력 역시 높아져야 합니다. 조현용 / 경희대학교 교수아름다운 우리말 문화번역 세계 통역도 번역 번역 상징 번역 깨달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