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잠망경] 반말

한 정치가가 노인네들을 폄하하는 발언을 해서 치열한 공방이 일어나고 있는 2023년 8월 한국이다. 폄하! 낮출 貶. 아래 下. ‘가치를 깎아내림’이라 사전은 풀이한다.   듣는 사람의 반감을 불러일으키는 말에는 내용적인 이유가 있는가 하면 형식적인 이유도 있다. 겉으로는 예의를 갖춘 듯 들리지만 말의 내용이 안하무인일 수 있는 반면에 상대를 무시하는 말투, 이를테면 ‘반말’을 듣는 순간 불쾌해지는 것 또한 인지상정이다. 하대(下待)를 받는 경우다.   ‘반말 살인’이라는 말로 구글 검색을 해 보라. 반말을 했다 해서 살인이 일어난 사례가 당신의 모니터에 우르르 떠오를 것이다. 2019년 8월에 한국을 경악시킨 ‘한강 몸통 시신 살인사건’도 반말에서 시작됐다는 위키백과 보고를 읽는다.   ‘半말’은 문자 그대로 반만 하는 말이다. 더 정확하게는 미완성 문장이다. ‘아니요!’는 존댓말이고 ‘아니!’는 반말이다. 반말은 존댓말보다 짧다는 이유에서 말을 길게 하는 성의가 부족한 말투다.   단어를 송두리째 생략하는 우리말이 자연스럽게 들리는 것이 좀 혼란스럽다. 한국어는 주어를 생략하는 관습이 있다. ‘제가 늦어서 죄송합니다’라고 말하는 대신에 주어를 빼고 ‘늦어서 죄송합니다’ 하면 공손, 그 자체다.   일인칭뿐만 아니라 2인칭도 생략되기는 마찬가지. 우리는 ‘너 저녁 먹었니?’ 대신 ‘저녁 먹었니?’ 한다. 영어에서는 ‘I love you’ 할 때처럼 주격과 목적격의 인칭대명사가 빠짐없이 들어가지만 우리는 그냥 ‘사랑해’ 한다. 이토록 우리말은 생략법이 깔끔하다.   영어에도 사람을 제외하는 생략법이 꽤 있다. ‘Ready?, 준비됐어?’, ‘Going home?, 집에 가니?’, ‘Sorry, 미안해!’, ‘Be right back, 금방 올게’, ‘See you later, 나중에 봐’, ‘Want some?, 좀 먹을래?’ 그러나 아뿔싸, 너무 생략하면 명령어로 돌변한다. ‘Speak! 말하라’, ‘Move! 움직여!’, ‘Shut up! 닥쳐!’   반말은 둘 사이의 친숙한 감정표현이기도 하겠지만 자칫 건방진 소통이기도 하다. ‘Familiarity breeds contempt, 친숙은 경멸의 근본’이라는 격언이 떠오른다. ‘오냐오냐했더니 할아버지 무르팍에 똥 싼다’는 우리 속담과 같은 맥락이다.   우리말에서 ‘나’라는 주어를 싹 없애고 말하는 습관을 좀 삐딱한 시선으로 보면 결국 자기은닉(自己隱匿)이라는 비평을 받아도 크게 반박하지 못한다. 배경색상과 똑같은 빛깔로 변신함으로써 포식자(捕食者, predator)의 눈에 띄지 않겠다는 자기방어법, ‘셀프 디펜스’에 해당하지 않나 싶다. 논리를 비약하자면, 중국과 일본 사이에 끼여 있는 한반도의 지리적 위치와 두 나라에 빈번히 침략을 당해 온 역사가 반영된 의식구조와 언어습관이 아닌가 한다.   영어 문법에서 생략법을 ‘ellipsis’라 부른다. 사전은 이 말은 또 ‘문장이나 사건을 의도적으로 생략해서 독자로 하여금 스스로 추측하게 만드는 기법’이라 풀이한다. 시(詩)에서도 자주 쓰인다. 그리고 ‘ellipsis, 생략법’은 ‘ellipse, 타원’와(과) 말의 뿌리가 같다. 말끝을 흐리면서 멈추는 것은 타원처럼 부드러운 수법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직장 상관이 많이 늦게 출근한 직원에게 “자네 왜 늦었나?” 하고 물었더니, “무슨 일이 있어서…” 하며 얼버무린다면, 그것은 생략법인가 건방진 반말인가, 하고 나는 당신에게 물어보고 싶은데. 서량 / 시인·정신과 의사잠망경 반말 ellipsis 생략법 포식자 predator 영어 문법

2023-08-08

[아름다운 우리말] 말이 형식적으로 변하면

사람이 하는 말은 원래 구체적입니다. 실질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뜻입니다. 말의 시작이 무엇을 가리키고 설명하고자 할 때 정확한 의미를 전달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말이 점점 발달하고 복잡해지면서 말 사이의 기능을 표현해야 할 일이 생깁니다. 우리말에서는 가장 대표적인 것이 조사와 어미입니다.      말로 할 때와 글로 할 때도 차이가 있습니다. 말로 할 때는 아무래도 상황이나 맥락이 작용합니다. 따라서 기능에 해당하는 말이 덜 필요합니다. 실제로 우리가 하는 말을 들여다보면 문법에 틀린 말도 많습니다. 그래도 말이 통합니다. 그것은 상황이 그렇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말로 할 때 조사를 적게 쓰는 것도 상황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런데 글로 쓰면 상황이 달라집니다. 글은 상황이 배제되어 있는 경우가 많아서 자칫하면 수많은 오해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더 정확한 조사 사용과 어미 사용이 필요합니다. 높임도 시제도 부정확하게 표현하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어쩌면 문법이 복잡해진 것은 글 때문일 겁니다. 문법(文法)이라는 말에 문(文)이 들어 있는 것도 그래서라는 생각이 듭니다. 어법(語法)과는 다른 느낌의 표현입니다. 언어학의 주 연구 대상이 글이 아니라 말이라는 점을 생각해 보면 좀 특이한 명명(命名)입니다.    그러면 어떤 말이 기능을 나타내는 형식적인 말이 될까요? 처음에는 그 말도 실질적인 의미를 나타내었던 말이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형식적인 말이 되는 현상을 문법화라고 합니다. 문법화는 문법 기능이 아니었던 말이 문법의 기능을 하게 되었다는 의미입니다. 원래 실질적인 의미가 있었던 말인데 같은 자리에서 같은 기능을 반복하다 보니 실질적인 의미를 잃어버리는 겁니다.    대표적인 예를 몇 가지 들어볼까요? 제일 쉽게 눈에 띄는 것이 ‘부터’입니다. ‘붙어’라는 말이 점점 의미가 약해지면서 단지 시작점을 나타내는 의미로 바뀐 겁니다. 원래는 대상에 붙어 있었던 겁니다. 조차라는 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좇아가는 것’이 ‘조차’로 굳어진 것입니다. 이제 움직임이 없어도 조차라고 씁니다. ‘붙어, 좇아’와 혼동이 될까 봐 아예 표기까지 ‘부터, 조차’로 바꾸었습니다.    의존명사에도 이런 문법화의 예는 많이 나타납니다. ‘~는 법이다’, ‘~는 고사하고’, ‘~는 바람에’ 등에 보이는 ‘법, 고사, 바람’은 각각 실질적인 의미가 있었습니다. 우리가 보조동사라는 하는 말에도 이런 표현이 잔뜩 들어있습니다. ‘~어 두다’, ‘~어 주다’, ‘~어 버리다’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원래의 의미는 형식적인 의미로 변하였습니다. ‘~어 버리다’의 경우는 방언에서는 ‘~어 뿌리다’ 등의 모양으로까지 바뀌어서 원래와의 관련성을 잃고 있습니다. 아마도 다른 기능어도 ‘뿌리다’처럼 모양이 변하였기에 기원을 알 수 있게 되었을 겁니다. ‘더러’라는 말은 ‘다리다’에서 온 말이지만 기원이 희미해졌습니다. ‘까지’도 ‘끝’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한편 어떤 말은 문법화 과정에 있어서 흥미롭습니다. 대표적인 말이 ‘보고’입니다. 본다는 말은 눈으로 보는 시각적 행위를 의미합니다만 그러나 이 말이 형식적으로 바뀌면 직접 보지 않는 경우에도 쓸 수 있습니다. ‘꽃 보고 예쁘다고 한다’라는 말에서는 ‘보다’의 의미이지만 ‘너 보고 이상하대’라고 할 때는 본다는 말은 흔적만 남았습니다. 이제는 보고가 ‘한테’나 ‘에게’처럼 쓰입니다. 아마도 시간이 지나면 ‘보고’도 ‘부터’나 ‘조차’처럼 형식만 남게 될 겁니다.   언어는 변합니다. 어떤 말은 실제적인 의미를 덜어내고, 관계를 나타내는 말로 또는 뜻을 더하는 말로 역할을 바꾸어 나갈 겁니다. 언어의 변화가 참 재미있습니다. 조현용 / 경희대학교 교수아름다운 우리말 형식 문법 기능 문법화 과정 조사 사용

2022-11-27

'영어로 쓴 한국어 문법책' 출간

해외에서 태어난 한인 2세와 한국어를 배우려는 외국인을 위한 영어로 쓴 한국어 문법책이 출간됐다.   서울에서 4살 때 캐나다에 이민한 한인 1.5세 김한규(33) 씨가 쓴 ‘슈퍼 심플 한국어 문법’(Super Simple Korean Grammar·중앙미디어刊)이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에 있는 공립종합대학교인 사이먼프레이저대 언어학과 출신의 김 씨는 밴쿠버에서 유튜브를 통해 영어로 한국어를 5년간 가르쳤다. 구독자가 3만5000여 명에 달한다. 북경어·광둥어·일본어·프랑스어·스페인어를 구사하는 그는 캐나다 상원에서 프랑스어를 가르치기도 했다.   ‘세세한 부분까지 빼먹지 않고 아주 간명하게’라는 부제가 붙은 이 책은 영어를 모국어로 하는 외국인들이 한국어와 문법을 쉽게 배울 수 있게 풀이했다.   김 씨는 “2015년 재외동포재단 초청으로 ‘대학생 모국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해 방한했었는데, 당시 한인 차세대들이 한국어를 사용하지 못하고 간혹 한국말을 해도 어법에 맞지 않는 것을 보고는 책을 쓸 생각을 했다”고 말했다.   또 “맨 처음 언어를 공부할 때 문법은 지겹고 힘들다고 생각했었는데, 여러 언어를 공부하다 보니 문법은 일정한 룰이 있다는 것을 알고, 이를 쉽게 전해 주고 싶어 책을 냈다”고 덧붙였다.   이 책은 학습자에게 전체 언어의 큰 그림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가장 간단한 방법으로 가장 유용한 문법만을 설명하고 있다. 그는 “세부적인 문법을 통해 학습자를 압도하지 않으며 모든 것을 이해하기 쉽고 즉시 사용할 수 있게 설명했다”고 소개했다.   책에서는 외국인들이 한국어 문법을 배우면서 가장 궁금해하는 것을 풀이해 놓기도 한다. ‘∼에’와 ‘∼에서’의 차이점이 무엇이냐고 종종 물어본다고 하는데, 그는 ‘∼에서’는 그 장소에서 어떤 행동이나 행위를 한다고 알려주고, ‘∼에’는 그 장소에 있거나 없거나 한다고 알려준다.   가령, “저는 집에서 공부해요”, “저는 집에 있어요” 등이다. 또 ‘∼는’과 ‘∼가’는 어떻게 다른지도 설명한다. “고양이는 귀여워”라고 말하면 모든 고양이가, 고양이 자체가 귀엽다는 것을 의미하고, “고양이가 귀여워”하면 특정된 고양이가 귀엽다는 뜻이라고 전한다.   김 씨는 “이번에 출간한 책은 한국어에서 발견되는 가장 일반적이고 기본적인 문법을 가르치는 데 중점을 뒀다”며 “이것을 배우면 자신의 단어를 추가하고 무한한 양의 문장을 만들 수 있는 프레임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영어로 쓴 한국어 문법책 김한규 슈퍼 심플 한국어 문법 Super Simple Korean Grammar 중앙미디어

2022-11-15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