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삶과 믿음] 노예생활과 주권 회복

필자는 초등학교 시절 스케이트를 타러 집 근처에 있는 아이스링크에 갔습니다. 스케이트를 타고 있는데 친구들이 “야! 성낙수다”다 하며 어떤 건장한 청년에게 가는 것이었습니다. 저는 성낙수가 누구냐고 친구에게 물어보았고, 그는 “성낙수는 아주 유명한 야구선수다” 말하며 그 친구는 황급히 그쪽으로 스케이트를 타고 갔습니다. 저도 왠지 그 유명 선수에게 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스케이트를 잘 못 타는 필자가 그 청년에게 가까이 갈 때는 이미 많은 어린이, 학생들이 모여 있었습니다. 다들 유명 야구선수를 갑자기 본지라 사람들이 종이를 가지고 있었을리 없었고 친구들은 손바닥에 그의 사인을 받고 있었습니다. 필자도 손바닥에 사인을 받았고 친구들이 좋아하는 것을 보고 괜히 귀한 것을 받은 것 같아서 덩달아 기분이 좋았습니다. 집에 돌아오는 길에 친구들이 “이 사인은 아주 귀한 것이라 반 친구들에게 보여주기 전까지 지워져서는 안 돼” 말했습니다. 필자도 그 사인이 지워질까 두려워 그 날 세수하기를 삼가며 다음날 그 유명 야구선수의 사인을 반 친구들에게 자랑했습니다. 실지 필자는 야구에 아무 관심도 없었고, 친구들의 반응도 하루가 지나자 신통치 않았고 이틀간 손을 씻지 않으니 불편하기만 했습니다.     필자의 유년시절 이야기지만 우리의 많은 삶의 모습이 이 같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판단과 선택의 기준이 나에게 있다기보다 주변 환경과 주위 사람에게 있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내 인생에 있어서 내가 ‘주권’을 잃어버린 상태로 사는 삶을 말합니다. 사람들이 선택하는 전공과 직장, 배우자 등을 보면 실지 내가 참으로 원하는 것, 내가 생각하기에 가치 있는것이라기보다, 우리의 판단과 선택 기준이 물질적 경쟁사회에서 이미 형성된 세속적 가치관에 바탕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뚜렷한 주관 없이 다른 사람들의 가치관과 주변 환경에 의해 영향 또는 지배받으며 사는 우리들의 모습을 원불교 창시자 소태산 대종사께서는 ‘노예생활’이라고 표현하셨습니다.     소태산께서는 원불교를 열게 된 개교 동기를 다음으로 말씀하십니다. “현하 과학의 문명이 발달함에 따라 물질을 사용하여야 할 사람의 정신은 점점 쇠약하고, 사람이 사용하여야 할 물질의 세력은 날로 융성하여, 쇠약한 그 정신을 항복 받아 물질의 지배를 받게 하므로, 모든 사람이 도리어 저 물질의 노예 생활을 면하지 못하게 되었으니, 그 생활에 어찌 파란고해(波瀾苦海)가 없으리오.”   노예의 사전적 정의는 ‘인간으로서 기본적인 권리나 자유를 빼앗겨, 자기 의사나 행동을 주장하지 못하고 남에게 사역(使役)되는 사람’입니다. 우리는 법적으로는 자유주의 국가에 살고 있지만, 우리 마음과 인생은 노예생활을 하고 있지 않은가 반성해 보아야 합니다. 휴가 가서도 일 걱정을 하며, 아이가 공부 못하면 더 잘하기를 원하며 염려하고, 공부 잘하면 더 잘해서 명문대에 가기를 바라고, 먹고 사는 것은 염려가 없는데 주변 인간관계로 괴로워하는 등 우리 마음은 이미 보이지 않는 수많은 밧줄에 묶여있습니다- 과거 노예가 사슬로 묶여 있었던 것처럼. 내가 명예의 노예, 돈의 노예, 일확천금의 노예, 분노의 노예, 질투의 노예가 아닌가 돌아보아야 합니다.     과거 한국이 일제 강점기에 놓여 있을 때 주권을 찾는 일은 소수 독립운동가의 노력에 의존할 수도 있었지만, 오늘날 우리 삶에서의 노예생활의 해방은 자기가 스스로 해야 합니다. 남이 해 줄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즉 자기 스스로 ‘정신의 세력을 확장’해야 가능한 것입니다.   노예생활을 벗어나서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위해서 소태산 대종사께서는 “진리적 종교의 신앙과 사실적 도덕의 훈련”으로써 “정신의 세력을 확장” 하라고 그 방법을 제시하십니다. 유도성 / 원불교 원달마센터 교무삶과 믿음 노예생활 주권 노예 생활 노예 일확천금 노예 질투

2022-09-2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