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우리말 바루기] ‘에요’·‘예요’의 구분법

다음 중 바르지 않은 것은?   ㉠ 내가 한 게 아니에요   ㉡ 생각대로 잘될 거예요   ㉢ 저 사람은 누구예요   ㉣ 지금 어디에요   ‘-에요’는 용언(동사·형용사)의 어간 또는 명사와 결합해 설명이나 의문을 나타내는 말(종결어미)이다. 그러나 어떨 때는 ‘에요’가 되기도 하고 어떨 때는 ‘예요’가 되기도 해 헷갈린다.   ㉠의 ‘아니에요’처럼 ‘-에요’가 용언(동사·형용사)의 어간과 결합할 경우에는 어간에 ‘에요’만 붙는다. 즉 ‘아니+에요→아니에요’가 된다.   그러나 ‘-에요’가 명사와 결합할 경우 명사를 서술어로 만들 때 쓰이는 조사 ‘이’가 추가된다. 즉 ‘책+이+에요→책이에요’처럼 명사에는 ‘이에요’가 붙는다. 받침이 없는 명사일 때는 ‘이에요’의 준말인 ‘예요’와 자연스럽게 결합한다. 그래서 ‘저+예요→저예요’ 형태가 된다.   ㉡의 ‘거예요’ 역시 이러한 예다. ‘거’는 ‘것’을 구어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거’가 명사이므로 ‘-에요’와 바로 결합하지 못하고 ‘이’가 추가돼 ‘거+이+에요’가 된다. 받침이 없는 ‘거’는 ‘이에요’가 줄어든 ‘예요’와 자연스럽게 합쳐진다.   ㉢‘누구예요’도 ‘누구’가 명사이므로 ‘누구+이+에요’가 되고 받침이 없는 명사이므로 자연스럽게 ‘예요’와 결합하면서 ‘누구예요’가 된 것이다.   ㉣‘어디에요’ 역시 ‘어디’가 명사이므로 ‘어디+이+에요’, 즉  ‘어디예요’가 돼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구분법 우리말 바루기

2024-05-27

[우리말 바루기] ‘에요’와 ‘예요’ 구분법

다음 중 ‘에요’ 또는 ‘예요’와 관련해 바르지 않은 것은?   ㉠ 내가 한 게 아니에요   ㉡ 생각대로 잘될 거예요   ㉢ 저 사람은 누구예요   ㉣ 지금 어디에요   ‘-에요’는 용언(동사·형용사)의 어간 또는 명사와 결합해 설명이나 의문을 나타내는 말(종결어미)이다. 그러나 어떨 때는 ‘에요’가 되기도 하고 어떨 때는 ‘예요’가 되기도 해 헷갈린다.   ㉠의 ‘아니에요’처럼 ‘-에요’가 용언(동사·형용사)의 어간과 결합할 경우에는 어간에 ‘에요’만 붙는다.   그러나 ‘-에요’가 명사와 결합할 경우 명사를 서술어로 만들 때 쓰이는 조사 ‘이’가 추가된다.  받침이 없는 명사일 때는 ‘이에요’의 준말인 ‘예요’와 자연스럽게 결합한다. 그래서 ‘저+예요→저예요’ 형태가 된다.   ㉡의 ‘거예요’ 역시 이러한 예다. ‘거’는 ‘것’을 구어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거’가 명사이므로 ‘-에요’와 바로 결합하지 못하고 ‘이’가 추가돼 ‘거+이+에요’가 된다.     ㉢‘누구예요’도 ‘누구’가 명사이므로 ‘누구+이+에요’가 되고 받침이 없는 명사이므로 자연스럽게 ‘예요’와 결합하면서 ‘누구예요’가 된 것이다.   ㉣‘어디에요’ 역시 ‘어디’가 명사이므로 ‘어디+이+에요’ 형태가 되고 ‘예요’와 자연스럽게 결합하면서 ‘어디예요’가 돼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우리말 바루기 구분법

2024-03-11

[우리말 바루기] ‘~에’ ‘~에게’ 구분법

다음 중 ‘~에게’가 잘못 쓰인 것은?   ㉠ 친구에게 부탁을 했다   ㉡ 매일 꽃에게 물을 줘라   ㉢ 돼지에게 먹이를 줬다   ㉣ 기업에게 필요한 가치   어떤 행동이 미치는 대상을 나타낼 때 ‘~에’ ‘~에게’ 어느 것을 사용해야 하는지 헷갈린다. 문제에서처럼 구분 없이 모두 ‘~에게’를 쓰는 경향이 있다.   둘을 구분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사람이나 동물을 나타내는 단어에는 ‘~에게’를, 그 외에는 ‘~에’를 쓰면 된다.   ‘㉠친구에게 부탁을 했다’에서 ‘친구’는 사람이므로 ‘~에게’를 붙이는 것이 맞다. “부모님에게 꾸중을 들었다” “영희에게 일이 생겼나 보다” 등처럼 쓰인다.   ‘㉡매일 꽃에게 물을 줘라’에서 ‘꽃’은 사람이나 동물이 아닌 식물이므로 ‘~에게’가 아니라 ‘~에’를 붙여야 한다.   ‘㉢돼지에게 먹이를 줬다’에서 ‘돼지’는 동물이므로 ‘~에게’를 붙이는 것이 맞다. “개에게 물렸다” “닭에게 모이를 줬다” 등이 이처럼 ‘~에게’가 쓰인 예다.   ‘㉣기업에게 필요한 가치’에서 ‘기업’은 사람이나 동물이 아니므로 ‘~에’를 붙여야 한다. “한국에게는 기회가 될 수 있다”에서도 마찬가지로 ‘한국에게는’ 대신 ‘한국에는’으로 해야 한다.   다만 사물을 의인화할 경우에는 사람이나 동물이 아니어도 ‘~에게’를 쓸 수 있다. 우리말 바루기 구분법

2023-06-0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