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청소년기에는 자기 제어 능력 부족해…감정 해소 도와줘야 학습 능률도 올라

그동안 착하기만 하던 아이가 이유 없이 짜증을 내거나 뭐든 잘못되면 엄마 탓으로 돌리는 시기가 누구에게나 찾아온다. 착했던 내 아이는 어디 가고 이제 수시로 부모의 화를 불러일으키고 당혹스럽게 할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 도대체 아이는 왜 그러는 것일까?     ▶적극적 공격 반항   사춘기 아이들은 이유 없이 짜증을 내거나 부모에게 트집을 잡거나 탓을 한다. 그리고 부모에게 반항하거나 공격하지 못하는 아이들은 또래에게 공격을 하는 경우도 있다. 청소년 시기에는 신체가 급속도로 성장하면서 내부에서 굉장한 에너지가 나오고 감정적으로 불편함이 강력하게 발생하는데 이를 제어할 힘은 아직 부족한 상태기 때문에 반항으로 표출된다.  또한 이 시기는 부모로부터 독립을 하기 위한 투쟁의 시기로 나만의 가치관과 습관을 세워야 하는데 나를 통제하고 의사결정에 막대한 영향력을 주는 부모로부터 떨어지려 하는  자율권과 독립에 대한 욕구가 강하게 분출한다. 그래서 상대에게 수치심을 느끼게 하거나 고통을 주는 말과 행동으로 공격을 하여 자기의 영역을 지키려고 한다.     ▶소극적 공격성     모두가 공격성을 드러내지는 못한다. 부모가 엄격하고 통제가 강한 경우는 조용한 형식의 반항을 하는데 이것은 눈치 채기 어렵게 뒤에서 일어난다.  또래 사이에서 험담을 하거나 소문을 내는 경우도 있고  따돌림을 조장하거나 친구를 조정하려고 드는 등 뒤에서 몸짓이나 언어로 관계를 이용해 친구를 공격하는 경우들도 있다. 그리고 더 소극적인 경우는 자신을 향해 공격을 하는 경우다.  자신을 공격하는 아이들은 ‘나는 못하는 사람이야'라고 자신을 비하하는  언어적 행동 표현을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수동적 공격성은 반항까지는 못하지만 조용히 자신을 못하는 사람으로 만들어 버리는 스타일의 공격성 자신에게 가장 위험하고 어려운 방식으로  ‘자기 살 파먹기식' 공격을 하며 자신을 해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주의해서  들여다 봐야 한다. 하지만 아이들은 모두 누구보다  잘하고 싶고, 인정받고 싶어한다. 하지만 모두 그럴 수 없다는 것을 알기에 자기 자신은 안된다고 주문을 걸며 안정을 찾고 있는 것이다.     ▶속마음과 해소   아이의 이유 없는 짜증, 삐딱하고 반항적인 태도, 화를 내는 모습을 보고 있으면 어떤 부모 든 화가 나지 않을까? 하지만 아이의 이런 태도들이 사실은 자신감 없고, 스스로가 약하다고 느껴질 때 불안해 지면서 나타나는 행동이고 자신의 두려움을 들키고 싶지 않은 아이들은 자신도 모르게 공격적인 모습을 보여 자신의 불안을 감춘다.  자녀가 이런 모습을 보인다면 부모는 숨이 막히는 압박감과 화를 느끼기 쉽다.  하지만 공격성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성장 과정이라는 사실을 알고 나면 아이의 공격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부터 바뀌게 될 것이다.  아이가 자신이 느끼는 경쟁심, 질투, 분노 등은 모두 자연스러운 감정이라는 것을 알고 자신의 감정을 억누르기보다는 인정하고 건강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유도해 줄 수 있다.     만일 부모가 자녀의 태도에 감정이 격해 있고 혼란스러울 때가 있다면  잠시 시간을 두고 안정을 찾는 것이 좋다.  아이가 흥분해 있을 때는 부모가 먼저 참고 물러나는 것이 지혜로운 방법이다. 무조건 져주라는 게 아니다. 물러나서 아이가 그 상황에서 진정할 수 있게 해줘야 한다. 그래야 아이가 극단으로 치닫지 않고 자신의 상황을 정리해 볼 수 있다. 아무리 화가 나도 폭발시키지 않고 자신의 문제를 스스로 해결할 수 있다는 소중한 경험을 하게 되기 때문이다.     아이의 공격성이 부모에게 이해 받을 때 아이의 내면이 건강해질 수 있다.  중요한 시기의 아이들이 학업이나 진로에 방해받지 않도록 그 마음 속에 분노와 슬픔을 잘 해소 시키는 것이 공부보다 더 중요하다.  자신의 감정을 잘 해소하고 정서적으로 건강해야 학습 능률도 더 올라갈 수 있다.   ▶문의:(323)938-0300   www.a1collegeprep.com    새라 박 원장 / A1칼리지프렙청소년기 제어 감정 해소 소극적 공격성 수동적 공격성

2023-08-27

폭력적인 콘텐트 노출 많아져…아동 공격성 증가 문제 대책 시급

 미디어 콘텐트의 폭력성과 아동의 공격성 간의 상관 연구는 심리학계에서 꽤 오래된 연구 주제다. 연구에 따르면, TV나 영화로 접하는 폭력물을 비롯해 과격한 콘텐트로 구성된 컴퓨터, 비디오 게임은 아이들의 공격성을 증가시키는 데 큰 영향을 미치며 이를 반증하는 연구는 아직 없다.   미국의 경우, 총기 사고가 발생할 때마다 개인의 총기 소지 권리 제한을 촉구하는 강한 사회적 여론이 형성된다. 그러나, 이 문제가 지속해서 제기돼 왔음에도 불구하고, 해결책 마련은 쉽지 않아 보인다.   증가하는 총기 사고와 그 결과로서 다수의 무고한 생명의 희생은 이미 고질적인 사회 문제가 된 듯하다. 더 큰 우려는 폭력형 범죄의 증가와 맞물려 아이들의 공격적 성향이 갈수록 증가하는 것에 있으며, 이는 어느 특정 국가에 국한된다기보다 많은 나라에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보편적 현상이다.   최근 한국에서 제작된 드라마가 넷플릭스라는 대형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다수의 국가에서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다 한다. 필자도 해당 드라마를 볼 기회가 있었다. 드라마의 타이틀이 주는 느낌과는 상반되게, 매우 파격적이고 충격적인 소재의 드라마였다. 첫 회부터 마지막 회까지 감히 상상할 수조차 없는 수준의 잔인한 장면들로 가득했다.     그런데, 처음 한두 편을 볼 때 느꼈던 충격과 공포감이 시간이 지날수록 약해지는 게 아닌가. 드라마 초반부에 그토록 잔인하게 느꼈던 장면들은 회를 거듭할수록 덜 잔인하게 다가왔다. 내 감각(sensation)과 지각(perception)이 무뎌지는 경험이었다. 이를 적용하면, 대중매체의 폭력성이 아이들의 공격성을 어떻게 증가시키는지 이해하기 쉽다.   인간의 감각과 지각 능력은 장시간에 걸쳐 동일한 자극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며, 습관화(habituation) 및 둔감화(desensitization)를 경험한다.   즉, 같은 내용과 강도의 폭력물은 시간이 지날수록 덜 매력적이다. 따라서, 동일한 수준이거나 더 큰 재미와 흥분을 경험하려면, 폭력성과 자극성의 강도가 증가해야 하는데, 이는 더욱 폭력적인 콘텐트를 찾게 하는 이유다. 아직 인지적·인격적으로 미성숙한 아이들은 폭력물이 수반하는 유해성을 제대로 인식할 수 없다. 인식한다 할지라도, 그 수위를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   앞서 언급한 드라마는 상업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한다. 제작자들이 어른들의 재미와 볼거리, 그리고 자신들의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담아내는 자극적이고 폭력적인 콘텐트가 아이들에게 어떤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한 번이라도 고민해 보았을까. 물론 ‘18세 미만 시청 불가’라는 연령 제한을 두었다 한다. 문제는 이것의 실효성이다. 아이들이 보기로 작정하면, 스마트폰을 비롯한 다양한 전자 기기를 통해 충분히 볼 수 있는 통로가 많은 곳에 뚫려 있지 않은가.   참 어려운 문제다. 대중성과 상업성을 추구하는 미디어 산업 종사자들에게 아이들에 미칠 영향까지 고려하라고 하면, 그들의 책임이 아니라고 하거나 코웃음을 칠 수도 있겠다. 그래서 더 걱정이다. 폭력성이 농후한 대중문화에 무분별하게 노출되며 자라는 아이들이 성인이 되어 더 큰 사회 문제를 야기하면, 그때 가서 우리는 과연 무엇을 할 수 있을까. 미국과 유럽의 국가들이 해당 드라마의 폭력성에 대해 경고하고, 아이들의 시청을 금지하는 장치를 마련 중이라 한다. 우리도 이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적절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문의:[email protected]   김현경 / 호튼대학교 심리학과 조교수콘텐트 공격성 콘텐트 노출 폭력성과 자극성 아동 공격성

2022-01-23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