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그늘없는 그늘막 수정·폐기 가능"…제작 KDI "정부 예산 안 썼다"

전국적으로 탁상행정과 예산 낭비 전형으로 떠오른 LA시 버스정류장 그늘막 시제품은 어디까지나 시범사업이라는 주장이 나왔다.   25일 LA타임스는 7500달러짜리 그늘막 ‘라 솜브리타(La Sombrita·스패니시로 그늘이라는 뜻)’를 디자인한 ‘쿤키 디자인 이니셔티브(KDI)’의 첼리나 오드버트 CEO를 인용해, LA시 버스정류장 4곳에서 공개된 라 솜브리타 최종 설치 계획은 여론조사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전했다.     특히 KDI 측은 라 솜브리타는 여성 승객의 편의를 고려한 시제품으로 주민 반응에 따라 수정 또는 폐기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성인 상반신 정도 크기 금속판에 구멍이 뚫린 모양의 라 솜브리타 현 시제품도 다른 디자인으로 변경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KDI는 라 솜브리타가 버스 정류장(bus shelter)이 아니고, 정부 예산이 들어가지도 않았다고 항변했다. 라 솜브리타 디자인 설계 및 시제품 제작은 로버드 우드 존슨 재단(Robert Wood Johnson Foundation)의 지원금으로 진행했다고도 밝혔다.     또 KDI는 그늘막 라 솜브리타 시제품을 최종 제작하는데 개당 총 1만 달러가 들었지만, 향후 대량 생산될 경우 개당 2000달러까지 단가가 떨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KDI에 따르면 지난 2021년 LA교통국(DOT)은 KDI와 공동으로 ‘체인징 레인(Changing Lane)’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는 LA시 메트로 이용자의 50%에 달하는 여성을 위한 안전확보 등 편의 증진 시설물을 개발하는 내용이었다.     이후 KDI는 로버트 우드 존슨 재단의 지원금으로 버스 정류장에 설치할 효율적인 그늘막 개발에 들어갔다. KDI는 넓게 그늘이 지는 입식형, 좌석에 앉으면 그늘이 지는 일체형 등 다양한 시제품을 디자인했다.     하지만 KDI와 LA교통국은 그늘막 설치 승인을 위한 행정절차 간소화, 빠른 현장 설치 등을 고려해 현재 시제품 형태의 라 솜브리타를 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판 여론을 의식한 KDI의 오드버트 CEO는 “라 솜브리타는 버스 정류장 철제 기둥에 몇 분 만에 설치할 수 있다”며 “이 그늘막 설치를 위한 허가 절차가 필요하거나 (야간 전등) 전력공급을 위한 유틸리티 작업도 필요하지 않다”고 말했다.   LA DOT 측은 성명을 통해 라 솜브리타는 버스 정류장이나 가로등 대체 시설이 아니라고 밝힌 뒤, “이 시범사업은 즉각적으로 시행할 수 없는 지역에서 작은 그늘과 빛을 만들고 테스트해보기 위함”이라고 한발 뒤로 물러났다.   해당 기사를 작성한 LA타임스의 캐롤라이나 미란다는 라 솜브리타가 설치된 버스 정류장을 방문해봤다며 “시제품은 늦은 오후 상체에 그늘이 지도록 도움을 줬다. 없는 것보다는 낫다”고 썼다. 하지만 그조차도 새로운 디자인을 시도하지 않은 점은 큰 실수였다고 꼬집었다.   김형재 기자 kim.ian@koreadaily.com사설 가림막 유니언 애비뉴 la한인타운 인근 버스 정류장

2023-05-25

심야 타운 식당에 떼도둑…3분만에 금전출납기훔쳐 도주

LA한인타운내 한식당에 절도범들이 업소 문을 부수고 침입해 현금 등을 털어 달아났다. 최근 유명 백화점, 보석상 등을 상대로 유리창을 부수고 물건 등을 훔쳐 달아나는 ‘스매시&그랩(Smash & Grab)’ 범행과 유사해 우려된다.   LA경찰국(LAPD)에 따르면 13일 오전 4시 30분쯤 LA지역 웨스턴 애비뉴 인근 한식 식당 ‘옛골’에서 4인조 절도단이 업소 유리문을 골프채로 깨고 금전출납기 등을 들고 달아났다.   이 식당의 이덕자 사장은 “감시카메라를 보니 절도범들이 슬쩍 업소 주변을 살피더니 골프채를 들고 순식간에 유리문을 부순 뒤 금전출납기를 훔쳐 달아났다”며 “금전출납기에는 약 700달러의 현금이 들어있었는데 감시카메라를 보니 범행은 2~3분 내외에 이루어질 정도로 순식간이었다”고 말했다.   피해 업소에는 경보장치 등이 설치돼 있지 않았다. 이로 인해 업주는 이날 오전 6시쯤 영업 준비를 하러 식당에 나왔다가 피해 사실을 알게 됐다.     업주 측이 본지에 제공한 감시카메라 녹화 영상을 보면 용의자들은 범행 당시 검은색 후드티 등을 입고 있었다.   최근 ‘스매시&그랩’ 범죄는 잇따라 발생하고 있다. 지난 6일에는 다운타운 사우스 힐 스트리트 선상의 한 보석상이 지난달 13일 LA한인타운 인근 ‘오토존’이 떼강도 피해를 당했다. 장열 기자떼도둑 심야 심야 타운 la한인타운 인근 다운타운 사우스

2022-09-13

타운 인근 오토존에 30명 떼강도

    LA한인타운 인근 차량 부품 판매점이 30여명의 떼강도단에게 털리는 사건이 발생했다.     경찰은 같은 시각 현장 부근에서 불법 ‘스트릿 테이크오버’(Street Takeover)가 진행된 것을 확인하고 두 사건이 연관성이 있는 지 수사 중이다.     LA경찰국(LAPD)은 13일 오전 2시 41분쯤 웨스턴 애비뉴와 워싱턴 불러바드 ‘오토존(AutoZone)’에서 다수의 침입 절도 신고를 받고 현장에 출동했다고 밝혔다.      경찰에 따르면 30~40명의 용의자들은 건물 뒷편을 통해 가게로 침입했고 매장 곳곳을 샅샅이 털어 도주했다.   현재 정확한 피해 금액은 추산되지 않았지만 상당수의 물건이 강탈 당했다고 경찰은 밝혔다.     그 시각, 피해 매장 바로 앞인 웨스턴과 워싱턴 교차로에서는 50여대의 차량이 몰린 가운데, 길을 막고 차로 묘기를 부리는 스트릿 테이크오버가 한창이었다.     아슬아슬하게 창문에 걸터앉은 사람을 태운채로 수대의 차들이 바닥에 원을 그리며 위험천만한 묘기를 부리는 장면이 영상에 포착됐다.     당시 현장에는 약 100명의 구경꾼들이 모여있었으며 체포된 사람은 없었다고 경찰은 전했다.   경찰은 스트릿 테이크오버가 있었던 장소가 절도 사건이 발생한 매장과 매우 가깝다는 점을 고려해 두 사건이 서로 연관돼있을 가능성을 조사 중이라고 밝혔다.     현재 인근 CCTV를 확보하며 수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사건과 관련, 주민들의 적극적인 제보(877-527-3247)를 당부했다. 장수아 기자떼강도 타운 la한인타운 인근 스트릿 테이크오버 현재 인근

2022-08-14

'떼절도'·강도 주택가도 불안하다

LA한인타운 인근을 포함해 LA카운티 지역 주택가를 대상으로 한 범죄가 최근 기승을 부리고 있어 주민들이 불안을 호소하고 있다.     특히 일부 절도범들은 주민들의 목격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범행을 일삼는 듯 갈수록 대범해지고 있어 사태가 심각하다는 지적이다.     15일 폭스뉴스에 따르면 최근 레이크우드 지역 한 주택가에서는 야구방망이와 쇠지렛대를 든 6명의 떼강도가 새벽에 촉매변환기를 훔치기 위해 주민의 차량을 파손시키는 사건이 발생했다.     공개된 CCTV 영상에 따르면 이날 클라크 애비뉴와 캔들우드스트리트 인근 한 주택 앞에는 두대의 차량이 멈춰섰다.     차량에서 내린 6명의 용의자는 곧이어 주택  진입로에 세워져 있던 세단을 야구방망이와 쇠지렛대로 내려치기 시작했고 이로인해 차량 왼쪽 앞뒤 부분이 심하게 파손됐다.     집에서 이를 목격한 차주는 그만두라고 창문 밖으로 소리쳤지만, 이들은 오히려 집으로 다가오며 등 위협적인 행동을 보였고, 차량의 창문과 사이드미러까지 깨뜨리며 더 난폭하게 굴었다.     피해 차주는 “마치 나를 공격할 거 같았다”며 두려웠던 당시 상황을 전하면서 “아마 차량의 촉매변환기를 노리고 범행을 저지른 것 같다”고 추정했다.     이 지역의 또 다른 주민은 자신의 집은 최소 7번이나 범죄의 표적이 됐다며 최근 레이크우드 시의원들과의 미팅에서 대책을 호소하기도 했다고 매체는 전했다.     앞서 지난 5일에는 컬버시티 한 주택가에 침입 절도가 발생해 집에 가보로 보관하던 시계를 도난당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특히나 피해자의 집에는 CCTV까지 모두 설치된 상태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사건은  지난 5일 이른 아침 빈튼 애비뉴 선상 주택에서 발생했다.   이날 옷장 쪽에서 들리는 소리에 잠을 깬 피해자가 다가가 문을 열자, 범인은 튀어나와 대문 쪽으로 도주했다. 피해자의 집 내부 CCTV에는 범인이 담을 넘어 집에 침입하는 장면이 포착됐다.     피해자 이로 인해 집안 가보로 두던 귀중한 시계를 빼앗겼다고 밝혔다.     경찰은 CCTV를 통해 범인 수색에 나섰고, 며칠 후 용의자 마빈 레몬(23)을 검거했다.     LA한인타운도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지난 12일 한인타운 인근인 미드 시티 지역 주택가에서는 개를 산책시키던 남성이 총격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날 새벽 반려견과 함께 걷고 있던 마르코스 샌도발(52)은 갑자기 다가온 괴한의 총에 맞아 현장에서 사망했다.     경찰은 며칠 뒤 이를 강도 사건으로 규정했고 현재 범인을 수색 중이다.     특히 이번 사건이 발생하는 곳은 평소 많은 주민이 반려견을 산책시키던 한적한 주택가로, 주민들은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장수아 기자떼절도 주택가 강도 주택가 la한인타운 인근 강도 사건

2022-03-15

타운 반경 2마일 강·절도 사건 하루 10건

LA한인타운 인근에서 하루에 9~10건 꼴로 강·절도 범죄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연말 방범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범죄지도서비스 ‘크라임맵핑’에 따르면 11월 9일~12월 6일까지 4주간 LA한인타운을 중심으로 2마일 반경에서 발생한 강도·절도 사건은 275건에 달했다. 여기에는 차량 관련 범죄는 포함돼 있지 않다.     ‘절도(theft/larceny)’가 135건으로 제일 많았고, ‘강도’와 ‘빈집털이(burglary)’가 각각 80건과 60건 발생했다.     〈지도 참조〉   한 장소에서 같은 유형의 범죄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곳도 있었다. 타운 인근 윌셔 불러바드와 리틀 스트리트 인근에서는 이 기간에 ‘들치기(shoplifting)’ 3건을 포함해 총 5건의 절도가 발생했다. 4가와 그라머시플레이스, 5가와 웨스턴 애비뉴에서는 한 곳에서 각각 3건의 절도가 발생했다.     한인타운의 경우 윌셔 불러바드 등 대로변을 따라 범죄가 자주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다. 윌셔 불러바드의 웨스턴과 옥스나드 애비뉴 사이에서는 이 기간에 10건의 강도가 발생했다. 윌셔 불러바드 선상 알바라도 스트리트와 유니언 애비뉴 사이 0.4마일 구간은 총 24건의 강도 사건이 발생해 우범 지역으로 변했다.     벤 박 한인경찰공무원협회(KALEO) 회장은 “윌셔와 교차로인 버몬트와 웨스턴 부근 버스정류장이나 지하철역 근처는 범행 후 도주하기 용이해 범죄가 빈발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박 회장은 “순찰을 하면서 팬데믹 전과 비교해 범죄가 정말 급증했다는 것을 피부로 느낀다”며 “경찰 인원 축소와 ‘제로 베일(Zero-bail)’ 등으로 범죄자들은 잡히는 걸 두려워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최근 쇼핑을 끝내고 귀가하는 주민이나 자바시장과 식당 등 현금이 많은 비즈니스의 업주들이 타깃이 되는 경향을 보인다”며 “귀가하는 시간이나 루트를 가끔 바꿔주고 셀폰을 보면서 차에서 내리는 행동은 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인타운과 행콕파크, 윌셔 등에서 강절도 피해가 잇따르자 한인들 사이에서 나도 불시에 당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인타운 주민 새라 김(26)씨는 “점심시간에 타운 식당에서 식사하는데 창문 너머로 한 흑인 남성이 흉기로 다른 남성을 위협하는 것을 목격했고 식당 직원도 놀라 문을 걸어 잠갔다”며 “TV에서 보던 일이 요즘 주변에서 매일 일어나고 있다. 정말 무서워서 못 살겠다”고 털어놨다.     ‘아라도’ 김용호 대표는 “요즘 8시 이후면 문을 걸어 잠그고 운영하고 있다. 가끔 보안요원 복장을 하고 가게 앞을 지키기도 한다”며 “아직 타운 식당가는 우려스러운 상황은 아니지만, 미리 조심해서 나쁠 건 없다”고 말했다.     지난달 26일에는 한인타운 한복판에서 대낮에 한인 부부가 총기 강도 2명에게 고가의 금품을 강탈당하는 사건이 발생하기도 했다. LA경찰국(LAPD)에 따르면 이날 백화점에서 쇼핑하고 올림픽 대로 선상 한식당에서 식사를 하고 나오던 한인 부부에게 강도 일당이 접근해 총을 겨누며 금품을 요구했고, 롤렉스 시계와 발렌시아 가방, 아이폰, 삼성폰 등을 빼앗겼다.       장수아 기자타운 절도 타운 식당가 la한인타운 인근 한인타운 주민

2021-12-07

'삼엄한 경비'속 블랙프라이데이 쇼핑

추수감사절 만찬이 시작된 지난 25일 밤 남가주 지역 주요 쇼핑 거리는 화려했다. LA 그로브몰, 베벌리힐스 로데오 거리, 글렌데일 아메리카나몰 등에는 형형색색 크리스마스트리 장식을 보러 온 사람들로 가득 찼다.   하지만 곳곳엔 경찰 순찰차가 배치됐고, 문 닫은 주요 매장 안에는 무장한 사설 경비원이 밖을 살폈다. 블랙프라이데이 할인 행사를 시작한 시타델 아울렛 측도 사설 경비를 늘렸다. 최근 일주일 사이 남가주에서 쇼핑매장 유리를 망치로 깨고 물품을 훔치는 떼강도 사건이 5건 이상 발생한 여파다. 쇼핑몰 거리는 화려한 야경을 뽐내고 있지만 매장 업주는 언제 닥칠지 모를 떼강도 무리에 불안함을 감추지 못하는 모습이다.   LA경찰국(LAPD)은 블랙프라이데이 쇼핑 주간 유행처럼 번진 떼강도 사건에 강력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일부 절도범이 매장 경비원까지 공격하는 등 과격한 행태를 보인다며 범법 행위를 용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26일 마이클 무어 국장은 abc7 뉴스에 “시민이 도시가 안전하다고 느낄 수 있도록 (쇼핑몰 등) 순찰 인력 배치를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LAPD에 따르면 떼강도 사건은 매장 영업이 끝난 밤 특정시간에 8~20명이 무리지어 망치로 매장 유리창을 깬다. 이후 이들은 재빠르게 매장 안 물건을 훔쳐 달아난다. 경찰은 LA 등 도심 곳곳에서 비슷한 사건을 반복하는 ‘플래시몹(불특정 다수가 약속된 장소에 모여 짧은 시간 동안 약속된 행동을 한 뒤 흩어지는 행위) 절도’ 행태로 보고 있다.   실제 지난 23일 그로브몰 노드스트롬 백화점 유리를 깨고 물품을 훔쳐 달아난 무리는 20명 이상이다. 같은 날 저녁 베벌리힐스 로데오 거리 루이비통, 삭스 피프스 애비뉴 매장 유리문 등이 파손되는 사건도 발생했다. 24일 카노가파크 웨스트필드 노드스트롬 백화점에도 5명이 침입해 고급 핸드백을 훔쳐 달아났다. 이를 저지하던 경비원은 스프레이 공격을 당하기도 했다. 베벌리센터에서도 한 무리가 비슷한 짓을 저지르려다 도주했다.   LAPD 등 지방경찰은 쇼핑매장 업주와 손님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LAPD 측은 업주가 떼강도 사건 현장을 맞닥뜨릴 경우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말고 손님 안전을 최우선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님 역시 강도 무리와 최대한 빨리 떨어져야 한다.     법집행및소매업연합(CLER) 벤 두건 대표는 abc7 인터뷰에서 “플래시몹 형태의 절도는 특정 범죄조직이 개입해 특정 장소 내 물품을 목표로 삼고 도주로까지 확보하는 등 사전준비를 한다”며 “떼강도 순간 정신없어 보이지만 사실 치밀한 계획에 따라 움직인다. 시민이 쇼핑할 때 차 안에 물품이 보이지 않게 하는 일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LAPD 측은 떼강도 사건 외에도 최근 주택침입 절도사건이 100건 이상 발생했다며 시민 주의를 당부했다. 지난 22일 할리우드에서는 한 남성이 강도 위협을 받던 여성을 도우려다 총에 맞아 숨지기도 했다. 지난 23일 폰태나 한 편의점에는 갓난 아기를 들고 온 여성 3명이 점원의 시선을 분산시킨 뒤 현금 등 5만 달러치를 훔쳐 달아났다.                     김상진 기자사설 무장경비 la한인타운 인근 김상진 기자 매장 곳곳

2021-11-2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