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남가주 한인은행들 금융 불안에도 ‘선방’

실리콘밸리은행(SVB)과 시그니처은행 도산으로 촉발된 금융권 불안에도 지난 1분기 남가주 한인은행들이 선방한 것으로 나타났다. 순이익은 줄었지만, 자산 등 외형 성장은 순조롭게 이어졌다.     본지가 서부에 본점을 둔 뱅크오브호프, 한미은행, PCB뱅크, 오픈뱅크, CBB뱅크, US메트로뱅크 등 한인은행 6곳의 2023년 1분기 영업실적을 분석한 결과, 1분기 순이익은 8920만 달러를 기록했다. 총자산은 356억 달러를 돌파했다.〈표 참조〉   ▶순이익   2023년 1분기 남가주 한인은행 6곳의 순이익은 2022년 4분기의 1억911만 달러 대비 18.3% 감소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의 1억1191만 달러 대비 20.3% 밑돌았다. 전년 동분기 대비 순이익이 증가한 은행은 한미은행(+6.3%)과 PCB뱅크(+0.6%) 2곳이다. 특히 PCB뱅크는 1분기 순이익이 직전 분기 대비 18.3% 상승한 1030만 달러(주당 70센트)를 기록하며 월가 전망치인 주당 46센트를 56% 상회하면서 어닝서프라이즈를 달성했다.   ▶자산·대출·예금   지난 분기 남가주 한인은행의 총자산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42억 달러가량 증가한 356억3270만 달러였다. 직전 분기보다는 16억 달러(4.8%) 이상 늘어났다. 은행 6곳 모두 직전 분기와 전년 동기와 비교해서 외형 성장을 이뤘다. 직전 분기 대비 자산 규모가 가장 큰 폭으로 늘어난 은행은 전체 자산의 57.7%를 차지하는 뱅크오브호프다. 지난 분기 뱅크오브호프의 자산 규모는 200억 달러를 돌파한 205억6888만 달러로 직전 분기 대비 7.3%나 증가했다. 전년 동기 대비 자산 증가율이 두 자릿수를 기록한 은행은 뱅크오브호프, 한미은행, PCB뱅크, 오픈뱅크 등 4곳이다.   은행 6곳의 총대출은 직전 분기 대비 1.1% 감소했지만 전년 동기와 비교했을 때 9.6% 더 많은 270억1108만 달러였다. 한인은행 6곳 중 5곳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대출이 증가했다. 다만 CBB뱅크는 대출이 전년 동기 대비 0.2%, 직전 분기 대비 4.9% 감소했다.   1분기 예금고도 남가주 한인은행들은 대체로 성장세를 이어갔다. 은행들의 총예금 규모는 직전 분기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0.9%, 8.5% 증가한 285억9782만 달러였다. 특히 PCB뱅크는 예금이 전년 동기 대비 12.1%, 오픈뱅크는 13.9%나 늘었다.   한인은행권은 “금융 불안으로 예금을 확보하고자 고금리로 예금 상품을 출시하면서 예금 관련 비용이 대폭 늘었다. 이로 인해 순이자마진(NIM)이 대체로 하향했다”고 분석했다.   한 한인은행 관계자는 “신용 경색과 대출 수요 감소 등 경영 환경 악화에도 한인은행들의 1분기 실적은 물론 유동성과 자산 건전성이 매우 양호한 상태”라고 강조했다.  우훈식 기자 woo.hoonsik@koreadaily.com한인은행 남가주 남가주 한인은행들 한인은행 6곳 한미은행 pcb뱅크

2023-04-30

한미은행, 순이익 2199만불…월가 전망치 밑돌아

한미은행의 1분기 영업 실적이 월가 전망치를 밑돌았다.   은행의 지주사 한미파이낸셜콥은 25일 2023년 1분기 순이익이 2199만 달러(주당 72센트)라고 밝혔다. 월가가 예상한 주당 순이익(EPS)인 76센트보다 4센트 적었다. 2848만 달러(주당 93센트)의 순이익을 기록한 직전 분기와 비교하면 22.8% 떨어졌다. 다만, 전년 동기의 2070만 달러(주당 68센트)보단 6.3% 증가했다.     자산, 대출, 예금은 모두 직전 분기 대비 소폭 늘어났다.     총자산 규모는 74억3413만 달러로 직전 분기의 73억7826만 달러에서 0.8% 늘어났다. 67억3705만 달러의 전년 동기보다 10.3% 증가했다.   대출은 59억8046만 달러로 2022년 4분기 59억6713만 달러에서 0.2% 늘었다. 2022년 1분기의 53억3750만 달러 대비 12.0% 늘었다. 특히 예금고는 전 분기의 61억6807만 달러보다 0.5% 증가한 62억104만 달러였다. 전년 동기의 57억8317만 달러보단 7.2% 성장했다.   은행의 수익성 지표인 총자산순이익률(ROA)은 1.21%로 직전 분기 대비 0.35%포인트, 전년 동기 대비 0.01%포인트 하락했다. 3.28%인 순이자마진(NIM)은 전 분기보다 0.39%포인트 낮았지만, 전년 동기와 비교했을 땐 0.18%포인트 향상됐다. 우훈식 기자 woo.hoonsik@koreadaily.com한미은행 순이익 한미은행 순이익 월가 전망치 주당 순이익

2023-04-25

한미은행, 예금 전액 FDIC 보장 상품 출시

한미은행이 연방예금보험공사(FDIC)의 예금보험 한도액 이상의 예금에 대해서도 FDIC 예금보험을 통해 예금 전액을 보장받을 수 있는 ICS 체킹 및 머니마켓 계좌 상품을 새롭게 출시했다.   이 상품을 통해 한미은행에 예금을 예치하면, 계좌 잔액이 FDIC 예금보험 최대 한도액(25만 달러)을 넘어도 FDIC 예금보험을 통해 전액을 보장받을 수 있게 된다.   ICS(Insured Cash Sweep) 계좌로 불리는 이 상품은 금융 서비스 네트워크인 인트라파이(IntraFi)를 통해 가입 은행들끼리 각 고객의 25만 달러 초과액을 교환, FDIC 보험 혜택 자격을 얻게 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이에 따라 그간 CD계좌에 같은 방식으로 제공하던 CDARS에 더해 체킹과 머니마켓 계좌에도 전액 FDIC 보장 혜택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 다만 ICS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계좌 예치액이 100만 달러 이상이어야 한다.   시스템상으로는 예금이 분산 예치돼 있지만, 고객이 해당 예금을 사용할 때에는 모든 금액이 한 계좌에 있는 것처럼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고객 정보도 다른 은행으로 넘어가지 않고 인트라파이 시스템에만 저장된다. 본인의 예금이 어느 은행에 분산 예치돼 있는지는 한미 온라인·모바일뱅킹 및 월 계좌 내역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바니 이 행장은 “고객이 FDIC 예금보험 보장 한도액에 대한 걱정 없이 한미에 대한 더욱 큰 신뢰를 갖고 거래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ICS 및 CDARS 계좌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가까운 지점을 방문하면 담당 직원을 통해 상담받을 수 있다.   김은별 기자 kim.eb@koreadailyny.com한미은행 전액 예금보험 보장 한미은행 예금 예금보험 한도액

2023-04-18

한미 신규체킹 오픈시 300불…스몰비즈니스 상품도 출시

한미은행이 새로운 혜택을 추가한 체킹 상품을 출시했다. 은행은 9일 개인과 비즈니스 고객에게 부가 서비스 혜택을 제공하는 신규 예금 계좌 프로모션을 31일까지 제공한다고 밝혔다.   한미은행은 신규 퍼스널 체킹 계좌 개설 후 첫 3개월간 평균 잔액을 2만 달러 이상으로 유지하는 고객에게 300달러의 현금 인센티브를 제공하기로 했다.     혜택을 받기 위해선 전자명세서를 수령해야 하며 첫 3개월간 매달 ACH 거래 1회 또는 데빗카드 5회 이상 결제해야 한다. 계좌 최소 유지 기간은 6개월이다.   스몰비즈니스를 위한 ‘비즈니스 어드밴티지 체킹’ 상품은 개설 후 첫 200회의 출금 거래가 무료이며 국내외 송금은 각 2회 무료다. 송금용 온라인 모듈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큰 사업체를 위한 ‘어드밴티지 플러스 체킹’은 출금 거래 시 체크와 ACH 거래 모두 각 250회씩 무료로 제공된다. 국내외 송금 시 매달 5회에 한해 수수료가 면제되며 송금받을 때 수수료가 없다. 월 3회 온라인 체크 지불 정지 요청도 무료다.     계좌 개설 및 상품 관련 문의는 가까운 한미은행 지점을 방문하거나 전화(855-773-8778)로 문의하면 된다. 우훈식 기자 woo.hoonsik@koreadaily.com스몰비즈니스 신규체킹 스몰비즈니스 상품 한미 신규체킹 한미은행 지점

2023-03-09

한미은행 순이익 2847만불 호실적…4분기 월가 전망치 상회

한미은행이 월가 전망치를 웃도는 영업 실적을 기록했다.   한미의 지주사인 한미파이낸셜뱅콥은 24일 2022년 4분기 순이익이 2847만 달러(주당 93센트)라고 발표했다. 직전 분기의 2716만 달러(주당 89센트)보다 4.8% 늘어난 것이다.  또 월가 전망치(주당 85센트)를 웃도는 실적이다. 하지만 전년 동기의 3333만 달러(주당 1달러 9센트)보단 적은 수치다.   한미은행의 연간 순이익 규모는 1억139만 달러(주당 3달러 32센트)였으며 전년 기록인 9867만 달러(주당 3달러 22센트)에서 2.8% 증가했다.   은행의 총자산 규모는 직전 분기보다 3.5% 늘어난 73억7826만 달러였다. 전년 동기 대비 7.6% 성장했다. 대출은 59억6713만 달러로 지난해 3분기와 전년 동기와 비교해서 각각 2.9%, 15.8% 늘어났다. 61억6807만 달러인 예금고는 2022년 3분기(62억137만 달러)에서 0.5% 줄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해선 6.6% 늘어난 셈이다. 4분기 예대율은 96.7%였다. 직전 분기의 예대율은 93.5%에서 악화했다. 총자산순이익률(ROA)은 1.56%로 전 분기의 1.52%에서 4베이시스포인트(Basis Point, 1bp=0.01%포인트) 상향됐다. 전년 동기의 1.93%보단 37베이시스포인트 낮아졌다. 순이자마진(NIM)은 3.67%로 직전 분기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베이시스포인트, 71베이시스포인트 상향했다. 우훈식 기자한미은행 순이익 한미은행 순이익 월가 전망치 연간 순이익

2023-01-24

한미, 허니비와 협업…금융 소외계층 지원

한미은행이 재무 관리 및 펀드 전문 업체 허니비와 협업을 통해 금융소외 계층 지원을 확대했다.   지난 26일 은행 측은 은행 계좌가 없거나 계좌가 있음에도 다른 금융 대안이 필요한 고객들에게 한미의 ‘초이스’ 예금 계좌의 개설을 지원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파트너십으로 허니비 고객들은 한미은행 지정 은행원에게서 은행 업무 서비스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에니 임 허니비 공동창업자는 “소비자 4명 중 1명은 아직도 은행 대신 수수료가 비싼 다른 금융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며 이번 파트너십의 취지를 설명했다.   바니 이 한미은행 최고경영자(CEO)는 “한미는 은행 업무에 제약을 받았던 이민자들을 돕기 위해 시작됐다”며 “금융 취약층을 돕기 위한 상품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한미의 초이스 예금 계좌는 초과인출 수수료가 없고, 25달러만 있으면 계좌를 오픈할 수 있다. 월 4.95달러의 유지 수수료는 한 달에 한 번 계좌로 급여가 입금될 시 면제된다. 또한 다른 계좌와 동일하게 온라인과 디지털 요금 결제가 가능하다.   한편, 허니비는 고용주들과 협력하여 직원들에게 재정적 도움을 주는 업체로 고객과 그 가족들에게 비상금(Rainy Day Fund) 준비, 금융 교육과 워크숍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우훈식 기자소외계층 허니비 한미 허니비 금융 소외계층 한미은행 최고경영자

2022-10-26

[삶과 추억] 노광길 한미은행 명예회장, 한인 금융권의 산증인

LA한인경제계의 거목이자 한인 금융권의 산증인인 노광길(영어명 조셉 노·사진) 한미은행 명예 회장이 지난 13일(한국시간) 지병으로 작고했다. 81세. 유가족으로는 부인과 1남 1녀가 있다. 고인은 신병 치료차 한국에 체류 중이었다. 미국에서의 장례 일정은 곧 결정될 예정이다.     평안남도에서 태어난 고인은 1959년 서울사대부고, 1963년 서울 상대를 졸업했다.     1969년 한국화약 LA지사 주재원으로 미국생활을 처음 시작한 고인은 70년대 조셉 노 보험회사를 설립하고 사업가로 이름을 알렸다. 이후 1987년부터 2002년까지는 코리아 플라자 LP의 파트너, 2002년부터 2010년까지는 J&S 인베스트먼트의 대표를 맡으며 한인경제 성장의 선구자 역할을 했다.   1982년 창립된 한미은행의 이사로 1984년에 합류한 후 35년 간 이사와 이사장으로 재임했다. 특히 그는 1999년부터 2002년까지 처음 이사장을 맡은 후 한미 성장에 크게 기여했으며 2007년부터 13년간 두 번째 이사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고인은 2019년 5월 한미은행 주주총회에서 은퇴하고 난 후에도 명예회장으로서 주요 비즈니스 개발, 전략적 아젠다 등에 대한 조언과 자문을 아끼지 않았다는 후문이다.   고인은 은퇴식에서 “지난 35년간 한미 이사회에서 일한 것에 대해 매우 영광스럽게 생각한다”며 “한미가 전국 9개 주에서 35개지점을 두고 뱅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선도적인 커뮤니티 은행으로 성장할 수 있어서 크게 감사한다”고 소감을 전한 바 있다.     바니 이 한미은행 행장은 “큰 별이 졌다. 한인 및 지역사회와의 동반성장이라는 노 명예회장의 경영이념(Legacy)과 탁월한 리더십을 이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진성철 기자삶과 추억 한미은행 명예회장 노광길 한미은행 한미은행 주주총회 한미은행 행장

2022-10-17

한인은행 영업 호조…순익 2억불 깼다

남가주 한인은행들이 지난해 상반기에 뛰어넘지 못했던 2억 달러의 순이익 벽을 넘어섰다.   본지가 남가주 한인은행 6곳의 2분기와 상반기 실적을 분석한 결과, 올 1월~6월까지 순이익은 2억3097만 달러였다. 2억 달러에 근접했던 지난해 같은 기간의 1억9676만 달러보다 17.38% 증가한 것이다. 〈표 참조〉 부진이 예상됐던 지난 2분기 순이익 역시 1억1128만 달러로 작년 동분기(1억806달러)보다 더 나았다. 뱅크오브호프, 한미은행, PCB뱅크, 오픈뱅크, CBB, US메트로뱅크 등 한인은행 6곳 중 5곳의 전년 대비 순이익 증가율이 두 자릿수를 기록했다.   ▶순이익   남가주 한인은행 6곳의 전년 동기 대비 순이익 증가율은 5.10~45.36%였다.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한 은행은 전년 대비 45.36% 더 많은 순이익을 올린 오픈뱅크였다. 이 은행의 상반기 순이익은 1700만 달러에 가까운 1694만 달러였으며 작년보다 500만 달러 이상 더 많이 벌었다. 26.91%의 CBB 역시 상반기 동안 1523만 달러의 순이익을 거뒀으며 US메트로뱅크(24.20%)도 20% 대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뱅크오브호프의 경우, 한인은행 6곳 전체 순이익의 절반을 넘긴 1억1945만 달러였다. 이는 2021년 상반기의 1억292만 달러와 비교해서 16.06%가 더 불어난 것이다. 한미은행도 상반기 영업 실적이 5000만 달러를 넘기며 호실적을 이었다.     하지만, 은행 2곳은 상반기 수익은 늘었지만 2분기 수익은 전년 동기보다 줄면서 순이익 증가세의 둔화가 감지됐다.   ▶외형성장   남가주 한인은행들은 상반기동안 순이익뿐만 아니라 외형 성장세도 이루었다. 특히 총대출은 총자산(6.54%)과 총예금(5.94%)에 비해 가장 큰 성장률(11.75%)을 보였다.     올 상반기 6곳의 총자산 규모는 321억6148만 달러다. 지난해 동기(301억8734만 달러)보다 19억7412만 달러가 증가했다. 작년 동기 대비 자산 규모면에서 두 자릿수 성장세를 보인 은행은 PCB뱅크(13.81%), 오픈뱅크(20.77%), CBB(10.21%), US메트로뱅크(24.04%)로 조사됐다. 오픈뱅크의자산규모는 20억 달러를 코앞에 둔 19억3409만 달러를 기록했다.     뱅크오브호프 총자산 규모는 181억 달러에 육박한 180억8335만 달러로 나타났다. 이는 작년 동기보다 3.55% 증가한 수치다.     총예금 규모는 273억328만 달러로 지난해 상반기(257억7130만 달러) 대비 5.94% 성장했다. 한인은행 6곳 모두 전년도 상반기와 비교해 증가세를 보였다. 기준금리 인상 덕을 본 것으로 풀이된다. 6곳의 총대출 규모는 259억6936만 달러로 지난해 상반기(232억3861만 달러)보다 27억2074만 달러가 더 많았다.   한인 은행권은 “지난 6개월 동안 4번의 인상으로 기준금리가 단숨에 2.25%로 뛰었지만 한인은행들이 인상 충격을 잘 흡수했기에 상반기 영업 실적이 비교적 좋았다”고 진단했다.     한 은행 관계자는 “하반기에는 경기 하강이 전망되면서 은행들의 수익 여건과 영업 환경이 악화될 것”이라며 “더욱이 연말까지 기준금리가 더 오를 것이기에 부실 대출 및 자산 등 은행의 리스크 관리 역량이 하반기 수익 구조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수연 기자한인은행 상반기 한인은행 상반기 한미은행 오픈뱅크 남가주 한인은행

2022-08-0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