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뉴욕시 고교 인근 잇단 총격사건 발생

맨해튼·브루클린 등 뉴욕시 고등학교 인근에서 잇단 총격사건이 발생해 학생·학부모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뉴욕시경(NYPD)에 따르면 지난 6일 오후 3시경 맨해튼 헬스키친의 파크웨스트고교 인근에서 15세 남학생이 총격을 당해 입원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신원이 밝혀지지 않은 피해 학생은 사건 직후 인근 모닝사이드하이츠 마운트사이나이병원에 입원해 치료를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학생이 다행히 생명에는 지장 없는 부상을 입었다고 전달했다.   이어 7일 브루클린 선셋파크에서도 PS 371 고교 인근의 한 델리에서 2명의 학생이 총격을 당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경찰에 따르면 이날 오후 2시30분 18세 학생 2명이 방과 후 델리에서 간식을 사먹던 도중 한 괴한이 들어와 이들을 향해 총격을 가한 후 도주했다고 밝혔다.   두 학생 역시 다행히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부상을 입고 현재 인근 루터란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고 경찰은 전했다.   전국에서 이어지고 있는 총기난사와 더불어 뉴욕시에서는 미성년자 총격 피해자가 지난해부터 급증하는 현상을 보여 학생·학부모들의 우려를 사고 있다.   NYPD 통계에 다르면 2022년 한 해 동안 뉴욕시에서 발생한 총격사건 피해자 중 157명이 미성년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뉴욕시의 총격사건 최저치를 기록했던 2017년(789건) 미성년자 피해자 75명 대비 두 배 이상으로 늘어난 셈이다.   또 전년도(2021년) 총격사건 피해자 중 미성년자는 약 140여 명으로 집계돼 계속 증가세다.   전문가들은 미성년자들이 총격사건에 연루되는 주요 원인으로 ▶지난 3년간 이어진 팬데믹으로 인한 가정환경 변화 ▶유령총 등 불법총기 확산 ▶저소득층의 경제적 어려움 등을 꼽았다.     한편,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뉴욕주 교내 및 학교 인근 안전강화를 위해 3100만 달러의 예산을 추가할 계획이라고 7일 밝혔다. 여기에는 보안 강화를 위한 1660만 달러, 교내 시설 개선을 위한 720만 달러, 공립·사립 등 학교간 연결성 강화에 700만 달러 등이 속해 있다. 주지사는 이 재원을 통해 학교 출입문 보안시설·영상 카메라·비상사태 알림 등 시스템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심종민 기자 shim.jongmin@koreadailyny.com총격사건 뉴욕 총격사건 최저치 파크웨스트고교 인근 총격사건 피해자

2023-03-08

미성년자 총격사건 급증에 우려 커져

최근 뉴욕시에서 미성년자 총격사건 피해가 급증하면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뉴욕시경(NYPD) 통계에 다르면 지난 2022년 뉴욕시에서 발생한 총격사건 피해자 중 157명이 미성년자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뉴욕시의 총격사건 최저치를 기록했던 2017년(789건) 미성년자 피해자 75명 대비 두 배 이상으로 늘어난 셈이다.   또 전년도(2021년) 총격사건 피해자 중 미성년자는 약 140여 명으로 집계돼 계속 증가세다.   데이비드 뱅크스 뉴욕시 교육감은 26일 데일리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미성년자 총격사건 급증은 더 큰 개입이 필요한 비상사태”라고 지적했다.   특히, 어린 나이의 학생들이 쉽게 총기에 노출될 수 있는 환경이 문제라며 현재 경찰관·상담사·사회복지사 등의 개입으로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현재 시전역 학교 1600곳 중 주요 우범지역 144곳에서만 실시하고 있는 범죄예방 이니셔티브 ‘프로젝트 피봇’을 확대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키챈트 시웰 뉴욕시경국장은 26일 뉴욕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증가하고 있는 미성년자 범죄는 2017년부터 시작된 주정부의 사법 개혁부터 이어지고 있다”고 짚었다.   뉴욕주는 2017~2018회계연도에 통과된 주법 개정에 따라 뉴욕주 성인재판 기준연령을 2018년부터 만 16세에서 만 17세로, 2019년 만 17세에서 만 18세로 단계별로 상향조정했다.   보도에 따르면 2019년 성인재판 기준연령이 만 18세로 상향조정된 후 뉴욕시에서 체포·기소된 미성년자는 5009명으로 집계됐다. 2022년에는 현저히 줄어든 3472명에 그쳤다.   특히 경범죄의 경우 형사법원이 아닌 가정법원에서 심리하기 시작하는 등 법적 제제가 완화되면서 미성년자들이 더 과격한 범죄를 저지르고 때로는 체포되거나 기소되지도 않고 있어 문제라고 시웰 국장은 주장했다.  심종민 기자 shim.jongmin@koreadailyny.com미성년자 총격사건 미성년자 총격사건 미성년자 범죄 미성년자 피해자

2023-01-27

팜데일 총격사건으로 사망한 청소년, 2021년 마약복용차사고 운전자와 동일인

    지난 18일 팜데일에서 총격으로 사망한 17세 청소년은 2021년 베니스에서 유모차를 끌고 있던 여성을 고의로 차로 부딪혔던 운전자와 동일 인물인 것으로 나타났다.   LA 카운티 셰리프국은 18일 오후 8시30분 직후 3만8600블록 11가 이스트에서 총격사건이 발생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고 밝혔다. 이 사건과 관련한 더 자세한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다.   2021년 8월 6일 베니스에서는 끔찍한 교통사고가 발생했다. 스피드웨이와 갈레온이 만나는 교차로 인근이었는데 당시 인근에 설치된 감시카메라에 사고 순간이 모두 담겨 있다.   동영상에는 한 여성이 8개월된 유아가 누워있는 유모차를 끌다가 멀리서 차가 다가오자 벽쪽으로 바짝 붙는다. 하지만 그 차는 여성을 피하지 않고 오히려 속도를 올려 여성에게 돌진해 치는 장면이 나온다.   차에 부딪힌 여성은 공중에서 한바퀴 돌아 땅에 떨어지자마자 유아가 안전한 지 살피고 사고를 낸 차량은 그대로 도주한다.   잠시 후 사고 차량은 사고 현장을 목격하고 쫓아간 사람들에 둘러싸이지만 운전석 문을 잠그고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   사고 차량 운전자는 당시 16세 청소년이었고 차는 렌탈카로 밝혀진다.   이후 LA 경찰국은 사건 발생 시점에 이 청소년이 마약을 복용한 상태였다고 수사결과를 발표한다. 하지만 이 청소년이 어떻게 렌탈카를 운전하게 됐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사고를 낸 청소년은 미성년자 신분이었기 때문에 그 어떤 처벌도 받지 않고 부모에게 인도된다. 그리고 그는 18일 총탄에 비명횡사했다.   김병일 기자마약복용차사 총격사건 총격사건 희생 사고 차량 당시 인근

2023-01-20

알렉 볼드윈, 영화 '러스트' 총격사건 관련 과실치사 혐의 적용돼

    영화배우이자 감독인 알렉 볼드윈과 무기소품관리자 해나 구티에레즈-리드가 지난 2021년 영화 '러스트(Rust)' 제작 과정에서 발생한 총격 사망사건과 관련해 각각 2건의 과실치사 혐의가 적용돼 기소된다고 ABC 뉴스가 19일 보도했다.    매리 카맥-알트위스 뉴멕시코 주 산타페 제1 사법 검사와 안드레아 립 특별검사는 이날 오전 언론에 공개한 보도자료를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이 사건과 관련해 데이비드 홀스 제1 조감독은 이미 살상무기에 대한 부주의한 사용 혐의에 대해 유죄를 인정하는 데 합의한 바 있다.    볼드윈의 변호를 맡고 있는 루크 니카스 변호사는 "이번 결정은 할리나 허친스의 비극적인 죽음을 왜곡하고 정의가 끔찍하게도 실종된 것을 표현한다"며 강력하게 반발했다.      니카스 변호사는 바로 이어 "볼드윈은 사건 발생 당시 총 안 뿐만 아니라 영화 제작 세트 그 어느 곳에도 실탄이 있다고 믿어야 할 아무런 이유가 없었다"며 상급심에 상고해 반드시 승소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해당 사건은 2021년 10월 21일 오후 2시쯤 뉴멕시코 주 산타페 한 목장에서 영화 '러스트'를 촬영하던 중 발생했다. 당시 감독인 볼드윈이 조감독에게 넘겨받은 소품용 권총의 방아쇠를 당겼고 이에 앞쪽에 있던 여성 촬영 감독인 할리나 허친스와 감독 조엘 소자에게 향했다. 이 가운데 허친스는 앨버커키에 있는 한 대학 병원으로 즉시 옮겨졌으나 결국 사망했다.    소품관리자인 리드는 경찰에 '사건 당일 모조탄을 확인했고 실탄이 보관된 적은 없다'는 취지의 진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후 검찰은 촬영장에서 실탄과 공포탄, 모조탄 등 탄환 500발과 개조된 리볼버 권총 1정과 플라스틱 권총 1정을 추가로 압수했다고 발표했다.  김병일 기자총격사건 과실치사 볼드윈 영화 과실치사 혐의 영화 제작

2023-01-19

뉴욕시 교통사고 사망자 소폭 감소

올해 뉴욕시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사망자가 지난해 대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 교통국(DOT) 통계(12월 26일 기준)에 따르면 시전역에서 발생한 교통사고 사망자는 247명으로 집계됐다. 전년동기 274명 대비 9.8% 감소한 수치다.   교통국은 에릭 아담스 시장 취임 이후 강화된 비전제로(Vision Zero·교통사고 사망자 0명 목표) 정책이 효과를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올해 시 교통국은 아담스 시장의 지시로 교통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교차로 ▶500곳에 보행자 우선출발 신호제 확대 ▶100곳에 고원식 횡단보도(raised crosswalk) 설치 ▶350곳에 전방향 정지 표지판 설치 ▶보행자 보호 공간 확대 등의 조치로 보행자 안전 환경을 강화했다.     또 지난 8월부터 과속 단속 카메라를 24시간 연중무휴로 가동하고 있다.   하지만 교통안전 비영리단체 등 일각에서는 2018년 202건, 2019년 220건, 2020년 246건 대비 여전히 더 많은 교통사고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고, 올해 같은 기간 뉴욕시에서 발생한 총격사건 사망자(246명)보다 교통사고 사망자가 더 많이 발생하고 있어 여전히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심종민 기자 shim.jongmin@koreadailyny.com교통사고 사망자 교통사고 사망자 뉴욕시 교통사고 총격사건 사망자

2022-12-29

60대 한인, 대낮 타운서 ‘묻지마’ 총격 사망

지난 주말 LA한인타운 한복판에서 대낮에 총격으로 60대 한인 남성이 자택 앞에서 숨졌다. 유가족은 20년 넘게 살며 안전하다고 느꼈던 곳인데 충격적인 사건이라며 울부짖었다.     LA경찰국(LAPD)은 지난 10일 오전 11시 42분쯤 5가와 커먼웰스 애비뉴 인근에서 사람이 쓰러져있다는 신고를 받고 출동했다. 경찰이 현장에 도착했을 당시 피해자는 사망한 뒤였다.   12일 LAPD는 피해자 신원을 50대 아시안으로 발표했지만 본지 취재결과 피해자는 한인 안모(61)씨로 밝혀졌다. 유가족에 따르면 안씨는 자택이 있는 사건 현장 부근에서 약속이 있어 외출해 주차한 뒤 보도블록에 잠시 앉아 쉬었다.   이때 안씨의 뒤를 지나친 용의자가 잠시 후 다시 돌아와 안씨를 등 뒤에서 쏘고 사라졌다. 현장에 설치된 CCTV 영상에 이런 장면이 고스란히 담겼는데 용의자는 10여분 뒤 다시 돌아와 안씨의 지갑을 들고 다시 사라지는 대범함을 보였다.   LA카운티 검시소의 세라 얼다라니 공보관은 “안씨는 총격으로 치명상을 입은 상태였다”며 “이번 주 내로 부검을 통해 보다 정확한 사인을 발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안씨의 가족은 충격에 휩싸였다. 유족 관계자는 “사건이 발생한 곳은 미국에 이민 와 21년을 살았던 집 앞”이라며 “인근에 한인 병원이 있어 안전하다고 느꼈는데 대낮에 어떻게 이런 일이 벌어질 수 있냐. 불안해서 어찌 살겠나”고 말했다.   경찰은 사건 이튿날인 11일 흑인 남성 용의자를 체포해 범행 동기 등을 수사하고 있다.   한편 사건 소식이 알려지면서 인근에 살거나, 근무하는 한인들은 불안감을 드러내고 있다. 한 익명의 제보자는 “그날 오전에 총격 사건이 났다는 얘기를 들었고 연방수사국(FBI)이 와서 폴리스라인을 치고 수사하는 것을 목격했다”고 본지와의 통화에서 전했다.     또 다른 제보자는 “용의자가 총을 쏜 뒤 달아나지 않고 태연하게 걸어서 사라졌다고 들었다”며 “너무 무서워서 소름이 끼친다”고 말했다. 김예진 기자한인타운 총격사건 아시안 사망 la한인타운 한복판 총격사건 발생

2022-12-12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