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재정칼럼] 분산투자의 중요성

부동산 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장소(Location) 선택인 것처럼 주식 투자할 때 중요한 것이 분산투자(Diversification)이다. 분산투자의 개념과 중요성은 투자자는 잘 알고 있다. 그런데 실제로는 투자자 대부분이 알게 모르게 분산투자를 하지 않는다.   분산투자를 하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욕심 때문이다. 중국의 거대한 경제 잠재력 등을 생각하며 중국 투자로 은근히 대박을 기대한 사람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는 복권을 구매하여 발표날까지 벼락부자가 되는 꿈을 꾸는 거와 비슷하다.     중국의 주식시장은 2022년 기준으로 전 세계 주식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3.6%에 불과하다. 분산투자라는 관점에서 보면 개인 투자자 자산 전체 중 중국 관련 투자는 3.6% 정도만 투자해야 한다는 뜻이다. 어느 한 곳에 집중적으로 투자해서 대박 나면 얼마나 좋겠는가? 그러나 쉽지 않은 일이다.   세계 기업 50대 기업 중에서 중국 기업이 차지하는 비율은 6% 수준이다. 한 예로 미국 애플(Apple) 기업의 시가총액이 3조 달러나 된다. 이는 중국의 모든 상장기업(2119)의 총자산(2.5조 달러)보다 더 큰 규모다.     한국의 주식시장은 어떠한가? 한국의 주식시장 규모는 세계적인 측면에서 1.6%, 세계의 50대 기업 중 2%에 불과하다. 참고로 미국의 주식시장 규모는 전 세계 60%, 20대 기업 중 15개 기업, 그리고 50대 기업 중 62%나 차지한다.     2020년 팬데믹 시작과 함께 주식투자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이때 한국 한 증권회사의 주식 전문가가 나타나서 누구나 주식 투자하면 큰 부자가 될 것처럼 말했다. 그 전문가는 젊은이들의 주식투자는 매우 고무적인 일이라고 언급했다. 한국의 주식시장은 무려 84%가 개인 투자자라고 하는데 이것도 부족하여 주부나 아이들도 주식투자 클럽을 만들어서 주식 투자해야 한다고 말한 것이다.     그 전문가는 외국시장에 투자하지 말고 한국 주식시장에 투자하라고 강조했다. ‘왜 옆집에 사는 자식에게 투자하느냐? 우리 집 자식에게 투자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그럴듯한 예를 들며 설명했다. 그리고 한국의 주식시장 규모가 작은 이유는 투자자들이 한국 기업에 투자하지 않기 때문이며 한국 투자자 잘못으로 말한다. 국내기업에 투자하라는 애국적인 표현에 감히 누가 대적할 수 있겠는가?   주식 투자는 이익을 얻기 위해서 하는 것이지, 주식시장 규모를 크게 만들기 위해서 투자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 기업에 무조건 투자하지 말라는 뜻은 절대 아니다. 개인이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먼저 제대로 된 분산투자로 이익을 얻어서 한국 기업이 생산한 물품을 사는 과정이 반복되어야 한국 기업이 성장하고 이것이 한국 주식시장 규모를 크게 만드는 것이며 결국에는 국가가 부강해지는 것이다.   경제학자인 피터 번스타인은 그의 저서 ‘가장 중요한 것(The Most Important Thing)’에서 “주식시장은 매우 수용적인 기계가 아니다. 내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해서 높은 수익을 제공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투자자가 간절히 원하고 희망을 품어도 주식시장은 사람처럼 따뜻한 마음을 가지고 있지 않다. 투자자가 냉철하게 판단해서 투자해야만 하는 이유이다.     투자자는 주식시장에 투자하기 전 투자의 기본인 분산투자를 염두에 두고 한국, 중국, 미국, 등에 투자해야 한다. 이것이 투자 위험성(Risk)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성공하는 투자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명덕 / 박사재정칼럼 분산투자 중요성 한국 투자자 한국 주식시장 주식시장 규모

2023-09-17

[재정칼럼] 경제 불황기(Recession) 예측

연방준비제도(Fed)는 폭등하는 물가를 잡기 위해서 지난해부터 기준금리를 올리기 시작했다. 연속적인 금리 상승은 개인이나 기업 경영에 어려움을 준다. 하지만 경제가 불황으로 이어진다 해도 물가를 잡겠다는 것이 연준의 확고한 의지이다. 이런 이유로 많은 경제학자가 2023년에 미국 경제가 불황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경제학자들이 경제 불황을 예측하는 가장 큰 이유는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사람들이 돈을 쓰지 않는 것, 둘째는 기업이 수익을 창출하지 못하는 것, 그리고 마지막으로 기업이나 스몰 비즈니스에서 직원을 해고하는 것이다. 경제 불황의 시작은 3가지 이유 중 특정한 순서는 없다. 어느 한 곳에서의 시작이 불황기로 이어지는 것이다.   이자율이 높아지면 기업은 금리 부담이 커지고 개인도 신용카드, 주택담보 대출, 융자 등의 상환액이 늘어난다. 이로 인해 소비가 감소하고 이는 기업들의 매출 하락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매출 감소로 수익이 줄면 기업은 직원 숫자를 줄이게 된다. 이런 식의 악순환이 발생하면 경제는 불황기로 접어들 수밖에 없는 것이다.   하지만 급격한 이자율 상승에도 미국 경제는 큰 어려움 없이 팬데믹 이전과 같은 상황을 유지하고 있다. 경제학자들의 예측과는 어긋난 것이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     첫 번째 이유는 저축이나 경기부양 자금 수혜 등으로 개인들이 아직 지출 가능한 자금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이고, 두 번째는 실업률이 여전히 낮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실업률이 낮은 이유 중 하나는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로 일하는 사람의 숫자가 줄었다는 것이다. 낮은 실업률은 임금 상승을 초래해 임금 상승 폭이 물가를 앞질렀다. 이로 인해 기업이나 스몰 비즈니스의 수익도 크게 영향을 받지 않았다.   연준의 금리 인상은 주택 담보 대출 이자율의 상승을 동반하기에 주택 시장도 안정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신규 주택 공급이 부족한 데다 주택 소유자의 60%가 4% 미만의 모기지 금리를 부담하고 있어 집을 팔고 이사하는 것을 꺼리면서 물량 감소는 더 심해졌다. 다시 말해 주택시장에 이자율 상승으로 인한 영향은 없었다는 이야기다.   경제전문가들의 불황 전망이 많아지면서 주식 투자를 망설이는 개인 투자자들이 많다.  이들은 경제가 안정(?)될 때까지 기다린 후 투자를 하겠다는 생각이다. 그러나 피델리티 금융회사의 펀드 매니저인 피터 린치는 “주식시장 폭락을 준비하거나 폭락을 예측해서 투자하면 주식시장 폭락 자체로 잃는 돈보다 훨씬 더 큰 손실을 본다”고 말한다.     그렇다고 경제 불황이 없을 것이라는 말은 절대 아니다. 개인의 저축도 점점 줄어들고 빚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물가가 조만간 하락한다는 보장도 없다. 연준은 금리를 더 올릴 가능성도 있다. 한 치 앞도 알 수 없는 미래, 특히 주식시장이 어떤 방향으로 움직일지는 아무도 모른다. 물가가 상승하는 시점에 똑똑(?)한 사람들이 모여있는 연준도 물가 상승은 일시적(Transitory)이라며 머뭇거렸던 큰 실수를 기억해야 한다.     일반 투자자는 우리가 예측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해야 한다. 어떤 빚을 먼저 갚아야 하는지, 주택융자금을 빨리 갚아야 하는지, 보험이 필요한지, 원금 보장한다는 투자상품의 진실이 무엇인지, 투자로 발생하는 모든 비용이 얼마인지, 아이들 학자금 마련을 어떻게 하는지, 신용 등급을 어떻게 증가시키는지, 직장인이나 자영업 하는 사람이 은퇴 자금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등을 계획하고 준비해야 재정적인 독립을 이루는 것이다.   미래를 예측하기는 어려우나 과거 주식시장 역사가 분명히 보여주는 것이 있다. 주식시장이 오르고 내림에 동요 없이 적은 자금이라도 꾸준히 투자하면 성공하는 투자로 이어진다는 사실이다.     이명덕 / 박사재정칼럼 recession 불황기 경제 불황 주식시장 폭락 개인 투자자들

2023-09-08

[재정칼럼] 헤지펀드의 내막

헤지펀드(Hedge Fund)라는 투자종목이 있다. 소위 부자들만이 투자할 수 있는 종목이다. 헤지펀드에 투자하는 최저 금액은 보통 500만 달러다. 일반적으로 헤지펀드의 비용(Fee)은 투자 금액의 2%, 투자 수익에 대해서도 별도로 20%를 부과한다.   일반 투자자는 헤지펀드 투자자들을  부러워한다. 헤지펀드 투자가 더 많은 자산을 만들어 준다는 생각과 투자하고 싶어도 할 수 없기에 부러워하는 것이다. 그러나 헤지펀드의 내막을 살펴보면 그리 부러워할 이유가 없다.     일반적인 헤지펀드는 높은 이익을 창출하는 기업을 선정해서 투자하지만, 핵티비스트(Activist) 헤지펀드는 기업 경영에까지 직접 참여해 이익의 극대화를 기대한다.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발표에 의하면 유명 헤지펀드인 개드플라이 인베스터스(Gadfly Investors)의 올해 7월까지 수익률은 14%를 기록했다. 그런데 이는 500대 기업인 S&P 500 인덱스의 수익률보다 떨어진다. 참고로 S&P 500 인덱스의 수익률은 20%다.   헤지펀드가 올해만 저조한 수익률을 기록한 것은 아니다. 액티비스트 헤지펀드 수익률을 추적하는 HFR(Hedge-Fund data tracker)과 S&P 500 인덱스의 과거 수익률을 살펴보자. 2019년 HFR의 수익률은 17.26%이고 S&P 500은 31.49%이며, 2020년에는 HFR가 10.31%,  S&P 500은 18.4%다. 2021년에는 HFR이 16.09%, S&P 500은 28.71%로 3년 연속 S&P 500 인덱스의 수익률이 헤지펀드보다 더 높다.   헤지펀드 매니저는 유망한 기업을 고르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 수익률이 높아야 더 많은 투자 자금이 모이기 때문이다. 펀드 매니저들은 일반 투자자보다 자금력, 정보력, 분석력 등에서 일반 투자자보다 훨씬 유리한 위치에 있다. 그런데 수익률은 오히려 S&P 500 인덱스 보다 낮을수도 있다는 내용이다.   헤지펀드로 잘 알려진 칼 아이칸은 올해 주식시장 전망이 암울할 것으로 예측했다. 그래서 공매도(Short Sales)를 시행했다. 공매도란 주식을 보유하지 않은 상태에서 주식을 파는 것이다. 주식을 빌려서 먼저 팔아 현금을 받고, 주가가 하락하면 내려간 주가로 주식을 사서 갚아 차익을 얻는, 즉 주가의 하락에 베팅하는 투자 기법이다. 그런데 올해 주식시장이 예측과 달리 오히려 상승한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의 발표에 의하면 이렇게 잘못된 예측으로 헤지펀드의 주식이 54% 폭락했으며 3개월 손실액이 2억6900만 달러에 이른다는 것이다.  2023년 공매도에 의한 전체 손실은 무려 1752억 달러다.       모든 투자자의 관심은 투자종목 선택과 주식시장 예측이지만, 이것은 전문가들도 하기 어려운 일이다. 하루를 바쁘게 살아가는 직장인이나 자영업을 하는 투자자가 하기에는 거의 불가능하다. 이런 불가능한 사실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주식에 투자하기에 결국에는 주식 실패로 이어지는 것이다.   ‘월가의 금언들(The Maxims of Wall Street)’이라는 책에 있는 ‘외톨이 아마추어가 방주를 만들었다. 하지만 전문가 그룹은 타이태닉을 만들었다.(A lone amateur built the ark; a large group of professionals built the Titanic.)’는 문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찬찬히 생각해 보자.     친지와 친구들이 주식 투자로 돈을 벌었다는 소문에도 관심을 가질 이유가 없다. 그 속 내용은 아무도 모른다. 수시로 변동하는 주식 시장과 주식 가격 변화에 불안하고 두려워할 이유도 전혀 없다. 주식시장 전체에 꾸준히 투자하면 시장이 창출하는 높은 수익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명덕 / 박사재정칼럼 헤지펀드 내막 헤지펀드 투자자들 헤지펀드 매니저 액티비스트 헤지펀드

2023-08-22

[재정칼럼] 주식시장 폭락의 분석

프랑스 철학자 폴 자네의 말에 의하면 나이가 들수록 시간이 더 빨리 가는 것처럼 느낀다고 한다. 젊었을 때는 첫 만남, 첫 여행, 첫사랑 등 매일매일 잊을 수 없는 새로운 경험을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새로운 경험은 적어지고 ‘출근-일-퇴근’ 같은 일상이 반복되기 때문이다.   미국에 이민 온 우리의 삶은 어떠한가? 직장인이나 자영업을 하는 사람이나 생활에 큰 변화가 없다. 아이들 키우며 생활하기 위해 눈코 뜰 새 없이 바쁜 하루 하루를 보낸다. 새해 시작이 얼마 전 같았는데 벌써 반년이 훌쩍 지나갔다.   머리도 희끗희끗해지고 여기저기 결리고 아프기도 하다. 몸과 마음이 하루가 다름을 느낀다. 노후대책을 생각해 보지만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막연하다. 누구는 어떤 특정 기업에 투자해서 돈을 많이 벌었다고 하니 지금이라도 그 종목에 투자해야 하는지 마음이 갈팡질팡한다. 내가 투자하면 폭락할 것 같기 때문이다.   작년 10월부터 주식시장이 20% 이상 상승했다는 보도가 나온다. 오르기 전 투자해야 했는데 아쉬운 마음이고 지금 투자하면 주식시장이 다시 하락할 것 같은 불안한 마음이다.     지난 30여 년 동안 일반 투자자에게는 인덱스 (S&P 500 Index) 펀드를 기본으로 한 투자를 추천했다. 그렇다면 이 종목에만 투자하면 성공하는 투자로 이어지는가? 우리는 이 종목이 지난 2020년 3월 34%까지 폭락한 적도 있고, 2022년에도 거의 20% 폭락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폭락하는 주식시장은 투자자에게 불안하고 두려움 마음을 가지게 한다.     투자자가 두려워하는 주식시장 폭락에 대해서 알아보자. 폭락의 실체를 이해하면 투자에 대한 두려움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주식시장이 20% 이상 폭락할 때를 약세장(Bear Market)이라고 말한다. 주식시장은 약세장과 상승장(Bull Market)을 함께 공유한다. 폭락과 상승을 함께 비교해 본다.   *1928년부터 약세장은 27번 경험했고, 상승장 역시 27번을 기록했다. 주식시장이 폭락하면 모든 미디어가 여기에 집중하지만, 주식 폭락이 특별한 것은 아니라는 뜻이다.     *약세장일 때 떨어진 낙폭은 35%이고, 상승장일 때는 114% 올랐다. 하락보다 상승의 폭이 훨씬 더 크다는 사실이다.   *약세장으로 머문 기간은 292일 즉 9.7 달이고, 상승장은 992일 2.7년이다. 하락하는 기간은 짧고 상승하는 기간은 훨씬 더 오랜 기간이라는 뜻이다.   *1928년부터 1945년까지는 약세장이 12번 있었고 평균 1.4년마다 반복했다. 그러나 1945년부터는 약세장을 15번 경험했지만, 평균 5.1년마다 일어난 것이다.     *1929년부터 약세장을 27번 경험했지만, 경제 침체기로 이어진 것은 15번이었다. 경제와 주식시장이 다르게 움직인다는 것을 뜻한다.     주식시장에 어느 2년간 나의 돈이 투자되어 있으면 원금보다 높아질 확률이 80%가 되고, 6년간 투자되어 있으면 90%가 되고, 16년간 투자되어 있으면 원금보다 적어질 확률은 0%가 된다. 요약하면 주식시장에 장기간 투자할수록 원금보다 적어질 확률은 점점 낮아지고 같은 기간 주식시장이 창출하는 수익률을 받을 수 있다는 뜻이다. 참고로 오랜 주식시장(미국 500대 기업이 모인 종목)의 연평균은 10%이다.     일반 투자자 대다수는 성공하는 주식투자가 되기 위해서는 투자 종목과 투자 시점이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한마디로 말하면 투자자에게 필요한 것은 시간과 인내, 그리고 꾸준함(Time, Patience, Persistence)이다.     투자자는 일시적인 시장 하락을 감수하며 장기적으로 투자하면 높은 이익을 얻을 수 있다. 현재보다 나은 미래를 꿈꾸며 열심히 노력하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기에 기업이 발전하고 주식시장 규모가 점점 더 커지는 것이다. 주식시장 변동에 동요하지 않고 꾸준히 투자하면 편안하고 안락한 은퇴 생활로 이어질 것이다. 이명덕 박사재정칼럼 주식시장 폭락 주식시장 폭락 기간 주식시장 주식시장 변동

2023-08-07

[재정칼럼] 제대로 하는 노후준비

한인들의 노후 준비는 어떤 상황인가? 하루하루 바쁘게 돌아가는 이민 생활에서 모든 재정 지식을 이해하고 생활에 반영한다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주식투자, 채권과 이자율 관계, 복리계산, 주택융자금, 학자금 투자, 은퇴 투자 등 살아가는 데 필요한 재정 지식을 이해한다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노후준비도 자꾸 미룬다.   한인들은 특히 자녀 교육에 관심이 많다. 부부의 노후대책보다도 자녀 학자금을 우선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대학 공부는 융자를 받아서라도 할 수 있지만, 은퇴 생활만큼은 절대로 돈을 빌려서 생활할 수 없다. 부모의 부족한 은퇴자금은 자녀에게도 커다란 부담이 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최근에는 의학 발달과 건강에 관한 관심으로 65세쯤 은퇴한다고 해도 은퇴 생활이 30년 가까이 될 가능성이 크다. 여기에 여성들의 기대수명은 남자보다 훨씬 더 길다. 사회보장 연금이 있다고 해도 대부분의 은퇴자는 이 돈으로 생활하기에 어려움이 많다. 결국 긴 세월의 생활비는 그동안 내가 모은 돈으로 충당해야만 한다.   ‘노후준비’하면 ‘어디에 투자해야 하는가?’가 최대 관심사다. 그리고 대박 날 투자종목을 찾으려 한다. 인터넷, 유튜브, 친지, 주변의 투자 도사(?) 등으로부터 정보를 얻고자 하지만 확실한 것은 없다. 그리고 지금 뜨거운(Hot) 몇 개의 주식이 본인이 은퇴할 때쯤 어떤 상황으로 변해 있을지 아무도 모른다. 확실한 것도 없으면서 투자 위험성만은 분명 높아진다.     노후 준비의 첫걸음은 적은 돈이라도 인덱스 펀드(S&P 500)에 투자하는 것이다. '투자의 귀재'워런 버핏은 평생 투자를 한 사람인데, 몇 년 전 자신의 유언장을 발표했었다. 본인이 사망하면 기부하고 남는 돈을 인덱스 펀드에 90%를, 나머지 10%는 채권에 투자하라고 말했다. 버핏은 2020년 온라인 연례 주주총회에서 인덱스 펀드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하며 일반 투자자는 인덱스 펀드에 투자하는 것을 추천했다.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저스가 버핏에게 이런 질문을 했다.   베저스: “당신은 세계 최고 부자로 일반 사람도 부자가 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했습니다. 당신의 가르침은 간단하고 누구나 손쉽게 할 수 있는데 대부분 사람이 부자가 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버핏: 그 이유는 “천천히 부자가 되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입니다(Because no one wants to get rich slow.)”   은퇴용 투자계좌(IRA)는 직장인이나 자영업자나 수입이 있는 사람은 누구나 할 수 있다. 50세 미만은 2023년에는 6500달러, 그리고 50세 이상은 7500달러씩 할 수 있다. 수익률 7%로 계산해서 6500달러씩 25년 하면 약 40만 달러, 30년이면 60만 달러, 그리고 35년은 거의 90만 달러가 된다. 부부가 함께하면 당연히 배가 되므로 백만장자가 될 수 있다.   일반인이 노동으로 부를 쌓는 것은 한계가 있다. 직장인이나 자영업을 운영해서 부를 쌓는다는 것도 쉬운 일은 아니다. 누구나 손쉽게 목돈을 만드는 방법은 주식투자이다. 이런 이유로 투자의 귀재인 버핏은 “잠을 자는 동안에도 자산이 불어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죽을 때까지 일해야 한다”라고 언급한 것이다.     노후 자금을 모으지 못한 것을 나이가 들어 후회한다. 젊었을 때는 돈의 부족을 젊음으로 만회할 수 있다. 그러나 은퇴한 후 돈이 부족하면 그 어려움은 이루 말로 표현할 수 없다. 노후대책이 늦었다고 한탄만 할 것이 아니라 지금부터라도 준비하면 그만큼 은퇴자금이 모일 것이다. 이명덕 / 박사재정칼럼 노후준비 주식투자 채권 은퇴 투자 은퇴 생활

2023-07-18

[재정칼럼] 놀라운 HSA 투자

HSA(Health Savings Accounts)는 직장인이 의료보험에 가입할 때 제공되는 혜택이다. 직장인은 HSA 플랜을 의료보험과 연관이 있기에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 그러나 HSA는 의료보험과 상관없이 은퇴 투자로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건강보험에 가입할 때 직장인이 디덕터불(HDHP-High Deductible Health Plan)이 높은 건강보험을 선택하면 HSA 플랜에 가입할 수 있다. 2023년에는 싱글이면 3850달러, 그리고 부부는 7750달러까지 투자할 수 있다. 2024년부터는 싱글이면 4150달러, 그리고 부부는 8300달러까지로 늘어난다. 가입자의 나이가 55살 이상이면 1000달러를 더 투자할 수 있다. 이 뜻은 부부가 최대 1만300달러까지 투자할 수 있다.   은퇴 후 401(k) 투자로 적립된 자금을 생활비로 찾게 되면 그해에 수입세(Income Tax)를 내야 한다. 그러나 HSA 투자로 불어난 돈에 대해서는 인출할 때 세금을 한 푼도 내지 않을 수 있기에 401(k) 투자보다도 더 좋은 은퇴 투자라 말할 수 있는 것이다.     HSA에 적립한 돈을 의료에 관한 것이라고 생각해 투자하지 않고 현금처럼 보관하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큰 실수다. HSA는 401(k)처럼 투자 종목을 선택해서 투자해야 투자한 돈이 불어나게 된다. 지난 10년간 S&P 500 Index의 연평균 수익률은 12.5%이다. 투자한 돈이 거의 3배로 불어난 놀라운 수익률이다. HSA에 적립한 돈을 S&P 500 Index와 같은 종목에 투자해야 한다는 뜻이다.   현대인은 직장을 자주 바꾼다. 이직하면 401(k)와 같은 은퇴계좌는 금융회사로 롤오버(Rollover)하거나 아니면 새로운 직장의 은퇴플랜으로 옮긴다.  그러나 HSA에 대해서는 어떠한 조치도 하지 않고 지나칠 수가 있다. 그러나 이 HSA는 중요하기에 더 신경을 써야 한다.     본인은 물론 온 가족이 건강해 의료비용으로 많은 돈을 지출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해 HSA 투자를 망설일 수 있다. 그러나 65살 이후 정부 의료보험(Medicare Part B)의 할증료(Premiums)가 연 4000달러나 된다. 의료 비용은 의료보험의 모든 디덕터블과 치과, 메디케어 서플리먼트, 약값 등 모든 것이 포함된다. 아이들 치아교정 등의 비용으로 지출한 금액도 영수증을 보관하면 2, 30년 후 HSA 돈을 사용할 때 의료 비용으로 증명할 수도 있다.     HSA 투자 금액 7000달러는 연 8% 수익률로 20년 투자하면 34만 달러, 30년 투자하면 85만 달러로 불어나는 큰돈이다. 이렇게 불어난 돈에 대해서 수입세도 내지 않는다면 놀라운 은퇴자금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렇게 투자 돈이 불어날 수 있는 이유는 투자한 액수에 대해서 세금 유예를 받고 투자로 얻는 이익금에 대해서도 세금이 유예되기에 투자한 돈이 세금 부담 없이 복리로 꾸준히 불어나기 때문이다. 놀라운 복리(Compound Interest) 효과로 기하급수적으로 투자한 돈이 불어나는 것이다.     직장인이 기억해야 하는 투자순서는 401(k) 투자에 대한 회사의 매칭(Matching) 한도까지 투자, 그다음은 HSA 투자, 다시 401(k)로 돌아와서 최대 금액 투자(연간 최대 2만2500달러, 50세 이상은 연간 최대 3만 달러), 그리고 더 여유가 되면 개인 IRA 투자로 은퇴 준비를 하는 방법이다.     HSA를 단순히 의료에 관한 돈이라 생각하지 말고 제대로 이용하면 노후대책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직장 생활을 하는 자녀들에게도 권할만한 재테크 플랜이다.  이명덕 / 박사·RIA재정칼럼 투자 은퇴 투자 투자 금액 투자 종목

2023-07-05

[재정칼럼] 투자 성공 비결

주식 투자, 한 마디로 어렵다. 주식 투자로 큰 손실을 경험한 사람이나 대박을 터트린 사람이나 어렵다는 사실은 공통된 마음이다. 그렇다면 과연 성공으로 이어지는 주식 투자의 비결은 무엇인가?     일반 투자자가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것은 ‘주식 종목’과 ‘투자 시점’이다. 유망한 기업을 선택하기 위해 투자자는 다양한 소스를 통해 좋은 정보를 얻고자 한다.     최대 온라인 소매업체 아마존(Amazon)이 잘 알려지기 전에 한 투자자가 과감하게 투자했다고 가정하자. 그렇다면 그는 현재 큰 부자(1997년 주가 주당 5달러)가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택 버블(Tech Bubble)로 주식이 95%나 대폭락했었고, 2005년에 54%, 2008년에도 58% 하락, 2009년부터는 6번에 걸쳐 25% 하락할 때도 주식을 팔지 않고 꿋꿋하게 버티고 있었어야 가능한 일이다.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도 택 버블로 75% 폭락했다 제자리로 돌아오는 데 17년이 걸렸다. 2008년에는 56% 폭락, 2009년 이후로도 10% 이상 하락이 3번, 20% 하락도 4번이나 경험했다. 투자자는 이럴 때마다 팔 것인지 아니면 보유할지를 고민하며 마음고생을 하는 것은 당연하다.   넷플릭스(Netflix)는 2011년 새로운 사업(Qwikster)을 시작하면서 주가가 61%나 대폭락했다. 그러나 2011년 연말에 넷플릭스에 3만1000달러를 투자해 계속 주식을 보유하고 있었다면  현재 그 가치는 100만 달러 이상으로 늘어 투자자는 백만장자가 됐다.       개별 기업의 향방은 예측하기 어렵다. 애플은 주택 차고에서 시작했다. 투자자는 이런 기업을 찾아 투자해야 대박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롤러코스터처럼 움직이는 주식가격에도 참고 견뎌야 한다. 그리고 기업을 운영하는 최고경영자(CEO)가 수시로 바뀌는 이유가 무엇인지도 투자자는 곰곰이 생각해 봐야 한다.     일반 투자자는 투자하는 시점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주식 가격이 저렴할 때 사야 큰 이익이 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2007년에 주식시장에 1만 달러를 투자했다면 2022년 말 그 가치는 3만5461로 불어났다. 평균 수익률이 8.8%이다. 그런데 이 기간에 주식시장이 가장 많이 상승했던 10일 동안 투자가 되어 있지 않았다면 수익률은 3.3%로 떨어지며 1만6243달러의 가치밖에 되지 않는다. 상승한 단 10일을 누가 예측할 수 있을까? 이것이 주식시장에 투자하며 마켓타이밍(Market Timing)을 해서는 안 되는 이유이다.   ‘주식 종목’이나 ‘투자 시점’을 전혀 생각하지 않고서도 주식 투자로 성공하는 비결이 있다. 일반 투자자가 ‘며칠(Days)’에 의한 투자가 아니고 ‘십년(Decade)’에 의한 투자로 결정하면 된다. ‘며칠’에 의한 투자는 현시점에 일어나는 모든 일에 민감하다. 전문가들은 끊임없이 이런 이유로 투자해야 하고 저런 이유로 팔아야 한다고 말한다. 어느 장단에 맞추어야 할지 혼란스러울 뿐이다.   ‘십년’에 투자하면 여러 가지 잡음(Noisy)이 사라진다. 십년의 주식시장은 투자자에게 큰 그림을 보여준다. 이런 이유로 주식시장에 1년 동안 투자되어 있으면 원금보다 많아질 확률이 75.7%, 3년은 84.2%, 5년은 88.1%, 그리고 10년이면 95%가 되는 것이다. 지난 10년 실제 주식시장의 평균 수익률은 12.5%이다.     성공하는 주식투자는 종목이나 시점이 아니다. 투자자에게 필요한 것은 시간과 인내 그리고 꾸준함(Time, Patience, Persistence)이다. 과거의 주식시장은 성공하는 투자로 이어지는 비결이 무엇인지 분명 보여준다.   이명덕 / 박사·RIA재정칼럼 투자 성공 일반 투자자 투자 성공 주식 투자

2023-06-21

[재정칼럼] 신용등급(Credit)의 중요성

미국 5대 자동차 보험회사의 보험료는 개인의 신용등급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신용등급이 불량한 개인은 등급이 높은 사람에 비해서 자동차 보험료가 65%나 더 부과될 수 있다. 자동차사고 등이 전혀 없어도 신용등급에 따라 보험료를 두 배 이상 내는 경우도 있다.     신용등급에 관해서 일반인의 잘못된 생각과 신용등급을 높이는 방법을 알아보자. 신용등급에 가장 많은 영향을 끼치는 것은 당연히 정해진 날짜에 돈을 갚았는지를 볼 수 있는 신용기록(Credit History)이다. 신용등급을 꾸준히 올릴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늦지 않고 정해진 날짜에 청구서(Bill)를 갚는 것이다.   현대인은 바쁘게 산다. 살다 보면 깜박 잊을 수가 있다. 나이가 들면 이런 현상이 더욱 심해진다. 자동으로 갚는 방법(Automatic Payments)을 선택해서 정해진 날짜에 은행 개인 계좌에서 지급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다.   신용카드 한도액이 1만 달러이고 매달 사용액을 갚으면 신용등급에 아무런 영향은 없을 것으로 생각한다. 그러나 신용회사는 카드 한도액과 쓴 빚을 함께 계산한다. 한도액 1만 달러에 대해서 1000달러를 사용하면 10%이며, 2000달러를 사용하면 20%이다. 이것을 사용 비율(Utilization Ratio)이라고 하며 이 숫자가 적을수록 신용등급이 높아진다. 신용등급을 높이기 위해서 이 비율을 한 자리 숫자, 즉 10% 이하로 유지할 것을 권고한다.   이자율이 높은 신용카드를 취소하면 신용등급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지만 결과는 반대이다. 과거 좋았던 신용기록이 없어지고 장기간 보유했던 기록이 없어지기 때문이다. 이자율이 높아서 사용하지 않는 카드는 넥프레스(Netflix) 등과 같이 매달 사용료를 자동으로 갚는 것으로 설정해 놓으면 신용기록이 장기간 보존될 수 있다.   특정 업소에서 고가의 물건을 살 때 그 업소의 신용카드를 만들면 몇 퍼센트 절약할 수 있다. 소비자는 물건을 산 다음 신용카드를 취소할 생각을 하지만 새로운 신용카드를 만들 때마다 신용등급에 영향이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일시적인 절약이 나중에 오히려 더 큰 손해가 될 수 있다.   모기지 융자를 위해서 여러 업체의 이자율을 비교하면 신용등급이 낮아진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짧은 기간 내에 여러 대출회사를 확인(Shopping)해도 신용등급 확인 신청을 한 번 한 것으로 간주하므로 짧은 기간 내에 여러 회사를 확인하는 것은 신용등급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신용등급 보고서’도 사람이 하는 일이라 기록이 잘못될 수 있다. 빚(Debt)을 전부 갚았는데 빚이 남아 있다고 잘못 기재되면 신용등급에 불리하게 적용된다. 이점을 확인하고 기록이 잘못된 모든 회사와 접촉하여 정정해야 한다. 이것이 신용등급을 단기간 내에 올리는 방법이다.   빚이 부담스러워 현금으로 물건을 사는 사람도 있다. 건전한 사고방식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신용등급을 향상하는 데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신용등급 회사는 자그마한 돈이라도 제때 갚아나가고 있는 장기적인 기록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이다.   자동차 보험은 물론 집 보험과 자동차 대출 등 여러 곳에 직접 영향을 끼친다. 신용 등급이 높으면 재정적인 모든 면에서 유리한다. 높은 신용등급으로 더 많은 돈을 절약(Save)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신용카드(Credit Card)를 제대로 사용하고 있는지 검토해야 하는 이유이다.   이명덕 / 박사·RIA재정칼럼 신용등급 credit 신용등급 확인 신용등급 회사 신용등급 보고

2023-06-07

[재정칼럼] 주식시장 폭락과 회복

경제가 침체기(Recession)로 이어진다는 소식이 자주 나온다. 침체기란 국민총생산(GDP)이 2분기 연속 하락하는 것을 뜻한다. 2차대전 후 침체기가 13번 있었는데 그때마다 2가지 요소가 항상 동반했다. 두 가지 요소는 국민총생산량 하락과 실업률 상승이다.     생산량이 줄면 기업의 이익이 감소하고, 이익 감소는 직원 감원으로 이어진다. 수입 감소로 불안함을 느끼는 소비자들이 지출을 줄이게 되고 이는 물건이 팔리지 않는 악순환에 빠져 경기 침체로 이어지는 것이다.     최근 파산한 은행은 안전 자산이라고 생각한 국가 채권에 투자했다. 연방준비제도(Fed)는 물가를 잡기 위해서 이자율을 올리기 시작했다. 이자율이 상승하면 채권 가격은 하락한다.     이자율 상승은 기업이 돈을 융통하기 어렵게 만든다. 현금이 필요한 기업은 은행에서 예금을 인출해야 한다. 인출이 늘자 보유 현금이 부족한 은행은 투자 손실을 감수하며 채권을 팔아야만 하는 상황이 됐다. 이것이 예금 대량 인출(Bank Run)로 이어지며 은행이 파산한 것이다.     비관적 경제 전망과 은행의 파산은 주식시장 하락으로 이어졌다. 투자자 대부분은 주식시장이 완전 바닥인지 아니면 더 하락할지를 알고 싶어 한다. 일반 투자자가 기억해야 하는 것은 ‘주식시장은 미래를 보며 움직인다’는 사실이다. 과거 50년 동안 경제가 침체기로 이어질 때(국민총생산량이 바닥) 단 한 번의 예외는 있었지만, 주식시장은 이미 상승하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주식시장(S&P 500)이 가장 많이 상승했던 날의 절반은 주식시장이 20% 폭락(Bear Market)했을 때다. 다시 말해서 경제가 암울하고 두려운 소식이 난무할 때 주식시장이 상승했다는 뜻이다.   2007년에 주식시장에 1만 달러를 투자했다면 2022년 말 그 가치는 3만5461달러로 불어났다. 평균 수익률이 8.8%이다. 그런데 이 기간에 주식시장이 가장 많이 상승했던 10일 동안 투자가 되어 있지 않았다면 수익률은 3.3%로 떨어지며 1만 달러가 1만6243달러 밖에 되지 않는다. 이것이 주식시장에 투자하며 마켓 타이밍(Market Timing)을 해서는 안 되는 이유이다.   주식시장이 하락할 때 특히 폭락 상황이라면 투자자는 유쾌할 리가 없다. 물가를 잡기 위해서 연준은 급격하게 이자율을 올렸다. 이것이 은행 파산의 한 가지 이유이지만 오히려 주식시장에는 도움이 될 수 있다. 연준이 이자율 인상 결정에 더욱 신중해지기 때문이다.     주식시장이 폭락해도 일상생활에 큰 변화는 없다. 기업은 필요한 물건을 끊임없이 생산한다. 기업의 주식은 실제적인 가치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서 기업 일부분을 소유하는 것이다. 기업은 경제의 기본이며, 경제는 발전의 원동력이 된다.     투자자에게 희망적인 것은 미국 주식시장은 폭락해도 항상 회복되었으며 오히려 더 높이 상승했다는 사실이다. 주식시장이 폭락한 후 1987년에는 582% 상승, 2000년에는 101% 상승, 2008년 401% 상승, 2020년에도 113%나 상승했다.     ‘투자의 달인’ 워런 버핏은 은행권과 예금 안전성에 대해 공포심을 가질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은행 파산으로 예금 손실을 보는 미국인은 없을 것이란 데 100만 달러를 걸 수 있다며 반대의 경우에 돈을 거는 사람이 있다면 패자가 200만 달러를 자선단체에 기부하자는 제안까지 했다.   세계 10대 부자는 2023년 1분기 주식시장 상승으로 불어난 돈이 무려 2130억 달러다. 일시적인 시장 하락을 감수하며 장기적인 안목을 가진 투자자에게는 높은 이익이 돌아온다. 현재보다 나은 미래를 꿈꾸며 열심히 노력하는 것이 인간의 본성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주식시장은 성장하는 것이며, 꾸준한 투자자가 더 많은 혜택을 받는 것이다.   이명덕 / 박사·RIA재정칼럼 주식시장 폭락 주식시장 하락 이자율 상승 국민총생산량 하락

2023-05-19

[재정칼럼] 개별 기업 주식투자 성공의 어려움

코로나19로 ‘집콕’ 생활이 주식 열풍으로 이어지며 테슬라, 게임스톱, 넷플릭스, 줌 등의 주식에 투자해  순식간에 많은 돈을 벌었다는 소식이 끊임없었다. ‘사촌이 땅을 사면 얼마나 배가 아픈 일’인가? 여기저기에서 주식투자로 돈 벌었다는 무용담을 듣고 본인만 대박 기회를 놓치는 것 같아 고민 끝에 주식 투자를 결정한다. 그런데 첫 번째 난관인 어느 종목에 투자할 것인가부터 고심한다.     주식 종목 선택은 대부분 친지나 지인에게 문의하고 열심히 인터넷 등에서 찾는다. 그리고 종목 대부분은 요즘 화제가 되고 미디어에 자주 등장하는 회사를 선택해서 투자한다. 상승하는 주식시장에선 어디에 투자해도 돈이 불어난다. 하지만 특정한 회사를 선택해 투자한다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이고 실패하는 투자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는 사실을 투자자는 인식하지 못한다.     복잡계 연구의 대가로 알려진 제프리 웨스트의 책(Scale: The universal laws of growth, innovation, sustainability, and the pace of life in organisms, cities, economies, and companies)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     ▶1950-2009년 동안 주식시장에 상장된 기업은 2만8853개에 이른다. 2009년 말에 이 중 2만2469개, 즉 약 80%의 기업이 사라졌다.   ▶햇수로 30년 지나면 약 5% 정도만 기업이 생존한다.   ▶5년 된 기업이 6년이 되었을 때 망하는 것과 50년 된 기업이 51년 되었을 때 망하는 확률이 같다. 즉 오래된 기업이라고 생존할 확률이 높을 것으로 생각하는 것은 잘못된 생각이다.   ▶미국 기업이 생존하는 평균 기간은 약 10.5년에 불과하다.   ▶1955년 포천 500대 기업에 등록되었던 기업이 생존한 확률은 단 12%에 불과하다.   미국이나 한국에서 테슬라 주식 투자에 관심이 높다. 전기차 산업의 선두에 있기에 온갖 주목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세월이 지난 후 한 회사가 어떤 상황으로 변하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1920년대 자동차 회사가 약 3000개 존재했었지만, 현재 남아있는 회사는 포드와 지엠뿐이다. 전기차 생산은 현재 전 세계 모든 자동차회사가 주력하고 있음을 투자자는 기억해야 한다.     주식 전문가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은 누구인가? 주식투자로 돈을 벌었다고 주식 전문가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주식 전문가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일반 투자자로부터 투자 돈을 모아서 유망한 회사에 투자하는 뮤추얼 펀드 매니저들이라고 말할 수 있다.     펀드 매니저는 속된 말로 밥만 먹고 하는 일이 좋은 회사를 선택해서 투자를 하는 것이다. 주식 정보나 투자할 수 있는 자금이나 일반 투자자보다 훨씬 유리한 조건에 있다. 그런데 이런 투자 전문가조차도 85%가 실적 면에서 주식시장 평균 수익률보다도 떨어진다는 사실이다.   보통 사람이 개별적인 기업을 선택해서 투자하는 것은 투자가 아니라 투기가 될 수 있다. 즉 도박과 유사하다는 점이다. 도박은 시간이 갈수록 자산이 적어지지만, 제대로 하는 투자는 시간이 갈수록 자신이 늘어날 확률이 높다. 이런 이유로 미국의 탑 10% 부자들이 주식시장의 85%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부자가 더 큰 부자가 되는 것이다.   주식 투자 비법을 알려주겠다는 사람도 많고. 주식 대박 종목을 꼽아주는 유튜브와 같은 소셜미디어도 많다. 금융업계도 누구나 투자할 수 있다고 열심히 부추긴다. 주식 정보도 넘쳐난다. 그러나 주위에 떠도는 주식 정보와 군중 심리에 의한 투자는 실패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사실을 투자자는 잊어서는 안 된다.   이명덕 / 박사·RIA재정칼럼 주식투자 어려움 주식 투자 주식시장 평균 동안 주식시장

2023-05-05

[재정칼럼] 은퇴와 세금보고

‘미국 건국의 아버지’로 불리는 벤저민 프랭클린은 “인생에 죽음과 세금(Death & Taxes) 외에는 보장(Guarantee)이란 없다”고 말했다. 우리는 살아있는 동안 세금을 떠날 수 없다.     따라서 제대로 된 세금 정보는 은퇴를 준비하거나 이미 은퇴한 사람에게 재정적으로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은퇴자가 기억해야 하는 세금이 무엇인지 알아본다.     우선 세금보고(Tax Return)다.  흔히 ‘은퇴 후 수입이 없어서 세금 보고를 할 필요가 없다’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사회보장 연금, 투자 수입, 임대수입 등에 세금이 부과된다. 세금 형식(Tax Forms, from 1099-Rs and K-1s to 1099-INTs or SSA-1099s) 등도 집중해야 한다.   다음은 증여세(Gift Tax)다. 가족에게 연 1만7000달러까지 세금 보고 없이 증여할 수 있다. 2023년 증여와 상속 세금 면제는 1292만 달러까지다. 가족에게 증여하는 1만7000달러는 세금 면제 한도 금액에 포함되지 않는다. 자녀에게 부모가 각각 1만7000달러씩 도합 3만4000달러를 한 명에게 증여할 수 있다.     할아버지 할머니가 손주에게 세금 보고 없이 학자금(529 Plan)으로 증여할 수 있다. 손주가 어릴 때 투자한 돈이 대학 갈 때 크게 불어나서 이 돈을 학자금으로 사용하면 세금이 없다. 유명 사립대학의 학비가 연 8만 달러가 필요하다고 한다. 자식과 손주에게 재정적으로 도움이 되는 방법이다.   메디케어(Medicare) 비용 공제 혜택도 있다. 의사 비용(Part B), 처방약(Part D), 보조 보험(Supplement Coverage) 등 보험 할증금(Premium)에 대해 세금 공제를 받을 수 있다. 자영업을 운영할 경우 비용으로 처리 가능하다. 비즈니스 수입에 따라서 Part B 할증금이 매우 높을 수 있으므로 세금 공제를 받을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자본 소득세(Capital Gain Taxes)도 있다. 부부의 경우 2023년 8만9250달러까지의 자본소득은 연방 정부 세금이 0%다. 주식이나 부동산 매매할 때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직장연금 원천징수(Pension Tax Withholdings)도 알아야 한다. 직장인이 은퇴하면서 회사로부터 연금을 목돈으로 받는다면 20%를 원천징수한 후 나머지를 받게 된다. 그러나 연금을 금융회사로 직접 옮기면(Direct Transfer) 원천징수를 하지 않는다.       IRA에서 자선단체에 기부하면 면세 혜택이 있다. IRA에서 돈을 인출하면 그 금액은 그해 수입이라 세금을 내야 한다. 그러나 IRA에서 직접 자선단체에 기부하면(QCD·Qualified Charitable Distribution) 그만큼 세금이 면제된다. 나이가 70.5세 이상이면 매년 10만 달러까지 세금을 내지 않고 기부할 수 있다.     72세가 되면 은퇴 자산(IRA, 401k, 403b, TSP 등)에서 정해진 최소금액(RMD·Required Minimum Distribution) 이상을 인출해야 한다. 정부는 그동안 세금 유예라는 혜택을 주었으니 은퇴자금에서 돈을 찾아 수입으로 잡고 세금을 내라는 뜻이다. 이런 이유로 RMD를 찾지 않으면 벌금이 50%다. RMD로 찾는 금액을 자선단체에 기부하면 세금이 면제된다.   주 정부와 시에서 발행한 채권(Municipal Bonds) 이자 수익은 면제 받을 수 있다. 채권은 만기가 되는 기간까지 보유하고 있으면 원금과 함께 이자를 받는다. 이러한 채권 수익은 연방정부는 물론 주 정부 세금도 면제받을 수 있다.     일반 투자자는 채권 투자에 익숙지 않기에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다. 그러나 은퇴 후 주식과 채권의 구성으로 투자 위험성을 조절할 수 있기에 채권 투자가 필요한 이유이다.   우리가 살아가는 동안 세금을 무시할 수 없다. 세금과 투자를 함께 고려해야 편안하고 안락한 은퇴 생활을 할 수 있다.     세금 문제는 거주 지역의 회계사 등 세금 전문가와 의논 후 결정할 것을 추천한다. 이명덕 / 박사·RIA재정칼럼 세금보고 은퇴 세금 면제 정부 세금 세금 혜택

2023-04-21

[재정칼럼] 조심해야 하는 금융상품

물가 폭등,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해고 사태, 이자율 상승 등으로 주식시장이 롤러코스터처럼 연일 요동치고 있다. 경제 침체기(Recession)가 목전에 있다는 불안한 소식에 투자자 마음 역시 갈팡질팡한다. 특히 은퇴가 가깝거나 이미 은퇴한 투자자는 두려운 마음에 생활비도 마음대로 쓸 수 없고 심지어 잠도 편히 잘 수 없다.     한인들은 평생 모은 돈을 투자하여 죽을 때까지 받을 수 있는 연금 같은 것을 좋은 은퇴 수단으로 생각한다. 요즘처럼 불안한 주식시장에선, 특히 원금이 보장되며 꾸준히 생활비를 받을 수 있는 투자를 고려하는 경우가 많다.     “평생 생활비를 보장하는 연금 상품이 있다. 은퇴 계획에 따라 생활비 지급 금액과 지급 시점을 선택할 수도 있다. 목돈을 예금하면 높은 이자로 원금을 불려주고 가입자가 사망할 때까지 약속한 생활비를 평생 지급한다”는 유혹은 거절하기 어렵다.   금융상품을 파는 사람은 어뉴이티(Annuities)를 그야말로 ‘투자의 만병통치약’처럼 말을 하지만, 투자 상품의 비용(Expenses) 등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는다. 경제 전문지 월스트리트저널의 기사(Annuities: What investor should know, Lori Loannou, WSJ, June 4, 2022)에 의하면 어뉴이티의 90%는 수수료를 받는 보험 에이전트와 브로커에 의해서 판매되고 있으며 그 수수료가 매우 높을 수 있다고 언급한다.     수수료(Commission) 외에도 운용비, 라이더마다 부과되는 비용이 0.25%에서 1.5% 이상 될 수 있다. 계약을 중단하면 부과(Surrender Charge)되는 비용이 10%까지 될 수 있기에 투자자는 매우 조심해야 한다고 말한다.     금융상품은 투자자와 보험회사와 계약을 맺는 것이다. 투자자가 목돈을 보험회사에 주면 보험회사는 그 돈을 받아서 투자자가 하늘나라로 갈 때까지 연금을 지급한다는 것이다. 보험인이 설명하는 지급 시점은 투자자가 선택할 수 있지만 생활비 지급 금액은 투자자가 결정하는 것이 아니고 보험회사가 결정한다.     모든 투자자는 높은 연금을 받기 원하지만, 금융회사나 보험회사는 자선사업가가 아니기에 회사의 비용과 이익금을 계산한 후 연금 액수를 계산하기에 지급하는 금액이 적어질 수밖에 없다.     어뉴이티를 소유하고 있다면 수익률을 비교해 볼 수 있는데, 안타깝게도 투자자 대부분이 어뉴이티의 수익률을 모른다. 재정문서에도 나오지 않는다. 수익률을 모르는 투자가 제대로 될 수 없다. 주식시장은 지난 10년 연평균 수익률이 12.6%이다. 이 기간 투자한 돈이 거의 3배로 불어나는 놀라운 수익률이다. 여기에 비해서 어뉴이티 수익률은 주식시장의 수익률과 비교해 보면  현저히 떨어진다는 사실을 알 것이다.   목돈으로 제대로 된 투자를 하면 물가가 상승해도 꾸준히 생활비를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남는 자산을 자식에게 혹은 손주에게 상속할 기회가 된다. 연금으로 받으면 정해진 생활비를 받기는 하지만, 물가가 상승해도 연금은 같은 금액이고 자식들에게 상속할 수 있는 돈도 없다. 소중한 목돈을 보험회사에 주었기 때문이다.   뱅가드(Vanguard) 창업자인 잭 보글은 미국 금융회사에 대해서 이렇게 언급했다. “대부분의 투자회사는 일반 고객에게 부끄러운 행위를 한다. 뮤추얼펀드 회사가 부과하는 비용은 고객의 돈을 절도하는 것과 같고 보험회사나 투자회사가 부과하는 수수료는 노상강도와 다름없다”고 말했다.     '너무 좋은 것은 사실이 아닐 수 있다(Too good to be true)'라는 문구를 투자하기 전 재삼 숙고해봐야 한다.   이명덕 / 박사·RIF재정칼럼 금융상품 조심 투자자 마음 투자자 대부분 생활비 지급

2023-04-07

[재정칼럼] 주식투자와 도박

지난 2020년 주식투자의 위험성을 지적한 칼럼을 여러 차례 썼었다. 핵심 내용은 재택근무 등으로 집 안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졌다. 이런 무료한 시간에 재미나는 일로 많은 사람이 주식투자로 몰린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투자자는 주식을 사고팔기에 주식에 투자하고 있다고 착각하지만, 실제로 이것은 카지노에서 도박하는 것과 비슷하다.   한국에선 주식투자로 돈을 벌었다는 소문에 빚을 내서까지 투자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들은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장소나 시간의 제약 없이 스마트폰으로 주식투자를 하며 ‘가즈아’를 외쳤지만, 지금은 한강으로 가고 싶은 심정일 것이다.   미국의 투자자들도 한국과 비슷했다. 경제 전문지 월스트리트저널(WSJ)에 소개된 기사에 따르면 한 때 투자금이 150만 달러에 달했던 한 투자자는 ‘본인은 절대 파괴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현재 통장에 남은 돈이 6.99달러가 전부라고 한다.   도박을 하면 결국 망한다는 사실은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순간적으로 보상이 주어지는 유혹을 뿌리치기는 어렵다. 과도하게 마신 술 때문에 아침마다 괴롭고 후회하지만, 또다시 술을 마신다. 술을 마시면 바로 기분이 좋아지기 때문이다. 본인도 인식하지 못하는 중독자 비슷한 행동을 하는 것이다. 마음만 먹으면 술을 끊을 수 있다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이런 심리로 주식에 투자하기에 기업의 가치 등을 고려한다는 것은 우스운 이야기다. 하루에 오르고 내리는 주식가격만이 최대 관심사가 되는 것이다.   주식시장의 도박화는 사실 개인 투자자들의 잘못만은 아니다. 금융기관 역시 누구나 주식투자를 쉽게 할 수 있다고 부채질한다. 미래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는데도 불구하고 증권사는 끊임없이 미래 시장과 주식가격을 예측한다. 개인 투자자가 주식을 사고팔 때마다 발생하는 수수료가 증권사의 이익으로 전환되고 있다.     미디어도 주식을 도박하는데 한몫을 한다. 한 경제 신문은 ‘경기침체에도 갈 놈은 간다. 토끼처럼 뛰어오를 종목’이란 제목의 기사를 게재하기도 했다. 이런 기사는 일반 투자자에게 재정적으로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누구도 알 수 없는 주식시장을 예측하고 단기 투자를 부채질하기 때문이다.     지난 1973년 ‘자유롭게 움직이는 주식시장(Random Walk Down Wall Street)’ 이란 책이 출판되었다. 책의 저자는 프린스턴 대학의 버튼 멕키엘 교수다. 책의 요점은 “주식전문가가 주식을 선별하는 것이나 원숭이가 주식을 선별하는 것이나 다를 바가 없다”라는 가치투자(Fundamental Investment)의 어려움을 설명한 책이다. 미래의 유망한 회사를 선택한다는 것이 어렵다는 뜻이다.     주식투자로 운 좋게 투자금이 증가하면 본인이 똑똑한 결과라는 자만감을 가진다. 이런 자만감은 이 돈 저 돈 모아서 더 투자하게 만든다. 그러나 우연은 반복되지 않기에 끝내 주식 투자는 실패로 이어질 가능성 큰 것이다. 무지개와 같은 말만 듣고 주식투자를 하면 잘못된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한국이나 미국의 개인 투자자는 조심하고 또 조심해야 한다.     주식투자로 돈 벌었다는 소문에 관심을 가질 이유가 없다. 그 속 내용은 아무도 모른다. 주식시장 전체에 꾸준히 투자하면 주식시장이 창출하는 높은 수익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수시로 변동하는 주식시장에도 근심 걱정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이명덕 / 박사·RIA재정칼럼 주식투자 도박 주식시장 전체 개인 투자자 일반 투자자

2023-03-24

[재정칼럼] 은퇴자금 인출과 융자

불경기로 직장인 은퇴계좌인 401(k)에서 새로 인출을 시작한 투자자가 무려 14만 명에 이른다고 자산운용사인 뱅가드(Vanguard)가 발표했다. 높은 물가와 이자율 상승 등이 주요 원인이다.     자영업자들도 세금폭탄과 벌금(10%)을 감수하면서 은퇴플랜(Simple IRA, SEP IRA 등)에서 자금을 찾고 있다고 한다. 고물가와 경기후퇴로 사업체 운영 자금은 물론 의료비, 자녀 대학 등록금, 심지어 당장 생활비를 마련해야 하기 때문이다.     여러 은퇴플랜(401k, 403b, TSP, SEP IRA, Simple IRA)에서 소중한 은퇴자금을 인출하기 전에 먼저 융자를 고려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융자도 조심해야 한다. 투자자 생각에 내가 투자한 돈에서 융자받은 후 내게 갚아 나가는 방식이라 재정적 손실이 전혀 없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 역시 재정적으로 큰 타격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은퇴자금 융자에 대한 장단점을  알아보자.     첫 번째 장점은 은행이나 다른 곳에서 융자받는 것보다 모든 과정이 간편하고 간단하다. 나의 은퇴자금에서 돈을 융자받기에 신용 확인 등 돈을 빌리는 데 필요한 복잡한 서류가 필요 없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융자받는 이자율은 은퇴플랜을 운영하는 회사가 결정한다. 이자율은 일반 금융회사에서 부과하는 이자율과 비슷하거나 조금 낮다. 나의 투자 돈에서 빌리기 때문이다.   세 번째 융자 기간은 일반적으로 5년이고, 집을 사기 위해서 받는 융자는 갚는 기간이 훨씬 길어질 수 있다. 매달 받는 급여에서 상환해 벌금(Late Payment)을 낼 가능성이 작다.   반면 단점도 있다. 첫째 직장을 그만두면 60일이나 90일 이내에 융자금을 모두 갚아야 한다. 만약 해고를 당하게 되면 생활비 마련이 필요한데 융자금도 함께 갚아야 하는 상황이 된다.   두 번째는 융자금을 정해진 기간에 갚지 못하면 은퇴자금에서 인출한 것으로 간주하여 그해 수입이 된다. 수입에 대한 세금, 그리고 나이가 59.5세 미만이면 10%의 벌금도 내야 한다. 어려운 상황이 더욱더 가중되는 것이다.   세 번째 융자를 받으면 이자를 나의 은퇴자금에 다시 넣기에 재정적인 손실이 없다고 계산한다. 그러나 이자는 이미 세금을 낸 돈으로 부담해야 한다. 은퇴계좌에서 59.5세 이후 인출하는 돈은 그해 수입으로 간주하여 세금을 내야 한다. 이자 금액에 대해서도 세금을 내야 하므로 이자 금액은 세금을 두 번 내는 결과가 된다.   마지막으로 은퇴자금에서 융자받은 금액은 주식시장에 투자되어 있지 않다. 이 말은 투자되었을 때 받을 수 있는 수익은 물론 돈이 불어나는 복리(Compound Interest)의 혜택을 전혀 받지 못한다는 의미다. 2013~2017년 사이의 주식시장을 분석한 한 연구에 의하면 이 기간 시장이 오픈한 날은 1259일이었고 연평균 수익률은 13%였다. 같은 기간 주식시장에서 가장 높이 상승했던 31일 동안 주식시장에 내 돈이 투자되어 있지 않았다면 수익률은 0%가 된다.   은퇴플랜에 있는 돈은 은퇴를 위해서만 사용한다고 생각해야 한다. 이것이 비상금이 필요한 이유이다. 수입 없이 몇 개월 생활할 수 있는 비상금을 먼저 준비하고 은퇴자금을 준비해야 한다.     특히 한인들은 자녀 교육을 위해 많은 희생(?)을 한다. 부부의 노후대책은 뒷전이고 아이들의 학자금을 우선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대학의 공부는 융자받아서라도 공부할 수 있지만, 은퇴 생활은 어디서 융자받아 은퇴 생활을 할 수 없다. 이명덕 / 박사·RIA재정칼럼 은퇴자금 인출과 은퇴자금 융자 은퇴자금 인출과 융자 기간

2023-03-22

[재정칼럼] 은퇴자금 인출과 융자

불경기로 직장인 은퇴계좌인 401(k)에서 새로 인출을 시작한 투자자가 무려 14만 명에 이른다고 자산운용사인 뱅가드(Vanguard)가 발표했다. 높은 물가와 이자율 상승 등이 주요 원인이다.     자영업자들도 세금폭탄과 벌금(10%)을 감수하면서 은퇴플랜(Simple IRA, SEP IRA 등)에서 자금을 찾고 있다고 한다. 고물가와 경기후퇴로 사업체 운영 자금은 물론 의료비, 자녀 대학 등록금, 심지어 당장 생활비를 마련해야 하기 때문이다.     여러 은퇴플랜(401k, 403b, TSP, SEP IRA, Simple IRA)에서 소중한 은퇴자금을 인출하기 전에 먼저 융자를 고려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융자도 조심해야 한다. 투자자 생각에 내가 투자한 돈에서 융자받은 후 내게 갚아 나가는 방식이라 재정적 손실이 전혀 없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것 역시 재정적으로 큰 타격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은퇴자금 융자에 대한 장단점을  알아보자.     첫 번째 장점은 은행이나 다른 곳에서 융자받는 것보다 모든 과정이 간편하고 간단하다. 나의 은퇴자금에서 돈을 융자받기에 신용 확인 등 돈을 빌리는 데 필요한 복잡한 서류가 필요 없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융자받는 이자율은 은퇴플랜을 운영하는 회사가 결정한다. 이자율은 일반 금융회사에서 부과하는 이자율과 비슷하거나 조금 낮다. 나의 투자 돈에서 빌리기 때문이다.   세 번째 융자 기간은 일반적으로 5년이고, 집을 사기 위해서 받는 융자는 갚는 기간이 훨씬 길어질 수 있다. 매달 받는 급여에서 상환해 벌금(Late Payment)을 낼 가능성이 작다.   반면 단점도 있다. 첫째 직장을 그만두면 60일이나 90일 이내에 융자금을 모두 갚아야 한다. 만약 해고를 당하게 되면 생활비 마련이 필요한데 융자금도 함께 갚아야 하는 상황이 된다.   두 번째는 융자금을 정해진 기간에 갚지 못하면 은퇴자금에서 인출한 것으로 간주하여 그해 수입이 된다. 수입에 대한 세금, 그리고 나이가 59.5세 미만이면 10%의 벌금도 내야 한다. 어려운 상황이 더욱더 가중되는 것이다.   세 번째 융자를 받으면 이자를 나의 은퇴자금에 다시 넣기에 재정적인 손실이 없다고 계산한다. 그러나 이자는 이미 세금을 낸 돈으로 부담해야 한다. 은퇴계좌에서 59.5세 이후 인출하는 돈은 그해 수입으로 간주하여 세금을 내야 한다. 이자 금액에 대해서도 세금을 내야 하므로 이자 금액은 세금을 두 번 내는 결과가 된다.   마지막으로 은퇴자금에서 융자받은 금액은 주식시장에 투자되어 있지 않다. 이 말은 투자되었을 때 받을 수 있는 수익은 물론 돈이 불어나는 복리(Compound Interest)의 혜택을 전혀 받지 못한다는 의미다. 2013~2017년 사이의 주식시장을 분석한 한 연구에 의하면 이 기간 시장이 오픈한 날은 1259일이었고 연평균 수익률은 13%였다. 같은 기간 주식시장에서 가장 높이 상승했던 31일 동안 주식시장에 내 돈이 투자되어 있지 않았다면 수익률은 0%가 된다.   은퇴플랜에 있는 돈은 은퇴를 위해서만 사용한다고 생각해야 한다. 이것이 비상금이 필요한 이유이다. 수입 없이 몇 개월 생활할 수 있는 비상금을 먼저 준비하고 은퇴자금을 준비해야 한다.     특히 한인들은 자녀 교육을 위해 많은 희생(?)을 한다. 부부의 노후대책은 뒷전이고 아이들의 학자금을 우선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대학의 공부는 융자받아서라도 공부할 수 있지만, 은퇴 생활은 어디서 융자받아 은퇴 생활을 할 수 없다.     의학의 발달과 건강에 관한 관심으로 은퇴 생활이 30~40년이란 긴 세월이 될 확률이 높다. 여기에 여성들의 기대수명은 남자보다 훨씬 더 길다. 사회보장연금이 있다고 해도 대부분 은퇴자는 이 돈으로 은퇴 생활을 하기에 턱없이 부족하다. 결국 긴 세월의 은퇴 생활비는 그동안 내가 투자한 돈으로 충당해야만 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이명덕 / 박사·RIA재정칼럼 은퇴자금 인출과 은퇴자금 융자 은퇴 생활비 융자 기간

2023-03-05

[재정칼럼] 주식배당금(Dividends)의 중요

지난해 주식시장은 투자자 모두가 처음으로 경험하는 매우 어려운 한 해였다. 주식시장 역사상 처음으로 주식과 채권이 동시에 두 자리 숫자로 폭락했기 때문이다. 미국 주식시장은 18.4%, 외국 주식은 17.1%, 그리고 채권 시장은 13.5% 하락했다. 장기 정부 채권은 무려 30% 이상 폭락했기에 투자자 대부분이 투자의 뼈아픈 경험을 한 것이다.   주식시장의 폭락은 마음 아픈 경험이지만, 주식 투자 기본을 고려한 장기 투자자에게는 재정적으로 심한 타격은 아니다. 작년 한 해는 물론 하락했지만, 그 전 3년 동안에는 주식시장이 31%, 18%, 그리고 28%로 상승했기 때문이다. 이것은 2019년부터 2022년 말까지 전체 수익률 60% 상승이며 연평균은 13%이다.     팬데믹과 함께 시작된 주식시장 열풍으로 특정 기업을 선택해 투자한 ‘묻지마 투자’의 결과는 자산 손실은 물론 현재 이 순간에도 자산 증식 기회를 놓치게 하고 있다.     주식 투자라고 하면 요행을 기대하며 대박(?)을 기대한다. 이런 이유로 수시로 휴대폰으로 주가를 확인하지만, 자산 증식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지난해 12월 30일자 월스트리트저널(WSJ) 보도에 따르면 2022년 미국 500대 기업의 주식배당금 총액이 5610억 달러나 된다.  주식배당금은 주식이 폭락해도 받는 수익이다.   주식 투자에 주식배당금이 얼마나 중요한 역활을 하는지 함께 알아본다. 지난 1928년부터 2022년까지 주식 가격 상승만을 계산하면 연평균 5.8%, 그리고 총수익률은 2만1519%가 된다. 참고로 주식시장 지수는 1928년 18에서 2022년 3800으로 상승했다. 이것만으로도 높은 수익률이고 놀라운 자산 증식이다. 여기에 기업에서 지급한 주식배당금(Dividends)을 포함하면 연수익률은 9.9%로 증가하고, 총수익률도 75만%로 대폭 증가한다.     수익률이 5.8%에서 9.9%로 는 것은 약 70% 상승이지만 총수익률은 같은 비율의 증가가 아니라 기하급수적으로 늘어 75만%나 되는 것이다. 요약하면 주식배당금의 수익률이 4.1%인데 투자자 대부분이 이런 혜택을 이해하지 못하기에 포기하는 것이다.   1928년에서 2022년까지는 95년이란 길 세월이다. 투자자 대부분이 이런 장기 투자는 할 수 없다. 이 점을 고려해 30년씩 나눠 살펴보자. 1933년부터 1962년까지 주식 가격 상승은 8.3%이고 주식배당금을 포함하면 12.8%다. 1963년부터 1992년까지 주식 가격 상승은 6.0%, 그리고 주식배당금을 포함하면 10.8%로 증가한다. 1993년부터 2022년까지 주식 가격 상승은 7.5% ,그리고 주식배당금을 포함하면 9.6%가 된다. 주식 투자 수익은 시점에 따라서 변화하지만 중요한 요점은 투자 자산 증가에 주식배당금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이다.   주식시장이 폭락해도 일상생활에 큰 변화는 없다. 기업은 사람에게 필요한 물건을 끊임없이 발전시키고 생산한다. 기업의 주가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고 실제적인 가치를 나타낸다. 다시 말해서 주식을 매입하는 것은 기업 일부분을 소유하는 것이다. 기업은 경제의 기본이며, 경제 발전의 원동력이 되는 것이다.     어느 비즈니스나 자금 동원이 매우 중요하다. 신제품을 생산하고 직원 봉급도 지급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2023년 경제 침체 전망에도 미국 500대 기업 가운데 대다수(373개)가 주식 배당금을 지급했다는 것은 기업들이 충분한 현금을 보유하고 있고 올해 경제 상황도 괜찮을 것으로 기대하기 때문이다. 참고로 2021년에도 주식 배당그믕로 5110억 달러를 지급했다. 이런 주식배당금 혜택은 주식 대박을 기대하지 않고 미국 500대 기업에 꾸준히 투자한 투자자만이 받는 것이다.   이명덕 / 박사·RIA재정칼럼 주식배당금 dividends 주식배당금은 주식 주식배당금 총액 주식시장 역사상

2023-02-19

[재정칼럼] 직장인의 노후자금 준비

직장에서 은퇴한 후에도 20~30년이라는 오랜 기간 생활비가 필요하다. 은퇴 후 생활비로 얼마가 필요한지는 개인마다 다르다. 그러나 분명한 사실은 은퇴자금을 적게 모아서 후회하는 분은 많지만, 너무 많다고 후회하는 분은 거의 없다는 것이다.       직장인에게 제공하는 401(k), 403(b), 457, TSP, 등과 같은 은퇴 플랜을 제대로 이용하면 절세를 하면서 많은 은퇴자금을 마련할 수 있다. 미국의 주식시장은 1926년부터 현재까지 연평균 10%씩 올랐다. 여기서 주식시장이란 미국 500대 기업의 평균 수익률을 말한다. 직장인이 연 10%의 수익률로 매년 1만 달러씩 투자하면 25년 후 100만 달러, 그리고 30년 후에는 180만 달러로 불어난다. 미래의 수익률이 10%가 된다는 보장은 물론 없지만, 투자하지 않으면 주식시장에서 발생하는 수익도 얻을 수 없다.     직장인 은퇴 플랜 관련 주요 내용을 알아본다. 첫째, 직장에서 제공하는 매칭만큼은 꼭 투자해야 한다. 회사에서 연봉 5% 투자에 90%를 매칭한다고 하자. 이는 연봉이 10만 달러인 직원이  연 5000달러를 401(k)에 투자하면 회사에서 4500달러를 매칭해 준다는 의미다. 그야말로 공돈이다.   둘째, HSA(Health Savings Accounts)는 직장인이 의료보험에 가입할 때 제공되는 혜택이다. 직장인은 HSA 플랜을 의료보험과 연관이 있기에 크게 신경 쓰지 않는다. 그러나 HSA는 의료보험과 상관없이 은퇴 투자로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401(k) 투자는 은퇴 후 생활비로 찾게 되면 그해 소득세를 내야 한다. 그러나 HSA 투자는 돈을 찾을 때 세금을 한 푼도 내지 않을 수 있기에 401(k) 투자보다도 더 좋은 은퇴 투자라 말할 수 있다.   셋째, 첫째와 둘째에 투자한 다음 여유가 있으면 401(k)에 더 투자해야 한다. 2023년 기준으로 401(k)에는 연 2만2500달러까지 세금 유예 혜택을 받으며 투자할 수 있다. 연봉 10만 달러에서 2만2500달러를 투자하면 7만7500달러에 대해서만 세금보고를 하면 된다. 또 50세 이상이면 추가로 7500달러를 더 투자할 수 있으므로 최대 3만 달러까지 세금과 투자 수익 유예를 받으며 투자할 수 있다.    하지만 59.5세 이전에 401(k)를 인출하면 세금과 벌금이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401(k)은 노후대책 자금이다. 은퇴하기 전까지는 이 돈을 찾아서 사용한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직장을 옮기게 되면 401(k)를 인출하지 말고 금융회사로 옮겨(Rollover) 꾸준히 투자해야 한다     401(k)에 투자된 돈을 빌려서(Loan)도 안 된다. 집을 산다든지, 아이들 학자금 등으로 목돈이 필요할 때 401(k)에서 융자할 생각을 많이 한다. 내가 투자한 돈을 꾸어서 나 자신에게 갚아 나가므로 재정적인 손실이 없다고 생각하지만, 투자되어있지 않기에 투자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이자도 이미 세금을 낸 돈으로 갚아야 한다. 그리고 은퇴 후 401(k)에서 돈을 인출하면 세금을 또 내야 한다. 결국 세금을 두 번 내는 결과며 은퇴 후 돈을 빌려서 은퇴 생활할 수 없음을 기억해야 한다.   복리 효과라는 큰 그림을 이해하지 못하고 물가가 오른다, 경제 침체기가 온다, 이자율이 오른다 등의 이유로 투자하지 않았다면 지난 10년 동안의 연평균 12.52% 수익률도 올리지 못했을 것이다.     비관적인 소식에 투자자는 집중한다. 그러나 꾸준한 장기 투자가 결국에는 편안한 노후대책으로 이어진다는 평범한 진실을 기억해야 한다. 직장에 다니는 자녀에게도 은퇴플랜의 중요성을 알려주기를 바란다. 돈을 남기는 것보다 훨씬 더 유익하고 값진 유산이 될 것이다.   이명덕 / 박사·RIA재정칼럼 노후자금 직장인 직장인 은퇴 은퇴 투자 장기 투자가

2023-02-05

[재정칼럼] 노벨 경제학자의 투자 교훈

2022년 주식시장 폭락으로 투자 자산이 반 토막 이상 줄었다는 말이 난무한다. 이 시점에 과거 장기투자의 결과를 알아보자. 뱅가드(Vanguard) S&P 500 ETF는 500개 기업에 투자한 종목이다. 지난 1년은 마이너스 18.15%이었지만, 3년 연평균은 7.61%, 5년은 9.37%, 그리고 지난 10년 연평균 수익률이 12.52%다(12/31/2022 기준). 이처럼 장기적인 안목으로 투자한 사람만이 작년 주식시장 폭락에도 높은 수익률을 얻는 것이다.     연휴 동안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인 카니맨(Dr. Kahnemann) 교수의 책 ‘생각-빠르고 & 느리게 (Thinking-Fast & Slow)’를 다시 읽었다.  그의 투자 교훈을 함께 알아본다.   *투자에서 큰 잘못은 욕심이다. 욕심이 투자 실패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제대로 하는 투자는 적당한 타협점을 찾아야 한다. 카니맨 교수는 우리가 투자 결정을 내릴 때 이성적인 판단보다는 일시적인 감정과 느낌으로 결정을 내린다고 한다. 또한, 우리는 개인의 경험과 지식에 의해서 중요한 투자 결정을 하는데 이러한 경험과 지식이 매우 잘못된 것일 수도 있다는 사실을 본인이 인식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사실 ‘나는 욕심이 많다’고 말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과거는 분명하게 보인다. 그래서 투자자는 “이랬을 걸~” “저랬을 걸~”하며 후회한다. 그리고 우리는 과거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단지 우리가 안다고 믿는 것뿐이다. 2022년 주식시장 상황이 1980년과 비슷한가? 라는 질문에 대답하기 어렵다는 것은 과거를 정확히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카니맨 교수는 “우리는 우리의 무식을 무한하게 무시한다. (Almost unlimited ability to ignore our ignorance)”고 언급한다.   *현재까지 나온 일반적인 결론은 유망 주식을 선별한다는 것은 주식 선별하는 사람(일반 투자자, 주식 전문가 모두 포함)  본인이 알게 모르게 도박처럼 운에 기대한다는 것이다. 카니맨 교수는 지난 50년 동안 주식 선별에 관한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어느 주식을 선택한다는 것은 포커 게임을 하는 것도 아니고 단지 주사위를 던져서 선택하는 행위와 같다”고 했다.   *인생을 살아가는 데 낙관적인 마음은 중요하다. 그러나 투자하는 데 낙관적인 마음은 투자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 모든 투자에는 투자 위험성이 있다. 제대로 하는 투자는 얼마나 불어나는가를 생각하기 전에 투자 위험성이 얼마이고 주식시장이 하락할 때 얼마만 한 타격을 받을 것인지를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한데 이러한 점을 일반 투자자는 무시한다.     *주식시장의 오르고 내림에 너무 민감하면 결국 잘못된 투자로 이어진다. 대부분 사람 심리는 같은 비율로 올라간 이익보다는 내려간 손실에 더욱 마음이 아프므로 내려가는 주식시장에서 잘못된 투자 결정을 선택한다. 이 점은 투자한 돈도 문제이지만, 더욱 큰 문제는 건강과 삶의 질적인 문제이다. 주식시장 움직임에 따라서 편안한 잠을 잘 수가 없다면 불안한 마음 때문일 것이다. 적당한 스트레스는 삶에 도움이 된다고 하지만, 스트레스 대부분은 건강에 악영향을 끼친다는 사실 누구나 알고 있다.   *성공하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노력 외에 타고난 능력(Talent)과 운(Luck)도 따라야 한다고 한다. 일반 투자자는 투자 결과가 나쁘면 자기의 능력보다는 운이 나빴다고 결론을 내린다. 그와 반대로 투자 결과가 좋으면 운보다는 본인이 똑똑해서 좋은 결과가 나왔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생각이 자만심이며 본인도 인식하지 못하고 투자 위험성을 무시하는 것이다.  이것이 실패하는 투자로 이어지는 것이다.   투자는 잘하는 것이 아니라 제대로 하는 것이 중요하며 장기적인 안목이 필수라는 사실을 새해에 다짐해야 한다. 이명덕 / 박사·RIA재정칼럼 경제학자 노벨 투자 교훈 일반 투자자 과거 장기투자

2023-01-22

[재정칼럼] 새해에 해야 할 노후대책 결심

은퇴자들이 가장 많이 후회하는 것은 노후 자금을 충분히 마련하지 못한 것이다. 평균 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기나긴 은퇴 생활이 생활비 부족으로 재앙이 될 수도 있고 제2의 황금기가 될 수도 있다.     은퇴용 투자제도(IRA)는 직장인,자영업자 등 수입이 있는 사람은 누구나 활용할 수 있다. 매년 50세 미만은 6500달러, 50세 이상은 7500달러까지 적립이 가능하다. 연 수익률 7%만 계산해도 6500달러씩 25년간 투자하면 약 40만 달러, 30년은 60만 달러, 그리고 35년은 90만 달러 이상이 된다. 부부가 함께하면 당연히 두배가 되므로 백만장자가 될 수 있다.   노후 준비 등을 위해서 투자를 결정했다면 다음은 ‘어디에 투자해야 하는가?’이다. 2년 전엔 투자하면 테슬라와 같은 주식투자가 인기였다. 하지만 현재 테슬라 주식은 2021년 연말의 최고점에서  65%나 폭락했다. 이처럼 어느 시점에서 뜨거웠던 주식도 시간이 지나면 어떤 상황으로 변할지 아무도 모른다.     1950년부터 2010년까지 약 2만9000개 기업이 미국 주식시장에 존재했지만 그중 약 80%의 기업이 사라졌다. 한 마디로 내가 은퇴할 때 투자한 기업이 없어질 수도 있다는 뜻이고, 이는 몇 개 기업에 대한 투자는 위험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몇 개의 기업 대신 미국 주식시장에 나와 있는 모든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다. 그렇다고 수익률을 희생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한 예로 ‘뱅가드 토탈 스탁 마켓 인덱스 펀드(Vanguard Total Stock Market Index Fund)는 4026개 기업에 투자한 종목이다. 이 펀드의 지난 1년간 수익률은 마이너스 19.53%이었지만, 3년 연평균은 6.97%, 5년은 8.71%, 그리고 10년은 12.08%나 된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투자한 사람만이 높은 수익률을 받은 것이다. (다만 과거 수익률이 미래의 수익률도 보장하지는 않는다)   주식시장 폭락을 우려해 주식투자를 두려워하는 사람도 많다. 하지만 이는 잘못된 투자를 했거나 주식시장을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1929년 이후 미국 500대 기업(S&P 500) 투자를 참고해 보면 500대 기업에 단 하루 투자해서 이익이 날 확률은 54%가 된다. 하지만 1년 후는 74%, 3년 후는 84%, 5년 후는 89%, 그리고 10년 후는 94%가 된다. 요약하면 주식시장에 투자해서 약 5년이 지난 후 원금보다 적어질 확률은 약 10%에 불과하다.  이 정도의 위험을 감수하고 투자하면 지난 10년 주식시장 연 수익률인 12%씩 받은 것이다.     임금이나 자영업 수입만으로 부를 쌓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투자의 귀재인 워런 버핏은 “잠을 자는 동안에도 자산이 불어나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죽을 때까지 일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인가?  미국은 자본주의를 바탕으로 이윤 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경제체제이다. 모든 기업은 수익을 창출하기 위하여 열심히 움직인다. 이런 기업의 주식을 소유해야 만이 내가 잠을 자는 동안에도 투자 돈이 불어나는 것이다.     젊을 때는 돈의 부족을 젊음으로 만회할 수 있다. 그러나 나이가 들어 돈이 부족하면 그 어려움은 이루 말로 표현할 수 없다. 노후대책이 늦었다고 한탄만 할 것이 아니라 지금부터라도 준비하면 그만큼 은퇴자금이 모일 것이다.   2023년에는 대박을 기대하지 말고 미국 주식시장 전체에 매달 500달러씩 투자하는 것을 결심하면 어떨까. 인생에 최고로 도움이 되는 새해 결심이 될 것이다. 이명덕 / 박사·RIA재정칼럼 노후대책 새해 노후대책 결심 은퇴용 투자제도 주식시장 폭락

2023-01-08

[재정칼럼] 목돈? 아니면 연금?

 물가상승을 잡기 위해서 이자율도 함께 오르고 있다. 이자율 상승은 모두에게 영향이 있지만, 특히 은퇴 시점을 목전에 둔 직장인은 매우 심각하고 중요한 결정을 해야만 한다. 은퇴하는 날짜에 따라서 직장에서 받을 수 있는 은퇴자금(Pension)이 20%에서 30%까지 감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은퇴 결정은 개인마다 주어진 상황에 따라서 달라질 것이다. 본인의 건강, 집안의 평균 수명, 가족의 경제 상황, 부부의 전체 은퇴 자금 등 고려해야 할 것이 많이 있다.     은퇴를 결정했다면 은퇴 자금을 목돈(Lump Sum)으로 받을 것인지 아니면 다달이 지급되는 연금(Annuity)으로 받을 것인지를 선택해야 한다. 이러한 선택은 본인은 물론 가족 특히 배우자에게도 영향이 있기에 심사숙고해야 한다. 또한 이런 결정은 번복할 수가 없다.       어떠한 선택이든 각각 위험성이 존재한다. 사람마다 감정적으로 혹은 경제적으로 상황이 다르기에 어느 선택이 좋고 나쁘다고 말할 수 없다. 목돈으로 받으면 가장 염려스러운 것은 잘못된 투자로 투자손실이 날 경우이다. 본인이 직접 투자, 혹은 간접투자로 만족할 만한 결과가 없었다면 목돈으로 받는 선택은 어려운 선택이 될 것이다. 이러한 위험을 피하려고 연금을 선택해도 위험성은 있다. 일반적으로 은퇴자가 사망하면 연금도 함께 없어진다. 물론 배우자가 받을 수 있도록 결정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선택은 은퇴자 혼자서 받는 금액보다는 적은 액수가 된다. 만일 목돈으로 받아서 IRA에 롤오버(rollover)를 하게 되면 은퇴자가 사망해도 배우자가 받게 되고, 배우자도 사망하면 자녀에게 유산으로 물려줄 수가 있다.   돈의 유동성도 고려해 봐야 한다. 은퇴자 혹은 배우자가 심각한 병에 걸린다고 해도 받는 연금은 이미 정해져 있다. 그러나 목돈으로 받으면 필요할 때 필요한 곳에 사용할 수 있다.     목돈이 얼마라고 정해지고 이 목돈으로 어뉴어티(Immediate Annuity)를 보험회사로부터 사면 매달 얼마씩 받을 수 있는지 알아볼 수 있다. 이 숫자를 회사에서 받을 수 있는 연금과 비교한 후 결정이 가능하다.  또 다른 방법은, 목돈 일부는 투자(목돈을 계산한 이자보다 더 받을 수 있다는 가정하에) 등 다른 곳에 사용하고 일부는 어뉴어티를 구매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연금으로 받는 결정을 하면 물가상승이 큰 문제가 된다. 요즘처럼 물가가 연 8%나 올라도 연금으로 받는 액수는 전혀 증가하지 않기 때문이다. 나이가 젊은 사람은 투자가 복리로 상승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지만, 반대로 은퇴자에게는 같은 복리 효과로 돈의 값어치가 무섭게 하락한다는 사실이다.   연금 계산법은 대략 60세 은퇴자가 85세까지 산다면 수익률이 2.5% 정도이고, 95세까지 산다면 4%다. 이 수익률과 주식시장 수익률을 비교해 보면 지난 13년 동안에는 15%, 그리고 90년 연평균 수익률은 약 10% 정도가 된다. 주식시장이란 우리에게 익숙한 아마존, 애플, 구글, 테슬라, 마이크로소프트 등과 같은 500대 기업을 하나로 묶은 투자 종목이다.   선택에 감정을 무시할 수 없다. 잘못된 투자나 여러 가지 이유로 ‘퇴직금이 전부 날아갔다’라는 말도 자주 듣는다. 이런 이유로 안전성을 중시하는 사람들은 연금을 많이 선택한다. 그러나 주식시장 수익률과 연금의 수익률에는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알아야 하며 모든 투자는 물가상승 이상으로 불어나야 생활비가 꾸준히 유지되는 것이다.   연금으로 받느냐? 목돈으로 받느냐? 결정은 매우 중요하다. 당사자는 물론 사랑하는 배우자와 자녀들에게까지 영향이 있기 때문이다. 이명덕 / 박사·RIA재정칼럼 연금 목돈 주식시장 수익률 목돈 일부 만일 목돈

2022-12-1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