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투어멘토 박평식의 여행 이야기] 색(色)으로 물든 모로코

영화 '아라비안나이트' 속 아름답고 신비한 풍경의 나라 모로코.   흔히 모로코를 두고 '몸은 아프리카, 머리는 아랍, 눈은 유럽에' 두고 있다고들 한다. 그만큼 아프리카이면서도 중동과 유럽의 분위기를 한꺼번에 느낄 수 있는 이색적인 여행지다. 모로코는 북아프리카 중에서도 가장 서쪽에 위치한 나라다. 세계지도를 보면 대서양을 따라 길게 뻗어 있고 지브롤터 해협을 지나 지중해까지 긴 해안선이 이어진다. 동쪽으로는 알제리와 국경을 맞대고 서쪽에는 대서양, 남쪽에는 서사하라, 북쪽으로는 스페인과 맞닿아 있다.모로코를 대표하는 여행지는 쉐프샤우엔, 페스, 카사블랑카 등을 꼽을 수 있다. 그중에서도 모로코 왕국의 수도였고 세계 최초의 대학이 있던 고도 페스(Fes)를 보지 않고는 모로코를 방문했다고 할 수 없다.   중세 시대부터 번성했던 페스에는 세계유산에 등재된, 뱀처럼 똬리를 튼 꼬불꼬불한 메디나(MEDINA) 골목이 끝도 없이 이어져 있다. 무려 9000개가 넘는다는 좁다란 골목을 따라 천지가 바자르(시장)다. 가죽제품부터 찻주전자, 도자기, 양탄자, 전통신발 바부슈, 그 외 다양한 향료와 과일을 사고파는 인파의 북적이는 소리와 짐을 가득 싫은 당나귀들의 숨소리가 가득하다.     거미줄처럼 얽히고설킨 골목 메디나와 함께 페즈에서 유명한 것이 테너리라 불리는 무두장 구역이다. 맨발로 이리저리 밟는 게 모로코식 무두질로 모로칸들은 현재에도 중세의 방법을 그대로 계승해가고 있다. 웅덩이마다 색색의 염료를 풀고 양이나 소가죽을 옛 방식 그대로 작업하는데 이 염색 원료에 가축 배설물을 함께 섞기 때문에 냄새가 꽤나 고약하다. 입구에서 무료로 나눠주는 민트 잎을 코에 대면 지독한 냄새를 희석해 주는 역할을 한다. 특유의 이색적인 풍경 덕에 테너리는 전 세계 포토그래퍼들이 사랑하는 출사 명소로도 이름을 날리고 있다.     또한 모로코 북서부 산악지대에 위치한 쉐프샤우엔(Chefchaouen)은 '하늘색 도시'로도 유명하다. 경사진 산비탈을 따라 마을 전체가 다채로운 파란색으로 칠해져 있다. 이 도시는 두 달에 한 번 정도 페인트칠을 하여 마을을 파랗고 하얗게 유지한다고 한다. 하늘과 땅이 모두 파랗게 물들어 마치 동화 속을 다니는 기분을 느끼게 한다.   형형색색으로 물든 도시들과는 달리 '하얀 집'이란 뜻의 카사블랑카(Casablanca)에는 유럽의 정취가 가득하다. 카사블랑카 영화팬이라면 한 번쯤 들러보고 싶은 이 도시의 명물은 모로코에서 가장 크고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종교 건축물인 하산 2세 모스크다. 엄청난 위용과 아름다움을 자랑하는데다 1993년 완공된 비교적 최신 모스크답게 내부 역시 유리 바닥, 개폐식 천장 등 최첨단 기술을 자랑한다.   모로코의 도시들은 저마다의 색깔로 물들어 있다. 제법 많은 나라들을 여행했다고 자부하지만 모로코만큼 예술적으로 빨갛고, 노랗고, 파랗고, 하얗게 물든 여행지는 어디에도 없다. 박평식 / US아주투어 대표·동아대 겸임교수투어멘토 박평식의 여행 이야기 모로코 모로코식 무두질 나라 모로코 모로코 북서부

2023-06-08

[삶의 뜨락에서] 인샬라!

인샬라! (신의 가호가 있기를)를 외치고 싶은 모로코에 다녀왔다. 아프리카 대륙에 발을 디뎠다는 사실만으로도 가슴이 뭉클했다. 모로코는 아프리카 대륙의 북서쪽에 위치해 북으로는 지중해, 서쪽은 대서양을 접하고 있다. 지리적으로 좋은 입지 조건에 지중해 연안의 아름다운 해변과 북서쪽 해안가를 따라 항구도시가 발달했으며 그중 아가디르는 세계적으로 유명한 휴양도시이다. 영화 ‘카사블랑카’의 배경이 된 카사블랑카는 화려한 불빛을 자랑하며 그 자태와 위엄은 맨해튼을 방불케 한다.     모로코인 대부분은 수니파 이슬람교도이다. 1956년에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이후 프랑스의 문화적 유산이 많이 남아있고 지리적으로는 배로 한 시간이면 스페인에 갈 수 있어 스페인 문화도 많이 공존하고 있다. 여행자들의 로망인 모로코 사하라 사막 투어 또한 유명하다. 믿기 어렵게도 아틀라스 산맥 위 정상에 위치한 스키 리조트 또한 스키어들의 천국이다. 이렇게 해양도시와 사막, 눈까지 그리고 많은 천연자원을 갖고 있지만 세계에서 가난한 국가 중의 한 나라라니 안타까웠다.     모로코는 유럽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나라로 아랍과 유럽의 문화가 잘 조화를 이루며 곳곳에 역사적인 기념비와 건축물들이 여행객들을 반기고 있다. 이슬람교도는 하루에 다섯 번씩 정해진 시간에 맞추어 메카를 향하여 절을 한다. 우리가 묶고 있던 호텔 밖에서도 새벽에 그들의 기도 소리가 너무나도 우렁차게 들려와 잠을 설치기도 했다. 과연 모든 이슬람교도는 그토록 신앙심이 깊어 열심히 새벽부터 기도하는 것일까. 아니면 율법의 감옥에 갇혀서 어쩔 수 없이 강요당하는 것은 아닌지 하는 의구심마저 들었다. 또한 이슬람 국가에서는 일부다처제(4명까지)가 허용되지만, 지금은 결혼 당시 여성이 일부일처제를 요구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되면서 여권이 상승하고 있다. 문맹률은 50%가 넘고 실업률 또한 30%가 넘는다고 한다. 도시를 조금 벗어나 현지에서 만난 모로코인들은 가난의 행색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었다. 빈부의 격차가 가장 심한 나라 중의 하나이다. 국민의 19%가 하루에 4달러로 살아가고 있다고 한다.     페스(Fes)는 옛 왕조의 수도였으며 지금은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록된 도시로 인구는 100만 명이 넘고 카사블랑카 다음으로 큰 도시이다. 이 도시는 현재 모로코의 현실을 그대로 보여주는 참모습이었다. 페스는 미로와 같은 좁은 골목과 다닥다닥 붙어 있는 건물들로 외관상으로 보면 빈부의 정도를 알 수 없이 똑같은 창문과 출입문, 장식 없는 벽으로 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일단 내부로 들어가면 집의 화려함과 크기가 빈부의 차이를 여실히 드러낸다. 이 도시에는 세계 최초의 대학인 알카라윈 대학이 859년에 세워졌고 지금도 대학의 기능을 다 하고 있다.     13세기에 마리니드 왕조에 의해 모스크와 왕궁이 건설되었는데 그 건물의 정교함은 지금도 감히 흉내 내기가 힘들 정도이다. 789년부터 1925년 라바트로 수도를 이전하기까지 수도였던 페스는 지금도 구 시장 자체가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고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유대인 예배당 시나고그가 공존하고 있어 유대인들의 뿌리 깊은 근성을 알 수 있었다. 페스에는 1000년이 넘도록 수공업으로 천연가죽 염색 공장을 유지하고 있고 전통의상과 상업지구, 주거지역이 혼합되어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한국의 1960년대 남대문 시장을 연상시킨다. 어린이들을 학교 보내는 대신 골목골목에서 호객행위를 시키는 문맹의 부모들이 50% 이상이라니 아직도 모로코는 갈 길이 멀구나 싶어 안타까웠다. 정명숙 / 시인삶의 뜨락에서 인샬라 유네스코 문화유산 모로코인 대부분 모로코 사하라

2022-11-1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