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지하철요금 3월 이후 인상…오세훈 "차질생겨 순연될 듯"

올해 3월로 예정됐던 수도권 지하철 요금 인상 시기가 늦춰질 것으로 보인다.
21일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시의회 제328회 임시회 시정질문에서 3월에 지하철 요금이 인상되느냐는 더불어민주당 박수빈 의원의 물음에 “차질이 생겼다. 한두 달 순연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받았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지하철의 경우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 코레일(한국철도공사)이 맞물려 있어 인상안이 경기도의회를 통과해야 하는데 어제 통과가 안 됐다고 한다”고 덧붙였다.
경기도의회는 지난 20일 열린 임시회 마지막 본회의에서 철도 요금을 150원 인상하는 내용의 ‘도시철도 운임범위 조정에 대한 도의회 의견청취안’을 상정하지 않았다.
시는 2023년 10월 7일부터 지하철 기본요금을 150원(1250원→1400원) 인상했다.
당시 시는 지하철 요금은 2번에 걸쳐 올리겠다며 150원 추가 인상 시점을 2024년으로 미뤘으나 정부의 물가안정 기조에 실제 인상은 이뤄지지 않았다.
이후 경기도·인천시와 코레일은 올해 3월께 지하철 요금을 150원 추가 인상(1400원→1550원)하기로 뜻을 모았지만, 경기도의회에서 인상안이 통과되지 못한 것이다.
오 시장은 올해 1월 출입기자단 신년 간담회에서 관련 질문에 “작년에 올렸어야 하는 것을 정부의 물가인상 억제 기조에 미룬 경과를 본다면 올 상반기에 올려도 어색함이 없다”고 답했다.
또 무제한 대중교통이용권인 기후동행카드 시행으로 인해 적자 폭이 커진 서울교통공사 지원 방안에 대해선 “요금 인상분으로 충분히 메울 수 있다”고 했다.
이날 오 시장은 기후동행카드 확대로 서울교통공사 적자 문제가 심각하다는 박 의원의 지적에 “적어도 교통비 문제만큼은 복지 차원에서 해결해야 한다는 판단”이라며 “적자 문제는 가슴이 아프지만, 다른 정책과는 차별화된 입장을 견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후동행카드로 생기는 적자는 1년에 1800억원가량으로 알려졌다. 지난해의 경우 서울교통공사는 전체 적자 중 380억원을 부담했다.
아울러 한강에 도입되는 수상교통수단인 한강버스의 정식 운항 시점도 또다시 연기됐다.
오 시장은 한강버스가 5월부터 정식 운항하는 것이 맞느냐는 박 의원의 물음에 “차질이 생겨 상반기 중 운항하는 것으로 계획이 변경됐다”고 답변했다.
그러면서 “인건비 상승으로 인력을 구하기 어려워 공정이 예정대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고 자잿값이 오르는 등 여러 달라진 상황에 추가로 경비를 요청하는 일이 벌어져 원래 발표한 5월 중 15분 간격 운행은 지금으로선 힘들어진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당초 시는 한강버스를 작년 10월 정식 운항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주요 부품에 대한 공인기관 승인에 예상보다 시간이 오래 걸려 정식운항 시점을 올해 3월로 한차례 미뤘고, 이후에도 선박 건조와 인도 등 전반적인 절차 진행이 늦어지면서 올해 5월로 재차 연기한 바 있다.
이지영([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