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현호의 법과 삶] 국민에 의한 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


지난달 9일 국방부 군사법원은 항명죄로 기소된 해병대 수사단장에게 무죄를 선고하였다. 이는 사법개혁추진위원회에서 군 형사소송법을 개선하여 군사법원과 군법무관의 독립성을 보장하였기 때문에 가능했다. 과거 군사령관·사단장이 군사재판을 지휘하는 군법회의 제도하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사건들이다. 이해 관계자들을 배제하고 주권자인 국민이 참여한 사법개혁추진위원회의 사법개혁 결과 우리 사회가 2025년 권위주의로의 회귀를 막았고, 작게는 국회를 지키던 시민의 생명과 해병대 수사단장의 인신을 보호하였다.
의과대학 입학정원 확대정책에 대한 반발로 전공의가 집단사직하였고 휴학한 의과대학생들이 복학신청을 미루고 있어 일부 언론에서는 의료대란, 나아가 의료붕괴를 우려하고 있다. 의료대란은 의사, 특히 공공의료기관에 근무할 의사가 부족할 때 발생하고, 의사 양성을 미룰 때 의료붕괴가 현실화 될 수 있다. 역설적이지만 지금이 의사를 대량양성해야 하는 적기이다. 전공의 집단사직은 대학병원으로 몰리던 환자들을 1·2차 의료기관으로 분산시켜 의료전달체계를 바로 잡는 순작용을 하였다. 대학병원 의사직 겸임으로 하루에도 수십 명 이상의 환자를 진료해야 했던 의과대학 교수들은 이제 학자 본연의 의학연구에 전념하고, 의과대학생들에게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양질의 의학교육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그럼에도 일부에서 의과대학 증원에 대해 의학교육과 의료의 질 저하, 고급인력의 의과대학 집중화로 인한 공과대학의 기피 현상, 기존 의과대학생과 전공의 복귀명분 부여 등을 들며 감축을 주장하고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지난 14일 보건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를 설치하여 필요한 보건의료인력을 추계하여 입학정원을 정하자며 보건의료기본법·보건의료인력지원법 개정안을 발의, 공청회를 열었다. 법안은 안정적이고 과학적인 수급 추계를 한다는 명분 하에 보건의료인 중심으로 위원회를 구성하자는 내용이 주를 이룬다. 이는 집단이익을 대변할 구조적 위험이 있고, 이해충돌방지법 도입 취지에도 반한다. 보건의료인은 원시시대부터 존재한 가장 오래된 직업이다. 운전면허 발급 수를 매년 일정하게 정하자는 것이 어불성설인 것처럼 보건의료인의 정원을 제한해야 한다는 것은 객관적 근거가 없다. 과거 사법시험에서 합격 정원을 규제한 이유는 판사와 검사정원법에 따라 국가공무원으로 선발하여야 할 인원이 한정되었기 때문이다. 의과대학 입학정원은 국민의 세금으로 공공기관에 근무할 의사를 양성하는 지방자치의과대학·국군의무사관학교·산업재해의과대학 등 공공 의과대학에 한하여 법제화하여 의료의 공공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민간 의과대학 입학정원은 자율에 맡기되, 추계하는 경우 임상의사 이외에 연구기관·제약사·변호사·기자 등 비임상분야에 종사할 의료인력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의학과 의술의 발전을 위해 의학을 가르칠 의과대학 입학정원은 교육부장관이, 의료기술을 연마시킬 전공의 정원은 보건복지부장관이 결정하도록 이원화하여야 한다.
보건의료인력 수급추계위원회는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제도로 구성, 운영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이해관계자인 보건의료인은 의결권에서 배제되거나 3분의 1을 넘지 말도록 하여야 한다. 국민주권주의에 반하는 보건의료기본법 등의 개정은 국민으로부터 지지받지 못하는 악법이다.
신현호 법률사무소 해울 대표변호사·법학박사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