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인재 영입 열 올리는 中…딥마인드 부사장, 바이트댄스 합류
알리바바는 전 싱가포르경영대 교수 영입…'AI천재 소녀' 뤄푸리는 딥시크 떠나
알리바바는 전 싱가포르경영대 교수 영입…'AI천재 소녀' 뤄푸리는 딥시크 떠나
(서울=연합뉴스) 권수현 기자 = 미국과 중국의 기술 경쟁이 격해지는 가운데 중국 정보기술(IT) 기업과 대학이 미국 등 해외에서 공부한 전문가 영입에 열을 올리고 있다.
20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구글의 인공지능(AI) 연구기업 딥마인드에서 부사장으로 있었던 우융후이가 최근 틱톡 모기업 바이트댄스에 합류했다.
SCMP는 정통한 복수 소식통을 인용해 우융후이는 바이트댄스의 AI 연구개발 부서 '시드'(Seed)의 기초연구 책임자로 임명됐으며 량루보 최고경영자(CEO)에게 직접 보고한다고 전했다.
우융후이는 난징대에서 통계학 석사, 미국 리버사이드 캘리포니아대(UC Riverside)에서 컴퓨터과학 박사 학위를 받은 뒤 2008년 구글에 입사해 17년간 일하면서 머신러닝, 자연어 이해 등 분야에서 일했다.
2023년 9월에는 구글 엔지니어 최상위급 직위로 부사장급인 '구글 펠로우'로 승진했으며 퇴사 전까지 딥마인드 연구 부사장으로 일했다.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 알리바바는 최근 스티븐 호이 전 싱가포르경영대 교수를 부사장으로 영입해 소비자 대면 AI 사업 분야 연구를 주도하게 했다.
머신러닝 분야 전문가인 호이는 미국 전기전자공학회(IEEE)의 2019년 석학회원으로, 2014∼20222년 싱가포르경영대에서 정보시스템 교수로 있었으며 2023년 응용 AI 연구회사 하이퍼GAI(HyperGAI)를 설립했다.
지난해까지 미국 애플 본사에서 엔지니어로 일했던 왕화유는 모교인 우한의 화중과기대(HUST) 집적회로(IC)학과 교수로 와 후배들을 가르치고 있다.
2014년 이 학교를 졸업하고 미국 플로리다대에서 IC하드웨어 안전설계와 전자설계자동화(EDA)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은 그는 미국 반도체 기업 퀄컴과 EDA 소프트웨어 업체 시놉시스 등을 거쳐 2021년 애플에 입사, M3·M4 등 시스템온칩(SoC) 연구개발에 참여했다.
SCMP는 미국에서 귀국한 과학자 사례로 최근 주목받은 쑨난 칭화대 전자공학과 교수를 언급하면서 서방과의 지정학적 긴장 고조와 중국 내 기술인재 커뮤니티 성장으로 미국 등 해외에서 활동하던 기술인재들에게 중국이 더 매력적인 목적지가 되고 있다고 짚었다.
쑨 교수는 칭화대를 졸업한 뒤 하버드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텍사스대 오스틴캠퍼스 교수로 종신재직권(테뉴어)을 보장받았으나 2020년 모교로 돌아왔다. 칭화대는 최근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쑨 교수 팀이 4년간 최첨단 칩 50개 개발에 기여했다며 집중 조명했다.
한편, 샤오미 창업자 레이쥔으로부터 연봉 1천만위안(약 20억원)에 영입 제안을 받은 사실로 화제가 된 '95년생 AI천재 소녀' 뤄푸리(羅福莉)는 딥시크를 떠나 새로운 직장에서 일하기 시작했다고 신랑재경 등 중국 매체들이 보도했다. 그의 새 직장이 어디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뤄푸리는 지난 18일 자신의 SNS에 "조용히 일할 수 있게 해 달라"며 사실이 아닌 기사 등 과도한 관심을 자제해 달라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권수현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