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반퇴시대 재산리모델링] 아파트 팔고, 월 500만원 적립식 투자해 ‘나홀로 노후’ 대비

Q. 서울 성동구에 사는 유모(52·여)씨는 미혼으로 80대 모친과 함께 살고 있다. 병원 상담실장으로 일하고 있는데, 1년 내 퇴사할 예정이다. 은퇴 계획을 세워야 하는데, 소득이 사라지면 모친 병간호비를 비롯해 생활비를 어떻게 마련할지 막막하다. 현재 보유하고 있는 성동구 아파트를 팔고 저가 아파트를 매수한 뒤 현금을 확보하는 것이 좋을까. 어머니가 돌아가시면 홀로 노년기를 보내야 하는 상황에서 안정적인 노후를 위한 현금 자산 및 부동산 운용법이 궁금하다. 현재 연금이나 보험이 없는 상태에서 퇴직금을 활용할 방법도 알고 싶다.

A. 의뢰인은 자산을 부동산에 묶어두기보다 여유자금 확보 및 현금흐름 창출에 신경 쓸 때다. 소형 아파트로 갈아타면 1가구 1주택 장기 보유자에 해당, 세금이 적어 시세차익을 볼 수 있다. 기존 보유 중인 예금은 모친의 병간호비, 생활비를 위한 예비자금으로 활용하고, 여유자금 확보를 위해 정기예금에 추가로 가입하자. 대형 우량주로 구성된 주식은 추후 시황, 업종 및 기업 전망 등에 따라 주식 및 채권 포트폴리오로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 절세 금융상품인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에 가입하면 분리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어 유리하다. 퇴직금은 받은 즉시 개인형퇴직연금(IRP)으로 전환해 수익률을 높이자.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하면 퇴직소득세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재산리모델링
◆여윳돈 투자는 주식 반, 채권 반=예금 등 안전자산을 구성하는 것 외에 자산의 60%는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는 투자 포트폴리오로 구성하자. 미국 주식 시장 변동성을 고려해 향후 3년간 매달 500만원 수준의 적립식 투자를 할 수 있는 주식 포트폴리오를 추천한다. 미국 S&P500 지수 기준 20% 이상 하락하는 조정 국면에서는 매달 적립식으로 투자하는 금액을 1000만원으로 증액하는 형태의 매수 전략을 검토해보자. 채권은 현재 금리를 고려해 장기채권(만기 10년 이상) 60%, 단기 채권(만기 10년 이하) 40%로 나눠 투자해보자. 채권은 만기가 길수록 금리 인하 시 가격 상승 폭이 커 수익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단 금리 변동을 살펴 추후 장·단기 채권 비중을 조정해야 한다.

◆퇴직금 ETF로 전략적 투자, 의료보험은 필수=장기채권 투자 대안으로는 10년물 미국 국채를 추천한다. 금리 하락 시 수익이 커지고, 표면 이자율이 낮아 세금 부담이 적어서다. 환율 부담이 있다면 미국 장기 국채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채권형 상장지수펀드(ETF)나 만기매칭형 ETF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다. 만기매칭형 ETF는 만기 시 투자 원금과 이자를 함께 돌려받을 수 있는데, 만기 전 금리가 하락하면 되팔아 이익을 얻을 수 있다. IRP로 전환한 퇴직연금 역시 ETF를 통해 미국 주식과 채권에 장기 투자하는 방향이 좋겠다. 또한 보험이 없는 의뢰인의 건강 리스크 관리를 위해 실손보험, 2대 질환(뇌·심혈관) 보험, 암보험 등에 가입하는 것이 좋겠다. 여유가 있으면 간병 보험에도 가입해 노후를 대비하자.

◆지면 상담=재산리모델링센터([email protected]) 또는 QR코드로 접속해 상담을 위한 전화번호 자산·수입·지출 현황 등을 알려 주세요. 가명으로 처리되고 무료입니다.

◆후원=미래에셋증권·하나은행

김재언, 김윤정, 최홍석, 박성하(왼쪽부터 순서대로)
◆재무설계 도움말=김재언 미래에셋증권 VIP 컨설팅팀 팀장, 김윤정 국민은행 WM투자자문부 세무전문위원, 최홍석 미래에셋증권 대치 WM 선임 매니저, 박성하 신한 라이프 FC




김세린([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