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상이군인 ‘꺾이지 않는 심장’ 캐나다 인빅터스 게임 폐막…대전 유치 새 목표 정조준

세계 상이군인 체육대회 '2025 캐나다 인빅터스 게임'에 참가한 한국 선수단이 금메달 1개, 은메달 1개, 동메달 3개를 따내며 대회를 마무리했다. 2027년 영국 버밍엄에서 열리는 차기 대회를 기약한 한국 선수단은 2029년 대전 대회 유치라는 새로운 목표를 정조준했다.

지난 15일(현지시간) 밴쿠버 컨벤션센터에서 펼쳐진 2025 캐나다 인빅터스 게임 좌식배구 경기를 관람한 견종호 밴쿠버 총영사 등 영사관 관계자와 교민들이 한국 대표팀 선수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국방부 공동취재단
지난 8일(현지시간) 밴쿠버 BC 플레이스 스타디움에서 개막한 이번 대회는 밴쿠버와 휘슬러를 오가며 16일까지 9일간 펼쳐졌다. 한국을 비롯해 미국, 영국, 캐나다, 우크라이나 등 23개국에서 참가한 550여 명의 상이군인 선수들은 스키, 스노보드, 크로스컨트리, 바이애슬론, 스켈레톤, 휠체어컬링, 수영, 실내조정, 좌식배구, 휠체어농구, 휠체어럭비 등 11개 종목에서 레이스를 펼쳤다.

휠체어 컬링, 스켈레톤, 스키, 스노우보드, 수영, 좌식배구, 실내조정 등 7개 종목에 11명의 선수가 출전한 한국 선수단은 지난 9일 밴쿠버 힐크레스트센터에서 열린 휠체어 컬링에서 금메달을 목에 건 것을 시작으로 11일과 12일 휘슬러에서 진행된 스켈레톤과 알파인 스키(좌식)에서 은메달 1개와 동메달 2개를 쓸어 담았다. 이후 잠잠했던 메달 소식은 대회 마지막 날인 16일 밴쿠버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실내 조정 경기에서 나왔다. 김영민 선수가 남자 4분 지구력 부문에서 3위를 차지하며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

9일간의 열전을 마친 한국 선수단은 이날 오후 로저스 아레나에서 열린 폐막식에 참석하는 것으로 이번 대회를 마무리 했다. 폐막식에 참석한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인빅터스 게임은 단순한 경쟁이 아니라 모든 참가자들이 서로에게 영감을 주는 아주 특별한 의미를 가진 행사"라며 "이번 대회를 계기로 전 세계 모든 상이군인들과의 연대를 통한 감사와 격려의 메시지를 전한다"고 말했다.

대회 창시자인 해리 영국 왕자는 “인빅터스 게임은 계속될 것”이라며 “이를 통해 우리는 서로를 돕고 희망을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5 캐나다 인빅터스 게임 한국 선수단장 한태호 대한민국상이군경회 복지국장이 지난 14일(현지시간) 밴쿠버 컨벤션센터에서 도미니크 리드 인빅터스 게임 재단(IGF) 최고경영자(CEO)에게 유을상 대한민국상이군경회 회장 명의의 감사패를 전달하고 있다. 국방부 공동취재단
한국은 이번 인빅터스 게임 기간 중 2029년 대회를 대전광역시에 유치하겠다는 의향서를 인빅터스 게임 재단(IGF)에 제출했다. IGF 관계자는 "한국이 가장 먼저 의향서를 제출했다"고 말했다.

앞서 한국 선수단장인 한태호 대한민국상이군경회 복지국장은 정부의 유치 활동 지원을 위해 도미닉 리드 IGF 최고경영자(CEO)에게 유을상 대한민국상이군경회 회장 명의의 감사패를 전달했다. 리드 CEO는 이달 말 CEO자리에서 물러나지만, 대회 개최지를 결정하는 IGF에 막강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인물이다. 그는 한국의 2029년 대회 유치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고 한다.

16일(현지시간) 캐나다 밴쿠버 로저스 아레나에서 열린 2025 캐나다 인빅터스 게임 폐막식에 참석한 한국 선수단 주장 김한기 선수가 무대에 올라 관중들의 환호에 손을 들어화답하고 있다. 국방부 공동취재단
대회를 마친 한국 선수단 주장 김한기 선수는 "우리 선수들은 조국을 위해 희생한 호국영령과 순국선열의 고귀한 나라사랑 정신을 이어받아, 불편한 몸이지만 대한민국을 위해 최선을 다했다"고 말했다.

한국 선수단에서 인빅터스 게임에 현역 군인으로는 처음 참가한 권영수 상사의 부인 박정숙 씨는 "꺾이지 않는 심장이라는 타이틀에 걸맞게 세계 각국에서 참가한 선수들의 열정과 패기를 옆에서 보면서, 그들의 '용기'와 '도전정신'에 스스로가 부끄러워질 정도였다"며 "다른 이들보다 아픔이 컸던 만큼 극복한 사례를 공유하고 품어주며 격려로 응원하던 모습은 절대 잊지 못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근평([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