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끊임없는 변화, 팬덤, 한국적 각색…장수 뮤지컬 롱런 비결

올해 초 한국 공연계에서 20~30주년을 맞은 ‘스테디셀러’ 뮤지컬이 여전한 인기를 누리고 있다. 예매사이트 인터파크에 따르면 17일 기준 지난 한 달 간 뮤지컬 예매 순위에서 올해로 스무살이 된 ‘지킬앤하이드’가 1위를 지키고 있고, 30주년을 맞은 뮤지컬 ‘명성황후’가 4위, 초연 후 25년이 지난 ‘베르테르’가 6위다. 이들 작품은 탄탄한 스토리와 귀에 쏙 들어오는 ‘넘버’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 공통점. 여기에 각 작품이 지닌 특별한 롱런의 비결이 있다.

뮤지컬 '명성황후' 30주년 공연모습. '명성황후' 제작진은 매 시즌마다 수정과 변화를 가하며 팬을 맞았다.사진 에이콤
“매 시즌 수정 변화…역사 스스로 갱신”
명성황후 시해 사건 발생 후 100년이 된 1995년 초연을 올린 뮤지컬 ‘명성황후’는 이달 초 누적 관객 200만명을 넘긴 데 이어 한국 창작 뮤지컬 처음으로 미국 브로드웨이에 진출하며 한국 뮤지컬 역사의 한 획을 그었다.

제작진과 평론가들이 입모아 말하는 ‘롱런’의 비결은 변화다. 윤호진 예술감독은 “명성황후가 지닌 스토리텔링의 힘을 이어가기 위해 무대에 올릴 때마다 꾸준히 수정·보완했다”며 “관객의 호응은 이런 변화에 대한 응답”이라고 말했다. 이윤정 홍익대 공연예술대학원 교수는 “명성황후 제작진들은 시대의 변화 속에서도 정체되지 않고 한 걸음씩 명성황후를 앞으로 밀고 나갔다”라고 설명했다.

실제 ‘명성황후’ 30년은 변화의 역사다. 1997년 브로드웨이 진출을 앞두고 명성황후 제작진은 음악의 난도를 높였고, 이는 초연 당시 명성황후 역을 맡은 배우 윤석화의 교체로 이어졌다. ‘2대 명성황후’로는 성악가 출신 이태원과 김원정이 발탁됐다.

수태굿 장면이 등장한 것도 브로드웨이 무대에서다. 동양의 전통문화와 화려한 색감을 보여주기 위함이었다. 20주년 공연에서는 원자폭탄 투하 장면으로 시작된 도입부를 명성황후 혼례식으로 교체했다.

25주년 공연에서는 특히 변화의 폭이 컸다. 윤 감독이 “확 뒤집었다”라고 표현할 정도다. 기존 대사 없이 노래로만 진행하는 ‘성 스루’ 방식에서 벗어나 대사를 가미했다. 좀 더 쉽게 내용을 전달해 관객의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서였다. 무대에는 발광다이오드(LED) 패널을 도입했다. 이를 통해 일본 낭인들이 불을 질러 화염에 뒤덮인 참혹한 대궐 모습 등을 보다 선명하게 보여줬다.

뮤지컬 명성황후 30주년 공연중 '무과시험' 모습. '명성황후' 30주년 공연에서는 25주년 때 도입된 발광다이오드(LED) 패널이 빠졌다. 윤호진 예술감독은 "무대가 화려하니 배우가 보이지 않았다"고 말했다. 사진 에이컴

서른 살 ‘명성황후’는 다시 변모했다. LED 패널을 뺐다. 윤 감독은 “무대가 화려하니 정작 중요한 배우가 보이지 않았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25주년 공연에 대사가 도입되면서 사라진 일부 넘버를 되살리기도 했다. ‘섭정’, ‘대원군’과 같이 25주년 공연에 대사로 처리됐던 흥선대원군의 넘버를 30주년 공연에서 다시 들을 수 있다.

안재승 ‘명성황후’ 연출가는 “‘명성황후’의 진정한 가치는 안주하지 않고 매 시즌 수정과 변화를 거듭하며 스스로 쌓아 올린 역사를 스스로 갱신해 나갔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뮤지컬 '베르테르' 25주년 공연 포스터. '베사모(베르테르를 사랑하는 모임)'는 뮤지컬계 최초 팬카페로 불린다. 사진 CJ ENM

‘팬덤’이 지탱한 25년
뮤지컬 ‘베르테르’ 는 ‘N차 관람’ 이라는 용어를 탄생시킨 작품이다.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서간체 소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 원작이다. 2001~2013년에는 뮤지컬 제목이 원작과 동일했다.

이 뮤지컬이 25년을 이어온 데는 팬덤의 역할이 절대적이었다. 이 작품은 2002년을 끝으로 무대에 오르지 못할 뻔했다. 당시 화려한 브로드웨이 뮤지컬에 익숙한 관객에게 비극적인 스토리를 가진 이 작품이 좋은 반응을 얻지 못한 탓이다. 하지만 2001년 만들어진 뮤지컬계 최초의 팬클럽인 ‘베사모(베르테르를 사랑하는 이들의 모임)’가 나섰다. 인터넷 동호회가 유행하던 시절 모였던 500여명의 회원들이 자발적으로 십시일반했는데, 모금액이 3억원이나 됐다. 이에 베르테르는 공연을 이어갈 수 있었고, 마니아 층을 넘어 폭넓은 층의 사랑을 받는 작품으로 거듭났다.

최윤영 공연칼럼니스트는 “명작을 원작으로 한 고전미에 현대적 감각이 더해지며 골수팬이 생겼고 이후 다양한 변화 시도로 대중들의 관심을 얻을 수 있었다”고 짚었다.

뮤지컬 베르테르 25주년 모습. 베사모 회원들은 자발적으로 3억원을 모아 공연 중단을 막았다. 사진 CJ ENM

이 작품도 초연 후 여러 변화를 거쳤다. 초연 당시 피아노와 현악기로 구성된 5인조 실내악단의 규모는 2010년 이후 11인조로 커졌다. 코로나19로 인한 현장 공연의 제약을 넘어서려는 시도도 있었다. 2020년 공연 실황 네이버 TV 라이브 송출, 2021년 멀티플렉스 극장 개봉 등이다.

최근엔 25주년을 기념한 브랜드북 『러브 레터』가 발간됐다. 뮤지컬 ‘베르테르’가 관객에 들려주는 이야기, 그리고 팬들이 전한 이야기 등이 담겼다. 공연장 부스에서 구입 가능하다. 이 책에서 ‘다예’라는 필명을 쓴 관객은 ‘베르테르’에 대해 “아무런 의심 없이 사랑이라는 감정에 집중하는 베르테르의 용기와 열망이 마음에 와 닿아 그런 마음을 헤아려 보고 싶은 생각이 자꾸만 드는 극”이라고 적었다.

뮤지컬 '지킬앤하이드'에서 김성철이 '지금 이 순간'을 부르고 있다. '지금 이 순간'은 한국 뮤지컬에서 가장 유명한 넘버로 꼽힌다.사진 오디컴퍼니
한국에서 유독 성공한 ‘지금 이 순간’

뮤지컬을 본 적이 없는 사람도 이 노래, ‘지금 이 순간(This is the moment)’은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 20주년을 맞은 뮤지컬 ‘지킬앤하이드’의 넘버다. 한국에서 가장 유명한 뮤지컬 넘버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킬앤하이드’는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의 소설 『지킬박사와 하이드 씨의 이상한 사건』을 각색했다. 1997년 브로드웨이에서 첫 공연후 독일, 영국, 일본 등에서 무대에 올랐는데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했다.

하지만 국내에선 2005년 초연 후 누적 관객 수 180만명을 돌파한 대표 스테디셀러 뮤지컬로 자리매김했다. 한국 정서에 맞춰 수정‧각색‧번안한 논 레플리카(Non-Replica) 버전으로 관객과 만났다. 정신분열증을 앓는 아버지를 치료하고 싶어하는 지킬의 안타까움을 그린 ‘아이 니드 투 노우’(I Need to Know)는 브로드웨이에는 없는 넘버로 2004년 국내 초연때 삽입됐다. 중년 남성인 원작과 달리 한국판 ‘지킬’은 더 젊고 도전적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이 작품 초연에 참가한 조승우의 경우 24살에 지킬앤 하이드 주인공을 맡았다. 일본의 경우 2001년 초연의 주인공은 당시 50대(1950년생)였던 가가 다케시(鹿賀丈史)였다.

원종원 순천향대 공연영상학과 교수는 “음악의 매력이 워낙 뛰어나고 한국 관객 선호에 맞게 원작 각색이 이뤄졌다”며 “‘원 캐스팅’인 해외와 달리 배우 2, 3명이 번갈아가며 같은 배역을 연기하는 더블‧트리플 캐스팅인 한국의 시스템도 잘 맞아 떨어졌다”고 말했다.

홍광호와 윤공주가 뮤지컬 '지킬앤하이드'를 연기하는 모습. 한국 정서에 맞게 각색된 '지킬앤하이드'는 국내 대표 스테디셀러로 자리매김했다. 사진 오디컴퍼니

비교적 여유를 두고 연기를 함으로써 무대에서 에너지를 쏟아내야 하는 난도 높은 넘버를 소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이 작품의 남주인공은 서로 다른 본성을 숨가쁘게 오가며 ‘원맨쇼’와 가까운 연기를 펼쳐내야 하는 만큼 작품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 뮤지컬에 출연한 배우들에게 ‘조지킬(지킬앤하이드의 조승우)’, ‘류하이드(류정한+하이드)’와 같은 애칭이 붙는 이유다.

현재 20주년 기념 공연의 지킬‧하이드역은 홍광호와 전동석, 김성철이 무대에 오르고 있다. 오는 28일에는 신성록, 다음달 1일에는 최재림이 합류한다.



하남현([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