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인데 짓고 또 짓는다…전국이 '케이블카 대란' 왜?
케이블카 설치 지역이 외곽에서 도심으로, 일반 산림에서 국립공원으로 파고들고 있다. 사업추진업체와 지자체는 관광객 유입과 일자리 창출로 지역 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도심 경관과 자연환경 훼손 우려가 큰 만큼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반발이 거세다.
전국 케이블카 41개 제로섬 게임…대부분 적자 운영 중
![2008년 개장한 통영케이블카는 2023년 적자 39억원을 기록했다. 사진 통영관광개발공사](https://news.koreadaily.com/data/photo/2025/02/14/a16fd2b2-ace3-4940-8557-53dc6484c116.jpg)
상황이 이런데도 2개의 케이블카가 운영 중인 부산에 세 번째 케이블카가 들어설 예정이다. 부산 도심에 위치한 황령산에 설치된다. 시행사인 대원플러스그룹 관계자는 “부산진구 전포동에서 황령산 전망대를 잇는 539m 케이블카와 황령산 전망대에서 남구에 위치한 스노우캐슬을 잇는 2.7㎞ 케이블카 설치할 것”이라며 “올해 상반기 착공을 목표로 한다”고 말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황령산 정상에 높이 118m 봉수전망대를 세우고, 관광 테마형 푸드코트, 박물관, 호텔 등 복합 관광 시설을 짓는 대규모 개발사업을 추진 중이다. 사업비는 총 2조2000억원에 달한다.
부산 도심 케이블카 추진…환경단체 “공공재의 사유화”
![환경단체가 지난 4일 부산시청 앞에서 황령산 개발사업 반대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사진 부산환경운동연합](https://news.koreadaily.com/data/photo/2025/02/14/4a0e597d-1fb1-4320-a526-8d604a8be1cb.jpg)
부산시는 황령산 전망대에 있는 송신탑 전파장애 문제만 해소되면 실시계획 인가를 내준다는 입장이다. 부산시 공원여가정책과 관계자는 “황령산 케이블카 사업은 환경영향평가를 비롯한 모든 절차를 마무리한 만큼 실시계획 인가가 떨어지면 곧바로 착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설악산 국립공원 빗장 풀리자…강원도 내 6개 케이블카 추진 중
![한덕수 국무총리와 김진태 강원도지사 등 내빈들이 2023년 11월 20일 강원도 양양군 오색리에서 열린 국립공원 설악산 오색지구 케이블카 착공식을 마친 뒤 사업 부지를 둘러보고 있다.](https://news.koreadaily.com/data/photo/2025/02/14/bdadf604-9a27-449a-8969-49a13c4ad0e6.jpg)
오색케이블카 사업 추진 당시 환경 훼손을 이유로 각종 소송을 제기했던 환경단체의 반발도 시작됐다. 녹색연합은 “강원도와 고성군은 생태적·문화적 유산이 응집된 설악산을 단순한 관광지로 전락시키고 있다”며 “케이블카 설치는 울산바위의 독특한 자연경관과 생태계를 돌이킬 수 없는 상태로 훼손할 수 있다”며 사업 철회를 요구했다.
!['케이블카 없는 지리산 실천단' 등 환경단체들이 지난해 6월 24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국립공원 1호 지리산에 케이블카를 추진하는 경남도, 산청군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https://news.koreadaily.com/data/photo/2025/02/14/e24d8555-bb86-46d5-9d9c-919177e2a202.jpg)
지리산 국립공원이 있는 전남 구례군도 환경부에 ‘국립공원 공원계획변경 심의’를 신청했다. 속리산, 월출산, 소백산, 북한산 등 국립공원을 낀 4개 자치단체도 케이블카 유치전에 가세했다.
일각에서는 국립공원 내 케이블카 설치를 환영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케이블카가 산을 걸어 오르는 등산객과 교통량을 줄여 환경피해를 줄이고, 낙후한 지역경제에 도움을 줄 것이란 기대다. 또 장애인과 고령자의 국립공원 접근성을 높인다며 반기는 시민도 있다. 강원도 양양군에 사는 김모(45)씨는 “80대 노모를 모시고 산에 갈 엄두가 안 났는데 내년 10월 설악산 오색케이블카가 완공되면 꼭 타 볼 것”이라며 “노령 인구가 느는 만큼 케이블카 수요 또한 늘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미국·스위스 국립공원 내 케이블카 금지…일본은 철거 중
전문가들은 사업자가 개발 요건을 갖추면 지자체는 허가를 내줄 수밖에 없는 개발법이 문제라고 꼬집는다. 김동필 부산대 조경학과 교수는 “국립공원은 미래세대에 빌려 쓰는 땅이다. 국립공원 내 무분별한 개발사업은 막아야 한다”며 “토목공사보다는 문화 콘텐트로 관광객 유입을 고민하는 게 잠재적 활용가치를 높이는 길”이라고 말했다.
![김경진 기자](https://news.koreadaily.com/data/photo/2025/02/14/e4f89d17-3c43-45d8-a1b4-c4c2661ac3d9.jpg)
이은지.박진호([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