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검진의 종교·철학 여행] 깨우침은 단박에 이루어진다
<4> 혜능스님의 돈오돈수
무명으로 다시 돌아갈 수 있어
남다른 수행·불심이 바탕 돼야
계(戒)는 심신에 좋은 습관을 들이는 것이다. 정(定)은 계에 의해 몸과 마음이 조정되면, 다음에는 마음을 통일하는 정(定)이 생긴다. 혜(慧)는 도리를 명석하게 분별 판단하는 마음의 작용이다. 불교의 최종적인 목적은 깨우침의 지혜를 얻는 것이며, 혜는 가장 넒은 의미의 지혜다.
혜능스님은 돈오돈수(頓悟頓修)를 주장했다. 즉, 깨우침은 단박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신수스님은 수상정혜(隨相定慧)를 주장했다. 상을 쫓아서 선정으로 마음의 고요함을 얻은 후에 지혜를 점차 갈고 닦아야 한다는 가르침이었다. 또 보조스님은 돈오점수(頓悟漸修)라 하여 단박에 깨우침을 얻고도 무명으로 돌아갈 수 있으니, 계속해서 '선정(禪定.생각을 쉬는 것)'과 지혜를 갈고 닦아야 한다고 혜능과 신수의 중간적인 태도를 보였다.
성철스님은 돈오점수는 혜능의 가르침이 아니고 잘못된 해석이라고 했다. 결국, 돈오돈수 즉, 단박에 깨닫는 것이 옳다는 것이고, 수행은 오랜 시간이 필요 없다는 것이었다.
그렇다고 깨우침은 별것이 아니라고 오해하면 안 된다. 깨우침을 얻을 정도의 사람이라면, 그전부터 범인에겐 알 수 없는 수행 또는 남다른 불심이 있었을 것이다. 이런 것이 '암묵적 지식'이다.
오조스님은 일개 나무꾼이었던 혜능에게 육조의 자리를 물려주었다.
혜능스님(육조스님)은 설파하시길 선정과 지혜는 하나라 했다. 자성(自性)의 본체가 선정이요, 자성의 작용이 지혜라는 것이다. 자성이란 본디부터 가지고 있는 불성(佛性) 즉, 모든 중생이 본래 가지고 있지만 보지 못하는 부처의 마음인데, 선정(禪定)이란 본체 속에 지혜의 작용이 있으니, 몸과 뇌는 하나이듯, 선정이 지혜요, 지혜가 곧 선정이란 것이다. 육조 스님이 말씀하시길, 마음이 어지럽지 않음이 자성의 선정이고, 마음이 어리석지 않음이 자성의 지혜라 했다.
고려 중기 때, 보조국사 지눌 스님은 돈오점수를 설파했다. 즉, 불도에 들어가는 문은 오직 돈오(頓悟.단박에 깨달음)와 점수(漸修.점차로 닦아나감)의 이문(二門)에 있음을 밝혔다. 점수의 방법론은 정혜(定慧)를 동시에 골고루 닦는 정혜쌍수(定慧雙修)를 그의 저서인 '수심관(修心觀)'에서 체계화하였고, 이는 곧 한국불교의 선수행(禪修行) 지침이 되었다.
노자의 '도덕경' 제8장에 '상선약수(上善若水)'라는 표현이 있다. 최고의 선은 물과 같다는 말이다. 도덕경에서 물은 만물을 이롭게 하면서도 서로 다투지 않고 또한 남들이 싫어하는 곳에 스스로 처한다. 즉,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항상 향하면서 머물 때도 낮은 곳에 처한다는 의미다. 그러므로 물은 도(道)에 가깝다.
불교에선 모든 것은 머물지 않고 계속 변화가 있으니 현재 우리가 보고 있는 것은 허상(虛像)이므로 공(空)의 세계로 들어가 여여한 마음을 갖는 것을 득도(得道)의 길이라고 한다. 니체는 불교와 다른 관점으로 모든 만물은 변화하므로 이 세상에 '절대자'와 '진실'은 없고, 단지 우리가 살아 있다는 이유로 이 세상이라는 특정한 세상에서 '힘에의 의지(위버멘쉬)'로써 긍정적으로 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서양 철학자 중에 무신론자가 많은데, 그들은 형이상학보다는 현실에 충실한 실존철학에 무게 중심을 둔다. 그들에게는 신보다 존재하는 인간 자체가 중요하다는 것이다. 니체도 그중 하나다.

박검진
단국대 전자공학과 졸업. 한국기술교육대에서 기술경영학(MOT)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LG반도체 특허협상팀 팀장, 하이닉스반도체 특허분석팀 차장, 호서대 특허관리어드바이저, 한국기술교육대 산학협력단 교수를 거쳐 현재 콜라보기술경영연구소 대표.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