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수필집 '작가라는 이름으로' 북토크 성료 “작가들과 친밀한 만남”

달라스 한인문학회 소속 회원 등 작가 7인의 수필 모음집, 온라인 서점서 구매 가능

수필집 〈작가라는 이름으로〉 작가들이 북토크에서 자신의 작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수필집 〈작가라는 이름으로〉 작가들이 북토크에서 자신의 작품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달라스 한인문학회(회장 김양수, 이하 문학회) 소속 7인의 작가들이 수필집 〈작가라는 이름으로〉를 발간했다. 문학회는 지난 1일(토) 오후 3시 30분 플레이노에 소재한 이탈리안 레스토랑 마지아노스(Maggiano’s Little Italy)에서 수필집 발간 기념 북토크를 열어 작가들과 대화의 시간을 가졌다.
이번 수필집에 참가한 박인애, 백경혜, 이지원, 전명혜, 정만진, 정은희 작가는 복토크를 통해 수필집에 실린 자신의 작품을 설명하고 참석자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김추산 작가는 이날 행사에 불참했다.
이 책은 ‘도서출판 작가’에서 지난해 12월16일에 출간했다. 이 책은 한국 유수 대학 도서실과 국립도서실에 기증됐다. 교보문고와 인터넷 온라인 서점에서 구매할 수 있다. 이 책은 수필가라는 공통 분모를 가진 7명의 작가가 엮은 공저다. 한 권의 책 속에 7권의 미니 수필집이 들어 있다고 보면 좋다. 작가 한 명이 각각 6편씩 내서 42편의 작품이 실렸고 손홍규 소설가와 한양대 유성호 교수가 추천사를 썼다.
이날 축사를 한 미주한국문인협회 김준철 회장이 운영하는 나무달(Tree & Moon)이라는 비영리단체가 있다. 나무달이란 이름은 외조부이자 국민 시인인 박목월 시인의 호에서 가져왔다. 그곳에서 하는 문학 사업 중 하나가 작가가 되려는 사람들을 위한 수업을 하는 온라인 아카데미인데, 이번 수필집에 참여한 작가들은 이를 통해 연결된 사람들이다. 이 책의 내용은 작가라는 이름으로 살고 싶은, 살아가는, 살아갈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손홍규 소설가는 추천사를 통해 “여기 일곱 명의 작가가 저마다의 숨결을 불어 넣어 생생하게 되살려낸 삶의 이야기들이 있다”며 “일곱 작가의 글을 읽다 보면 글을 읽는 게 아니라 다정하고 관대한 누군가를 마주한 채 대화를 나누고 있는 듯한 기분이 든다”고 평했다.  
손홍규 소설가는 그러면서 “내가 알았던 이들이 어느새 내 주위를 둘러싸고 반갑게 안부를 묻고 근황을 전하고 내 소심한 고백에 위로의 말을 건네고 내 손을 잡아끌어 시야가 확 트인 곳으로 가서 해 지는 풍경을 가리킨다”며 “나는 내가 살아온 삶의 궤적을 더듬으면서 지금 내가 골몰하는 슬픔을 직시하게 되고 내가 잃어버렸거나 무심히 지나쳐왔던 것을 떠올리게 된다”고 했다. 그는 또 “이들이 타국에서 가꾸어 온 모국어에는 그 나라의 바람 소리도 실려 있다”며 “그러니 어찌 여기에 실린 일곱 작가의 글을 읽으면서 사무치지 않을 수 있을까”라고 평했다.
문학평론가이자 한양대학교 국문과 유성호 교수는 “이분들은 이중언어 환경에 놓인 이민자 문인들로서, 이민생활에 따른 보람과 행복을 우리에게 살가운 언어로 전해준다”며 “가족이나 모국에 대한 사랑 그리고 자신이 살아온 시간에 대한 애착도 아름답게 노래해 간다. 그럼으로써 현실과 꿈 사이에서, 모국과 이국 사이에서, 기원(origin)과 현재형 사이에서, 자신을 존재하게 했던 모어의 지극한 힘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평했다.
이날 북토크에는 재즈 라이브 공연과 케이크 커팅식, 작가 소개, 추천사, 그리고 작가와의 대화로 구성됐다. 이번 행사는 달라스 예술인총연합회(회장 박성신), 미주한국문인협회(회장 김준철), 한국디카시인협회 텍사스지부(회장 박인애) 등이 후원했다. 전명혜 작가는 수필집 50권을 구매해 참석자들에게 증정했다.  
 
〈토니 채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