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복귀의 꿈, 이제 시작” 다시 뛰는 한국 아이스하키
![중국과 경기에서 결승골 기회를 잡은 김상욱(왼쪽 셋째). 종료 직전 터진 김상욱의 골로 한국은 6 대 5로 승리했다. 예선전 2승을 기록한 한국은 7일 일본을 만난다. [연합뉴스]](https://news.koreadaily.com/data/photo/2025/02/07/7e8ce2f8-df35-46ed-b070-5343c0f3e85a.jpg)
한국 아이스하키는 2017년 4월 기적을 썼다. 실업팀 3개, 대학팀 5개, 등록 선수 233명이라는 열악한 환경에서 국제아이스하키연맹(IIHF) 세계선수권 디비전1 그룹A 대회 역대 최고 성적인 2위를 기록했다. 미국·캐나다 등 세계적 강호가 즐비한 월드챔피언십(1부리그)으로 승격했다. 피땀 흘리는 노력으로 일군 성과였다. 한국은 2018 평창 겨울올림픽 개최국이면서도 실력 부족을 이유로 아이스하키 본선 출전권을 받지 못했다. IIHF가 “본선 승리는 차치하고, 한국이 큰 점수 차이로 질 경우 곤란한 상황이 생길 수 있다”고 난색을 보였다. ‘겨울올림픽의 꽃’ 아이스하키를 안방에서 남의 잔치처럼 구경만 할 수는 없다는 여론이 비등했다. 결국 귀화 선수 대거 충원과 외국인 감독(백지선) 영입 등 IIHF의 요구사항을 모두 수용한 뒤에야 (2014년 9월) 출전권을 얻을 수 있었다.
![김상욱](https://news.koreadaily.com/data/photo/2025/02/07/94a046d9-4c68-47fd-b00a-0e101f1508b3.jpg)
이렇게 전성기를 맞았던 한국 아이스하키는 평창올림픽 이후 침체기를 맞았다. 귀화 선수들이 하나둘 고국으로 돌아가고, 2021년 대명 킬러웨일즈, 2023년 하이원이 차례로 해체돼 안양 한라 혼자서 겨우 명맥을 유지하는 상황이 됐다. 내년 밀라노-코르티나 담페초 겨울올림픽 출전도 일찌감치 무산됐다. 과거로 회귀한 한국 아이스하키가 중흥의 재시작점으로 삼는 무대가 2025 하얼빈 겨울아시안게임이다. 아이스하키계는 이번 대회를 통해 세대교체의 틀을 잡아 5년 뒤 2040년 알프스 겨울올림픽에 다시 도전한다는 각오를 다진다.
![](https://news.koreadaily.com/data/photo/2025/02/07/a0242e60-762c-4016-9a0b-efc278b291f1.jpg)
2연승의 한국은 7일 오후 1시 30분(한국시간) 일본과 3차전을 치른다. 역사적 의미가 깊은 하얼빈이다 보니 일본전을 향한 한·일 양국의 관심도 많다. 김상욱은 “가위바위보조차 일본에는 지면 안 된다. 전력은 일본이 앞서지만, 태극마크를 달고 있다는 사명감을 되새기면서 경기를 준비하겠다”며 “우리 목표는 다음 겨울올림픽 자력 출전이다. 이를 위해 이번 대회에서 의미 있는 성과를 내야 한다. 후배들이 꼭 알프스에 갈 수 있도록 돕겠다”고 강조했다.
고봉준([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