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쓰레기 낙하로 하늘길 점점 더 위험해져"
로켓 잔해물은 크고 열에 강해…대기권서 항공기와 충돌 가능성↑ "지구 근처 소프트볼 크기 우주 잔해물 5만개 달해"
로켓 잔해물은 크고 열에 강해…대기권서 항공기와 충돌 가능성↑
"지구 근처 소프트볼 크기 우주 잔해물 5만개 달해"
(서울=연합뉴스) 신재우 기자 = 지구 주변을 떠도는 '우주 쓰레기'로 인해 항공 운항이 점점 더 위험해지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항공기가 우주 잔해물과 충돌할 가능성이 지금 당장은 크지 않지만, 항공 산업과 우주비행 산업이 모두 성장세에 있어 충돌 가능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현지시간) 미국 ABC 뉴스에 따르면, 이같은 연구결과는 지난달 과학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
논문은 "우주 물체의 통제되지 않은 (대기권) 재진입은 비행 중인 항공기와 충돌할 위험을 야기한다"며 "충돌 확률은 낮지만 그 결과는 치명적일 수 있으며, (잔해물) 재진입과 비행이 모두 증가함에 따라 위험은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우주 잔해물은 인공위성 등 인간이 우주에 접근하기 위해 발사한 모든 발사체에서 나온다. 지구 궤도를 도는 잔해물은 시간이 지나면 대기권으로 낙하하게 되는데, 이때 대부분 불에 타면서 미세입자로 변하게 된다.
하지만 우주선을 쏘아 올릴 때 사용하는 로켓의 잔해물은 크기가 크고 열에도 강해 대기권 재진입 시 지상과 해상, 공중에서 인명피해를 입힐 수 있다.
논문 주저자인 아론 볼리 컬럼비아대 부교수는 ABC와의 인터뷰에서 지구 근처에 소프트볼 크기 이상의 우주 잔해물은 약 5만개로 추정되고, 그보다 작은 것까지 합치면 수백만개에 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진이 2023년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늘길 위험을 분석한 결과, 항공 교통량이 많은 전세계 주요 공항 주변의 경우 로켓 잔해물 대기권 재진입의 영향을 받을 확률은 연간 0.8%였다.
캐나다 밴쿠버나 미국 시애틀 등 태평양 연안 도시나 미국 동부해안 등 더욱 복잡한 하늘에서는 로켓 잔해물로 항공 교통이 방해받을 확률은 연간 26%에 달했다.
볼리 교수는 우주 잔해물에 따른 위험이 커짐에 따라 어떤 경우에 영공을 폐쇄할 것인지 기준을 신중히 검토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앞서 2022년 스페인과 프랑스는 20t(톤) 규모의 로켓 본체가 대기권 진입을 앞두자 일부 영공을 폐쇄했는데, 당시 645대의 항공기가 30분간 운항 지연을 겪었고, 비행 중이던 일부 항공기는 우회 운항을 했다.
볼리 교수는 "이런 혼란은 분명히 발생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이 일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신재우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