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트럼프 통역했던 '작은 총리'가 이시바 구원투수 나선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일본 총리의 첫 정상회담에서 아베 신조(安倍晋三) 전 일본 총리의 통역 담당자가 이시바 총리의 ‘구원투수’로 나설 전망이다.
도쿄대 법대 출신인 다카오 실장은 외무성에 들어간 뒤 하버드대 케네디스쿨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전문 통역관은 아니지만 2018년 트럼프 대통령의 저택인 플로리다주 마러라고에서 열린 회동을 시작으로 아베 총리가 트럼프 대통령을 만날 때마다 아베 총리의 ‘입’ 역할을 맡았다. 정상회담은 물론 트럼프 대통령과의 잇단 골프 회동에도 골프 카트 뒷좌석에 동석해 아베 총리의 빠른 일본어를 영어로 전달하는 역할을 해왔다. 다카오 실장은 당시 트럼프 대통령의 연설 영상을 챙겨본 뒤 특유의 화법을 연구해 트럼프 대통령의 ‘의도’를 아베 당시 총리에게 전달하며 ‘슈퍼 통역’이란 별칭을 얻기도 했다.

앞서 교도통신은 "양국 정부가 공동성명에서 ‘미·일 관계의 황금시대를 쌓는다’고 명기하는 방향으로 조정에 들어갔다"고 전하기도 했다. 중국의 영향력 확대를 비롯해 대만 유사시에 대비한 방위체제 강화도 성명문에 실릴 것으로 예상된다.
또 요미우리는 "사이버·우주 분야에서의 제휴 강화도 명기하는 방향으로 양국 정부가 최종 조율에 들어갔다"고 보도했다. 중국·러시아를 겨냥해 미·일 양국이 사이버 공격에 대처하는 능력을 키우고, 미사일 탐지는 물론 '킬러 위성(공격 위성)' 등에 대한 감시를 공동으로 진행한다는 내용이 담길 것이란 설명이다. 중국과 영유권 분쟁 중인 센카쿠(중국명 댜오위댜오) 열도가 미·일 안전보장 조약의 적용 대상이라는 점과 대만해협의 평화·안정의 중요성도 이번 공동성명에 담길 가능성이 있다.
요미우리는 "정상회담 후 이시바 총리가 단독으로 기자회견을 하는 방향이었지만, 미국의 의향을 고려해 트럼프 대통령과 공동으로 기자회견을 여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현예([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