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폭탄주가 약! 혈뇨 싹 낫더라” 이성윤 기겁하게 한 연수생 尹

2회 폭탄주와 예의-청년 윤석열의 두 얼굴


1992년 봄, 개나리가 만발한 서울 서초동 법원 청사 북쪽에 일군의 젊은이가 있었다. 치열한 경쟁률을 뚫고 그 공간에 입성한 사법연수원생들이었다. 연수원 23기 타이틀을 부여받고 인생의 가장 찬란한 봄을 만끽하던 그 무리 중에는 훗날 대통령이 되는 윤석열 연수생이 있었다.
1992년 사법연수원에 입학하기 직전의 윤석열 대통령. 사진 국민의힘
그리고 그의 정적이 되는 이성윤 연수생도 있었다. 서울중앙지검장 시절 문재인 정권의 편에서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과 사사건건 맞섰고, 이후 국회의원이 된 이후에도 대통령이 된 옛 연수원 동기를 매섭게 공격했던 바로 그다.
윤 대통령의 정적 중 한 명인 이성윤 더불어민주당 의원. 뉴스1
하지만 연수원 시절에만 해도 두 사람은 친했다. 윤 연수생이 32세, 이 의원이 30세. 늦깎이 연수생들인 두 사람은 동병상련이었다. 게다가 같은 반, 같은 조였다.

당시 사법연수생은 300명 정도였는데 인원이 많아 몇 개의 반으로 나뉘었다. 한 개의 반은 또다시 15~20명으로 묶인 몇 개의 조로 구성돼 있었다. 두 사람은 5반이었고, 그 반에서도 같은 조에 속해 있었다.

그 조에는 두 사람 이외에도 윤석열 정부 네 번째 공직 낙마자가 됐던 송옥렬 전 공정거래위원장 내정자, 윤석열 정부 국가인권위 비상임위원을 역임한 윤석희 변호사 등이 소속돼 있었다. 그들은 자연스럽게 함께 어울리고 함께 공부하면서 인생의 봄을 만끽했다.

그러나 이성윤 연수생에게는 그들과의 교류 과정에서 매우 힘든 점이 하나 있었다. 어느 날 그것과 관련해 그가 윤 연수생에게 질문을 던졌다.

" 형? 그거 괜찮아졌어요? "
" 뭐? "

이 연수생이 목소리를 낮췄다.
" 아니, 그 왜…. 혈뇨(血尿) 말이에요. "

윤 연수생이 그제야 생각났다는 표정으로 답했다.

" 아 그거? 다 나았어. "
" 아니 어떻게 나았소? 병원 다녔어요? "

윤 연수생이 호탕하게 웃으면서 의외의 답을 내놓았다.

" 아니. 역시 술이 약이더라. 폭탄주를 계속 마셨더니 싹 낫더라고. 하하하. "

이 연수생을 괴롭힌 건 바로 폭탄주였다. 그는 기독교인인 데다가 술을 잘 마시지 못했다. 하지만 그의 조에는 애주가가 많았고, 모였다 하면 소주와 맥주를 섞어 마셨다. 그 선두에 섰던 게 윤 연수생이었다.

그는 두주불사의 폭탄주 애호가였다. 이 연수생이 보기에는 그의 혈뇨도 말술로 인해 발생한 증상이었다. 그의 걱정에 대해 윤 연수생이 병인(病因)으로 병을 치료했다는 역발상의 농담성 답변을 내놓은 것이다. (*이성윤 의원의 저서 『그것은 쿠데타였다』에 나오는 일화를 재구성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유명한 애주가다. 2021년 7월 대선 주자 시절의 윤 대통령이 부산 서구의 한 식당에서 지역 국회의원들과 함께 소주를 마시고 있다. 송봉근 기자
말술은 다변, 박학다식, 보스 기질 등과 함께 윤 대통령을 대변하는 특징으로 지목된다. 물론 그의 애주 성향은 대학 시절부터 일찌감치 형성된 것이지만 연수원에 입소하고 사회인이 된 이후에도 계속 이어졌다. 그가 잘나갈 때 술은 그의 호탕함과 인간미를 대변해 주는 매개체로 자주 인용됐다. 하지만 지금은 판단력 저하와 국가 경영 저해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면서 씁쓸한 뒷맛을 남기고 있다.

9수생 윤석열, 10수 위기 넘기고 사시 합격
윤 대통령은 잘 알려진 대로 사시 9수생이었다. 1차 시험은 서울대 법대 4학년 때 일찌감치 합격했지만 2차 시험이 문제였다. 여덟 번 낙방하고 아홉 번째에 겨우 합격했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서울대 법대 졸업식 사진. 사진은 윤 전 총장의 초ㆍ중ㆍ고 및 대학 동문들로부터 입수했다. 김기정 기자
10수가 될 위기도 있었다. 1991년 6월 절친한 대구 친구가 결혼을 앞두고 “함진아비를 해달라”고 부탁해 왔는데 하필 함 들어가는 날이 2차 시험 사흘 전이었다. 정중히 거절했고 친구도 이해했지만, 그게 계속 마음에 걸렸다. 결국 6월 29일 오전 공부를 마친 뒤 고속버스 편으로 대구에 내려갔다. 본분을 100% 수행한 건 물론이고 뒤풀이 잔치에까지 참석한 뒤 다음 날 새벽 버스 편으로 다시 상경했다.

‘이번에도 어렵겠구나’ 하고 어느 정도 마음을 내려놓은 채 7월 2일 열린 2차 시험에 응시했는데 결과는 합격이었다. 그는 훗날 지인들에게 다음과 같이 말하면서 오히려 그날의 대구행을 행운으로 돌렸다.

" 그때 대구를 오가면서 버스 안에서 평소에 안 보던 형사소송법 뒷부분을 우연히 넘겨 보게 됐는데 거기서 시험 문제가 나왔어. "

그리고 이듬해 봄 그는 사법연수원에 입소해 예비 법조인이 됐다. 법무부 장관 시절 그와 사사건건 부딪혔던 박범계 민주당 의원, 윤 대통령이 포함된 국정농단 특검팀에 의해 구속기소 됐던 조윤선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전 의원이자 유튜버 강용석 변호사, 진보 판사로 유명했던 이정렬 변호사, 국회의원 출신의 주광덕 남양주시장 등이 연수원 23기라는 타이틀과 2년의 세월을 공유했다.

윤 대통령은 1994년 연수원 수료 후 검사로 임관했다. 서른넷의 다소 늦은 나이였다. 이때부터 한 차례 사표를 던졌던 2001년까지의 기간을 그의 ‘검사 1기’로 분류할 수 있다. 특수통으로 거듭난 이후의 이야기와 무용담은 많이 알려졌지만, 이 무렵의 이야기는 거의 알려진 게 없다. ‘윤석열과 한동훈’ 팀은 그의 ‘흙수저 검사’ 시절을 함께 보낸 주변인들을 만나는 한편, 먼지 앉은 옛 자료들에서 세월의 더께를 걷어내는 과정에서 적지 않은 이야기들을 수집할 수 있었다.

‘정치적 고향’ 대구, 그리고 두 귀인과의 숙명적 만남
윤 대통령은 사법시험이나 연수원 성적이 최상위권은 아니었다. 그래서 검사들이 선망하던 서울지검(현 서울중앙지검)에서 검사 생활을 시작하지 못했다. 1994년 3월 그가 네 명의 신임 검사와 함께 검사 경력의 첫발을 내디딘 곳은 대구지검이었다.
윤 대통령이 초임 검사로 일했던 대구지검 청사. 중앙포토
대구는 그의 고향이 아니다. 선친의 고향(충남)도 아니다. 하지만 그 도시는 인생의 고비마다 그를 품어줬다. 검사 생활을 시작한 곳이 대구였고, 첫 특수부장 타이틀을 선사한 곳도 대구였다. 국정원 댓글 사건 수사 과정에서의 외압을 폭로했다가 윗분들을 난감하게 만든 죄로 쫓겨났을 때도 대구(대구고검)는 그를 감싸안았다.

사실상의 정치 입문 선언을 한 곳 역시 대구였다. 2021년 3월 3일 ‘대구고·지검 순시’라는 명목으로 그곳을 찾아 박정희의 재림을 방불케 할 정도로 대대적인 환영을 받은 그는 바로 다음 날 사의를 표명한 뒤 정치인이 됐다.
2021년3월3일 윤석열 검찰총장이 지방 검찰청 순시의 일환으로 대구고지검에 도착하고 있다. 이날의 대구 방문은 사실상의 정치 출정식을 방불케 했다. 실제 윤 총장은 이튿날 총장직에서 물러나면서 공식적으로 정치인이 됐다. 뉴스1
그런 대구와 윤 대통령의 첫 만남은 어땠을까.

(계속)
그는 거기서 ‘귀인’을 두 명이나 만났습니다. 윤 대통령을 특수통으로 만든 사람과, 사석에서 “형”이라 부르는 검사 선배.
또 초임 검사 시절 하숙집 주인이 회고한 윤 대통령은 지금과 다른 뜻밖의 모습이었다고 합니다.
이어지는 내용은 아래 링크를 통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9391


더 많은 기사를 보시려면?


“변호나 똑바로 해 이 XX야”…법정서 터졌다, 尹 폭언·막말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1035

“야! 휴게소다”“또 먹어요?” 윤석열·한동훈 10시간 부산행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8516

尹은 정말로 수사 잘했나…특수통 싹 발견한 ‘95년 대구’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0228

헌금만 年1000억 ‘전광훈 힘’…尹이 외친 ‘애국시민’ 실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08770

박진석([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