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 프리즘] 반복되는 경기도지사 도정 소홀 논란
김 지사는 출마 여부에 대해 “대선보단 대한민국 위기 극복이 우선”이라며 말을 아끼고 있다. 그러나 지역 정가는 “김 지사가 이미 대선 레이스에 뛰어들었다”고 본다. 그의 SNS는 중앙 정치 이슈로 도배된 지 오래. 도정(道政)으로 가득했던 경기지사 취임 초기의 SNS와 다르다.
경기도와 산하 기관은 정치권 인사들로 채워지고 있다. 비명계로 분류되는 전해철 도정자문위원장과 고영인 경제부지사, 윤준호 정무수석 등이 정무라인에 영입됐다. 산하기관장 자리도 전직 국회의원들이 차지했다. 최근 고(故) 김근태 전 열린우리당 의장의 배우자인 인재근 전 의원이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이사장에 임명됐다. 김민철 전 의원과 김경협 전 의원은 경기도시장상권진흥원장과 이사장으로 취임했고, 여러 전직 의원들이 기관장 내정자로 이름을 올렸다.
경기도의회 국민의힘은 “김 지사가 경기도가 아닌 대선 행보를 위한 인사를 하고 있다”며 “중앙 정치만 바라보느라 경기도를 내팽개치고 있다”고 비난했다. 이어 “대한민국 경제를 걱정하기 전에 경기도 살림살이를 고민하고, 세계 각국의 정부 고위 관계자와 기업 최고 경영자를 만나기보단 도의회와 도내 기업인들의 목소리를 먼저 들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한 도의원은 “김 지사의 인사나 최근 발언 등을 보면 경기지사라는 생각이 들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김 지사 측은 “단 한 번도 도정에 소홀했던 적 없다”고 반박했다. “대한민국의 정치와 경제가 나아지면 경기도의 문제도 함께 해결되기 때문에 대한민국의 위기 극복이 우선돼야 한다는 것”이 경기도 관계자의 설명이다.
‘도정 소홀’ 논란은 역대 경기지사들이 모두 겪었던 일이다. 최다 인구 광역지자체의 단체장인 경기지사는 당선과 함께 곧장 대선 ‘잠룡’이 된다. “도정보다 대선에 더 신경을 쓴다”는 지적은 단골 공격중 하나다. 김 지사도 경기지사직을 대권으로 가는 디딤돌로 여긴 전임자의 전철을 밟는 셈이다.
그렇다고 정치공세로 흘려들어선 안 된다. 혼란스런 정국이 이어지면서 그만큼 단체장의 역할이 중요해졌다. 다른 어느 때보다도 1400만 경기도민을 위한 도정에 최선을 다해야 할 때다.
최모란([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