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각수의 한반도 평화 워치] 한·일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트럼프 2.0 ‘혼돈의 질서’에 대응하자
미 고립주의에 서방 결속 약화 가능성
우선 복합 대전환과 다중 위기의 공동 대처 필요성이다. 동북아는 다양한 불안정한 요소를 안고 있다. 핵 무장 완성 단계에 접어든 북한은 우크라이나 파병으로 러시아의 전략적 지원을 확보하며 더욱 호전적이고 모험주의적으로 변했다. 중국은 공세적 외교 안보 정책으로 기존 지역 질서를 흔들려 한다. 지정학적 단층대인 대만, 남중국해, 동중국해에서 위협 지수가 높아지고 있다. 반면, 세력 균형을 맞춰야 할 미국은 트럼프주의로 동맹 체제를 불안하게 하고 있다. 22일 열린 미·일 외교 장관 회담이나 쿼드(미·일·호주·인도) 외교 장관 회담에서 각각 한·미·일 협력과 북한의 비핵화 문제가 사라진 게 대표적이다. 이런 때일수록 아시아에서 2개 나라뿐인 경제협력개발기구(OECD)회원국이자, 미군이 가장 많이 주둔하고 있는 한·일 양국의 협력이 필요하다. 전후 80년간 한·일이 누린 평화와 번영은 자유주의 국제질서 덕분이다. 무역 입국의 공통점을 가진 한·일은 자유무역 유지를 위해 경제적인 분야에서도 파고를 함께 넘어 시너지 효과를 거둬야 한다.
둘째, 경제 안보 분야에서 상호 이익의 극대화가 필요하다는 측면에서도 양국의 협력 잠재력은 매우 크다. 안타깝게도 한·일 양국은 양국 관계가 악화하는 국면에서 그 손실과 기회비용을 냉정히 생각하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한국 경제의 성장으로 양국 경제의 상호 보완성이 커졌고,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공유한다는 점에서 경제·외교·안보, 지역·글로벌 이슈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긴밀한 협력으로 윈-윈 성과를 거둘 수 있다. 최근 양국 기업들이 수소에너지 생산·수송·유통·이용 등 종합적 협력 관계를 구축하기로 한 것은 좋은 예다. 한국의 제조업·마케팅 능력과 일본의 풍부한 자금력·원천기술을 결합해 인프라·자원개발·플랜트 분야에서 제3국 시장을 개척하는 것도 유망하다.
한·일 협력은 필연적 요구
마지막으로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의 평화 정착과 통일 과정에서도 한·일 협력은 중요하다. 핵무장 국가의 문턱에 다다른 북한은 러시아와의 군사협력과 중국의 지원을 뒷배로 해 핵무장의 기정사실화에 나서고 있다. 북한 핵은 한국과 일본 모두에게 재앙이다. 2기 트럼프 정부가 미봉책으로 대북 제재 해제와 부분 핵 군축을 맞바꾸는 ‘스몰 딜’을 막고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대북 공조 체제를 복원하기 위한 한·일 협력이 긴요하다. 또 대북 억지에 있어서도 한·일이 미국의 확장 억지를 강화하는 데 공동보조를 맞춰야 한다. 1994년 제네바 합의 때 경수로 건설 비용을 분담했던 것처럼 북한의 비핵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는 대북 경제 지원 조치에 일본의 참여도 필수다. 통일 과정에서도 일본은 북한의 변화를 유도하는 데 중요한 파트너다. 또한 통일 후 예상되는 막대한 북한 경제 재건 비용 마련에서 세계 최대 순자산국이자, 아시아개발은행 주도국인 일본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신각수 니어 재단 부이사장·전 주일 대사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