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년만의 실내 취임식…입장권 25만장 뿌렸는데 결국 600명뿐 [트럼프 취임식 D-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백악관 복귀를 이틀 앞둔 18일(현지시간) 워싱턴DC는 48㎞에 달하는 역대 최장 철제 펜스가 세워진 채 미국 전역에서 몰려든 트럼프의 지지자들로 북적였다.
관람석 철거…주변엔 ‘저격’ 취약한 건물
트럼프는 지난 17일 소셜미디어를 통해 취임식 장소를 의회 야외무대가 아닌 의사당 중앙홀 로툰다로 변경했다고 통보했다. 영하 6.1도로 예상되는 날씨를 이유로 들었다. 실내 취임식은 1985년 로널드 레이건 이후 40년만이다. 당시 날씨는 영하 13.8도였다.
트럼프의 돌발적 결정에 트럼프의 퍼레이드 동선에 설치됐던 임시 관람 좌석도 이날 긴급히 철거됐다. 트럼프는 8년 전인 2017년 취임식 때는 내셔널몰 인근에 차량을 세워 멜라니아 여사, 막내 아들 배런과 100m 가량 걸어가며 지지자의 환호에 직접 호응했다. 내셔널몰에서 만난 제임스 노먼은 “장소 변경은 날씨보다는 트럼프가 선거 과정에도 두차례 암살 위기를 넘겼을 정도로 위험해진 보안 상황 때문인 것 같다”며 “인근에 고층 건물이 많아서 저격 등에 취약하다는 점도 감안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 내셔널몰 주변엔 호텔 건물이 밀집해 있다. 건물 외벽에 트럼프의 복귀를 환영하는 문구와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의 별세를 추모하는 조기가 함께 내걸린 장면도 눈에 띄었다.
경기장서 ‘중계 취임식’…反트럼프 집회도 진행
야외에서 진행될 예정이던 취임식 입장권은 약 25만장이 배포됐다. 그러나 변경된 장소인 로툰다는 지름 29.2m, 높이 54.8m로 수용인원은 600명에 불과하다. 이 때문에 입장권은 대부분 무용지물이 됐고, 대다수는 인근 ‘캐피털원 아레나’에서 중계 화면으로 취임식을 보게 됐다.
주한미군에서 근무한 적이 있다는 타라 제너는 “취임식을 직접 보지 못해 아쉽지만, 전국의 모든 사람들이 공평하게 TV로 트럼프의 취임을 지켜볼 수 있으니 좋은 일일 수도 있다”며 트럼프 취임과 겹친 한국의 탄핵 상황 등에 대해 되묻기도 했다. 플로리다에서 취임식을 참석하기 위해 워싱턴을 방문했다는 존·캐시 메오 부부는 “플로리다엔 트럼프와 함께 워싱턴에서 일하게 된 많은 공직자들이 있다”며 “향후 4년간 미국과 세계를 위한 굉장한 일이 시작될 거라고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에 반대하는 5000여명은 이날 인근 링컨 기념관에서 반대 집회를 열었다. 다만 당초 5만여명이 군집할 거란 예상과는 달리 참여 인원은 대폭 줄어들었다.
골프장 ‘불꽃놀이’로 시작된 취임식
트럼프는 이날 오후 가족들과 함께 공군기 편으로 자택인 플로리다를 떠나 워싱턴 인근 버지니아주 덜레스 공항에 도착했다. 2021년 1월 대선 패배에 불복하며 후임자인 조 바이든 대통령의 취임식을 보이콧 하며 백악관을 떠난지 4년만이다.
강태화([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