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북, MDL 10m앞 폭파쇼…경의·동해선 다 끊었다

북한이 15일 경의선·동해선 남북 연결도로 군사분계선(MDL) 북쪽 일부 구간을 폭파했다. 이날 군 CCTV에 잡힌 경의선 도로 폭파 장면. [사진 합참]
북한은 15일 군사분계선(MDL) 10m 앞에서 TNT를 터뜨려 경의선과 동해선 도로를 파괴했다. 군은 MDL 이남까지 영향이 미치는 이 폭파가 정전협정 위반에 해당한다고 판단해 자위권 차원에서 북쪽을 향한 대응 사격을 MDL 이남 지역에 실시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북한군이 오늘 낮 12시쯤 경의·동해선 일대에서 연결도로 차단 목적의 폭파 행위를 자행했다”면서 “우리 군은 MDL 이남 지역에 대응 사격을 실시했다”고 발표했다.

군 관계자들에 따르면 폭발은 경의·동해선 남북 연결 도로의 MDL 북측 10m 지점에서 각각 오전 11시59분, 낮 12시1분 일어났다. TNT 폭약 최소 수십 개(100여㎏ 규모)가 터지면서 콘크리트 파편 등 비산물이 MDL 남쪽까지 넘어왔다고 한다. 경의·동해선 도로의 가로 폭은 20m가량이다.

군은 경의·동해선에서 각각 MDL에서 남쪽으로 100m가량 떨어진 개활지에 K4 중기관총과 K6 고속유탄발사기 수십 발을 사격했다. 비무장지대(DMZ) 최전방 감시초소(GP) 거리에서 북측 방향으로 이뤄졌다. 군 관계자는 “MDL 인근에서 위험한 폭파를 하는 것은 우리 장병들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위협이자 명백한 정전협정 위반”이라고 밝혔다. 군은 사격 이후 유엔군사령부에 관련 사실을 통보했다.

다만 군은 이번 폭발의 위력이 설치 규모나 동원 인력에 비해 크지 않았던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아스팔트 도로 표면을 파괴하는 등 효과가 미미했다는 점에서다. 북한이 경의·동해선 도로 양옆과 한복판에 이미 올해 상반기부터 대인·대전차 지뢰를 매설해 왔다는 점에서 군사적인 실익도 크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북, 200명 투입해 도로 폭파 남북 육로, 판문점만 남았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4일 국방·안전 분야에 관한 협의회를 소집해 평양 무인기 침투 사건 대응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뉴스1]
군에 따르면 북한군은 지난 9일 오후부터 경의선과 동해선 도로 양쪽에 각각 100여 명의 병력을 투입해 삽·곡괭이로 구덩이를 만드는 등 폭발물 설치 작업을 해왔다. 군은 MDL 바로 앞에서 작업하는 북한군을 향해 ‘너희들이 하는 행위는 정전협정을 위반하는 행위로, 이를 중단하라’는 취지의 경고 방송을 수차례 진행했다. 잇따른 경고에도 북한은 15일 폭파를 강행했고, 군은 경고 방송→경고 사격의 절차에 따라 실사격을 했다.

북한은 폭파 지점에 콘크리트 방벽을 쌓는 등 ‘요새화 작업’을 진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북한은 포클레인 두 대와 덤프트럭 4~5대를 투입해 깨진 도로를 정리했다고 한다. 북한군이 땅을 고르는 모습은 9일 오후부터 포착됐으나, 가림막이 등장하는 등 본격적인 설치 작업은 11일부터 급물살을 탔다.

정부 관계자들의 발언을 종합하면 15일 폭파 현장에는 검은색 차량이 등장했다. 이를 두고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등 최고 지도부가 현장 방문을 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됐다. 군 관계자는 이에 대해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놓고 확인 중”이라고 말했다

김여정 “무인기 주범은 한국군 증거 확보”
북한 전방 부대들의 동향은 무인기 사태 이전과 비교해 특별히 달라진 것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 관계자는 “부대가 기동하는 등 그들이 위협하는 만큼 행동이 식별되진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차준홍 기자
남북 관계를 ‘적대적 두 국가관계’로 재정립하기 위한 북한의 움직임은 지난해 말부터 포착됐다. 합참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5월에는 동해선, 7월에는 경의선의 철도 레일과 침목을 제거했다. 8월엔 경의선 열차 보관소까지 해체했다. 이날 폭파를 통해 단절을 물리적으로 완료하면서 이제 남북을 연결하는 육로는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통로만 남게 됐다.

통일부는 이날 입장문에서 북한의 경의·동해선 폭파에 대해 “남북 합의의 명백한 위반이며 매우 비정상적 조치”라며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통일부에 따르면 경의·동해선 철도·도로는 북한 요청에 따라 총 1억3290만 달러(약 1809억원) 규모의 차관 방식으로 건설됐다. 통일부는 “차관에 대한 상환 의무가 여전히 북한에 있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한다”고 했다.

차준홍 기자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은 이날 경의·동해선 폭파 직후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나흘 연속으로 발표한 담화에서 “우리는 한국 군부깡패들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도 상공을 침범하는 적대적 주권 침해 도발 행위의 주범이라는 명백한 증거를 확보했다”고 주장했지만, 증거를 제시하진 않았다.

김정은도 나섰다. 노동신문에 따르면 김정은은 경의·동해선 폭파 전날인 14일 북한판 국가안보회의(NSC)인 ‘국방 및 안전 분야에 관한 협의회’를 소집했다. 노동신문은 김정은이 “적들의 엄중한 공화국 주권 침범 도발사건”과 관련한 보고를 들었으며, “정찰총국장(이창호)의 종합분석 보고와 총참모장(이영길)의 대응 군사행동 계획에 대한 보고”가 이뤄졌다고 보도했다. 김정은은 협의회에서 “당과 공화국 정부의 강경한 정치 군사적 입장”을 표명했다.

이날 협의회에는 총참모부·정찰총국의 보고 외에도 ▶국방상(노광철)의 군사기술장비 현대화 대책 보고 ▶당군수공업 담당 비서(조춘룡)의 무장장비 생산실적 보고 ▶국가보위상(이창대)의 정보작전상황 보고 등도 이어졌다. 이는 군사작전뿐 아니라 대응무기체계, 군수 지원, 국내외 정보까지 포괄적으로 다뤄졌다는 뜻으로 볼 수 있다.

경기도, 파주·김포·연천서 대북전단 단속
경기도는 이날 대북전단 살포를 막기 위해 파주시·김포시·연천군 3개 시·군 내 11곳을 ‘위험구역’으로 설정했다. 경기도는 위험구역으로 설정된 지역에 특별사법경찰단을 투입해 대북전단 살포 행위를 강력히 단속하고 엄중하게 책임을 묻겠다고 예고했다.





정영교.이근평.이유정(chung.yeonggyo@joongang.co.kr)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