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전면전 위기의 중동, 모든 비상 시나리오 철저히 대비해야
이스라엘, 어제 레바논에 제한적 지상군 투입 개시
유가 우려에 수송로 확보, 공급망 다변화 등 대책을
이스라엘은 지난해 10월부터 국경 남부를 맞댄 가자 지구에서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를 상대로 전쟁을 이어가고 있다. 여기에 지난달 29일 예멘 반군인 후티의 근거지를 공습한 데 이어 국경 북부에서 이란의 가장 강력한 대리 세력 중 하나인 헤즈볼라를 상대로도 전선을 넓히는 등 ‘3면 전쟁’으로 전선을 확대했다. 이란을 중심으로 한 소위 ‘저항의 축’ 3개 단체를 상대로 이스라엘이 동시에 전쟁을 벌이고 있는 양상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스라엘과 각을 세우며 반이스라엘 단체를 지원해 왔던 이란이 참전한다면 전쟁은 중동 전체로 번질 수 있다. 말 그대로 현재의 중동 정세는 일촉즉발의 국면이다. 미국은 최근 탱크 킬러로 불리는 A-10 선더볼트 비행대대를 급파하고 중동의 병력을 4만3000명으로 늘리기로 했다. 아라비아해에 파견했던 에이브러햄 링컨 항공모함의 체류 기간도 한 달 연장하며 위기상황 대비에 나섰다.
그런 만큼 정부는 중동 지역의 불확실성에 대비한 보다 적극적인 역할과 치밀한 대비책을 마련해야 할 때다. 중동으로부터의 원유 수입 비중이 70%대인 우리 입장에서 중동전쟁은 먼 나라의 얘기가 절대 아니다. 이 지역에 머물고 있는 교민을 보호하는 일이 무엇보다 우선이다. 또 전쟁으로 인한 비극이 확대하지 않도록 중동 지역의 안정과 휴전을 독려하려는 국제적 노력에도 관심을 갖고 협조하는 등 보다 적극적인 역할에 나서야 한다. 대한민국은 국제 평화 및 안전 유지에 관한 일차적 책임을 지닌 유엔안보리의 비상임이사국이기도 하다.
나아가 경제 분야의 리스크 관리가 절실하다. 중동 지역에서 전쟁이 확대될 경우 원유 가격 인상은 불가피하다. 지난달 반도체 수출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는 등 회복세를 보이는 한국 경제에 빨간불이 켜질 수 있다. 한국은 세계 4위의 원유 수입국이다. 중동산 원유의 안전한 수송로 확보와 함께 유사시에도 원유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공급망 다변화를 미리 검토해야 한다.
격변하는 국제 정세의 틈을 탄 북한의 군사적 도발을 억제하는 대응도 게을리해선 안 된다. 정부가 외교·안보·경제 분야를 아우르는 종합적 비상 대책을 세워 즉각 가동에 나서야 할 시간이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