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영의 마켓 나우] 일본 전문가가 던진 연금문제의 해법
일본 노인들 사이에서 ‘WPP(Work, Private Pension, Public Pension: 일, 사적연금, 공적연금)’가 유행이다. 부족한 공적연금과 퇴직연금·개인연금을 배경으로 자산의 수명을 늘리는 생존 전략이다. 70세 은퇴는 기본이다. 가능하면 75세까지 일하며 연금자산을 전액 운용하고 근로소득만으로 생활한다. 은퇴가 불가피해지면 연금을 정률방식(예를 들어 연 8%)으로 인출하면서 가능한 자산을 보존하고 83세 이후에 정액인출(예를 들어 월 100만원)로 바꿔서 자산을 다 쓴다는 전략이다.
‘고령화 저성장’이라는 거센 파도의 영향이 우리의 상상을 초월할 수도 있다는 불안감이 밀려온다. 연금시스템의 지속성을 위해서는 연금 관련 제도개혁만으로 부족하다. 지속가능한 경제성장을 위한 경제적·사회적 구조개혁이 병행돼야 한다.
한·일 양국 퇴직연금의 근본적인 문제점 중 하나는 무관심이다. 가입자에게 메일도 보내고 휴대폰 앱 이용을 권하지만, 무관심을 극복할 효과적인 교육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다. 하타 이사는 성인에게 교육 효과를 기대하기 힘들다면서 정규 교육과정에 연금 관련 내용을 넣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 77세 나이에도 열정적으로 강의한 하타 이사는 한국을 떠나며 마지막 말을 남겼다. “일본과 같은 전철을 밟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민주영 신영증권 연금사업부 이사·경영학 박사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