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을 위한 국민의 기업] 우리 단감 더 맛있게! 신품종 개발부터 수출까지 돕는다
국가지정 대표 연구기관 경상남도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고품질 조생종 ‘올누리’ 개발·육성
수출 신선도 높이는 유지제 개발
드론 활용 등 첨단 농업기술 도입도
한국 단감은 1910년 도입돼 본격적인 재배 역사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지만, 재배면적 9477㏊, 생산량 10만3000톤에 이르는 국내 6대 주요 과일 중 하나다. 주 생산지는 경남으로, 단감 재배에 적합한 온난한 기후와 비옥한 토질 등 조건을 갖춰 전국 생산량의 72%를 차지하고 있다. 2000년대에는 경남을 중심으로 전국 재배면적이 2만3000㏊에 달했으나 농촌 지역 인구 고령화와 소비 감소 등의 이유로 2020년에는 8400ha까지 약 64% 감소했다. 그러나 최근 ‘태추’ 등의 품종이 보급되면서 지난해 재배면적은 9500ha를 기록, 다시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단감은 보통 추석부터 수요가 급증한다. 하지만 주 재배품종인 ‘부유’는 주로 10월 말부터 11월에 수확하기 때문에 이 같은 수요에 대응하기 어렵고, 홍수 출하와 수확기 노동력 부족 문제가 크다. 또한 2004년 자유무역협정(FTA) 이후 과일 수입이 증가하면서 국내 1인당 연간 단감 소비량은 2010년 3.5㎏에서 2022년 1.9㎏으로 급감했다. 게다가 단감 재배지는 87.2%가 경사지에 위치해 기계화 등 생력재배에 한계가 있어 신규 농업인 유입이 적다 보니 타 작목보다 농가 고령화가 심각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단감 산업의 활성화와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루기 위해 경상남도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에서는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곳에서 개발한 대표 품종으로는 추석 등 소비가 증가하는 시기에 출하할 수 있는 조생종 단감 ‘올누리’가 있다. 올누리는 만생종인 부유보다 출하 시기가 50일가량 빨라 9월 말부터 수확할 수 있고, 당도와 크기 면에서 품질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경상남도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는 단감 수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기술 개발에도 힘쓰고 있다. 단감은 상온에서 3일이면 상품성이 크게 하락하기 때문에 저장·유통 시 신선도를 유지하는 기술이 중요하다. 특히 대부분의 단감은 필리핀·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 지역과 북미 지역을 대상으로 주로 해상을 통해 운반되기 때문에 그 기간 단감의 품질을 유지하는 게 관건이다. 이에 경상남도농업기술원 단감연구소는 농산물 신선도 유지제인 ‘1-MCP(1-메틸시클로프로펜)’를 단감에 적용하는 방법을 개발해 유통 기간을 3배가량 늘렸다. 또한 단감연구소가 개발한 물질인 ‘1-DCP(1-디메틸프로필-시클로프로펜)’는 액체 형태로 수확하기 전 나무에 직접 분무할 수 있어 가스 형태인 1-MCP에 비해 농가 사용 편의성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권재한 농촌진흥청장은 “단감 산업이 직면한 문제는 지역특화작목연구소 중심의 긴밀한 민간 협력을 통해 풀 수 있을 것”이라며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한 단감 산업이 지역경제의 거점이 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준혁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