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 된장녀야?" 韓 뒤집어놨던 스벅, 25년 만에 놀라운 반전
“된장녀 드나들던 별다방? 기프티콘 들고 공부하러 가는 곳”국내 원두커피 문화 정착…지금은 MZ들 공부방
물가 부담에 저가형 커피 늘고 고급 이미지 줄어
스타벅스코리아의 역사는 1999년 여름 신촌에서 시작한다. 당시 이화여대 앞 1호점이 시초였다. 이후 사반세기 동안 한국의 대표 커피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 스타벅스코리아에서 근무하고 있는 정운경(47) 남부권역 매장관리팀장은 스타벅스와 25년 세월을 함께한 지킴이다. 정 팀장은 스타벅스의 한국 상륙 현장이 생생히 기억난다고 했다.
“영어로 된 용어에 익숙하지 않은 손님과 직원이 ‘그란데’ 사이즈를 ‘그랜드’로, ‘카라멜 마키아또’를 ‘카메라 마키아또’라고 불렀다.” 정 팀장이 1호점인 이대점에서 직원으로 근무하면서 실제 있었던 일이다. 거대 글로벌 커피 브랜드의 맛을 경험한 대중의 반응은 뜨거웠다고 한다. 정 팀장은 “생소한 메뉴와 시스템에 호기심을 느껴 방문하는 손님, 해외에서 이미 스타벅스를 경험해보고 반가워하며 방문하는 손님 등으로 매장이 가득 찼다”고 회상했다. 당시 이화여대에 재학 중이었던 정모(45) 씨도 “커피에 관심 없는 사람들도 한번씩 앞에서 기웃거리고 가곤 했다. 유명 맛집을 찾아가듯 동기들과 약속을 잡고 학교 앞 스타벅스에 들렀다”고 말했다.
25년 전에는 고급 원두 커피의 상징
대중에게 신선하게 다가온 것은 가격뿐만이 아니었다. ‘커피’의 개념이 곧 ‘인스턴트 커피’였던 시대에 ‘원두커피’는 생소했다. 정씨는 “달달하지 않은 커피는 익숙하지 않았다. 아메리카노를 처음 먹어본 친구가 ‘이런 걸 돈 주고 먹냐’고 했던 말이 지금도 기억난다”고 했다. 스타벅스는 이처럼 커피에 대한 대중의 인식도 바꿔놓았다. 지금은 ‘커피’를 말하면 보통 ‘원두커피’를 떠올린다. 스타벅스가 만들어낸 커피문화를 주제로 [스타벅스화]를 펴낸 유승호 강원대 영상문화학과 교수는 “믹스커피뿐이었던 한국의 커피 시장에, 원두를 갈아 에스프레소로 먹는 문화를 정착시킨 것이 바로 스타벅스”라고 설명했다. 정씨는 “인스턴트 커피에 익숙하던 예전에는 스타벅스에서 카라멜 마키아또를 자주 먹었는데, 이제는 아메리카노나 라떼를 먹는다. 언젠가부터 달달한 커피는 입맛에 맞지 않게 됐다”고 말했다.
“커피를 판매하기보다 ‘공간을 판다’”
그러나 이를 달리 말하면 ‘고급 이미지의 쇠락’이라고 할 수 있다. 이씨에게 스타벅스에 자주 가는 이유를 묻자 “만만해서”라고 답했다. 스타벅스가 어느 순간 경제적으로 부담이 적은 카페가 됐다는 의미다. 그는 “예쁘고 맛있는 개인 카페가 많아지면서 스타벅스에 예전 같은 ‘고급 커피전문점’의 이미지는 느껴지지 않는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맛·서비스·분위기 등이 보통 이상일 것이라는 신뢰 때문에 스타벅스를 방문한다”고 했다.
고급 이미지의 쇠락은 ‘스타벅스 카공족(카페에서 공부하는 族)’이라는 단어에서도 나타난다. 요즘 MZ세대에게 스타벅스에서 4000원대 커피 한 잔은 몇 시간짜리 스터디 공간을 빌린 것과 같은 의미다. 카공족의 성지가 된 이유는 스타벅스 매장이 넓고, 충전기를 꽂을 수 있는 콘센트가 많기 때문이다. 스타벅스 마포구청역점에서 만난 대원외고 학생 유모(17) 군은 “다니는 학원이 대치동·합정동 등 여러 곳에 있는데, 학원 가기 전에 늘 주변 스타벅스에서 숙제를 하고 간다”고 말했다. 대학생 이모(25) 씨도 특별한 일이 없으면 스타벅스를 자주 찾는다고 했다. 그는 “스타벅스에서 학과 학회원들과 스터디를 하기도 한다”며 “직원 눈치 보지 않고 시간 제한 없이 머물 수 있다”는 점을 스타벅스 카공의 장점으로 꼽았다. 이에 대해 스타벅스코리아 관계자는 “스타벅스는 커피를 판매하기보다 문화를 공유하고 ‘공간을 판다’고 말하고 싶다. 모든 고객이 나만의 공간으로 느끼도록 편안한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스타벅스의 중요한 가치”라며 “학생이 많은 지역에는 독서실 책상을 두는 등 차별화된 인테리어를 매장마다 도입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물가 시대 되니 애매한 가격대
전문가들은 ‘다소 애매한 가격’이 스타벅스의 콤플렉스가 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허태윤 한신대 IT 영상콘텐트학과 교수는 “물가가 많이 오른 상황 속에서 저가형 커피를 찾는 소비자들에게 스타벅스는 더 이상 특별한 브랜드로 여겨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현재 메가커피는 전국에 3000개의 지점을 냈다. 국내 1호점을 지난 2015년에 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빠른 성장세다. 스타벅스는 그 절반인 1900여 점이다.
물론 스타벅스는 국내 커피 업계 1위 자리를 지키고 있다. 그러나 저가형 커피의 상승세가 가팔라 안심할 수는 없다. 최근 스타벅스의 그란데·벤티 사이즈의 음료 가격 인상을 이해하기 어렵다는 목소리도 있었다. 안암동에서 만난 김씨는 “앞으론 메가커피로 갈 것 같다”며 “같은 사이즈 아메리카노 기준 가격이 무려 3배”라고 토로했다. 중국에서도 한화 약 1800원 수준의 저가형 커피 브랜드 루이싱 커피가 스타벅스의 매출액을 뛰어넘은 바 있다. 허 교수는 “스타벅스는 현재 도전에 직면해 있다. 소비자가 다른 브랜드를 알고도 스타벅스를 찾아갈 이유를 더 만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리저브 매장으로 고급 이미지 되살려
또 다른 리저브 매장인 스타벅스 별다방점을 방문했다. 이 매장은 스타벅스코리아 본사가 입주한 건물 1층에 있다. 바 테이블에 자리가 없을 정도로 성황이었다. 어머니와 함께 바 테이블에 앉아 있던 김모(32) 씨는 “어머니가 맛있는 커피를 좋아해서 이곳으로 왔다. 비싸긴 하지만 여타 카페들보다 리저브의 커피와 음식이 훨씬 맛있다”고 말했다. 리저브 전용 아메리카노는 톨사이즈 기준 6000원이다. 일부 메뉴는 1만원이 넘는다.
이에 더해 스타벅스는 손쉬운 ‘선물용 브랜드’ 이미지도 구축했다. 카카오톡으로 보낼 수 있는 부담 없는 선물로 자리잡은 것이다. 대학생 김모(25) 씨에게 ‘스타벅스’ 하면 무엇이 떠오르냐고 묻자 “설문조사를 하거나 생일이 되면 받는 기프티콘”이라며 “기프티콘이 없으면 저가형 커피를 마시면 되기 때문에 굳이 스타벅스를 먹을 이유는 없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허 교수는 “스타벅스를 선물로서 주고 받는 일이 많다는 것 자체가 대중이 스타벅스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선물 받는 일이 너무 많다 보니 제값을 지불하는 것이 손해라고 느끼게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기자가 매장에서 대화를 나눠본 손님들 가운데 기프티콘 없이 제값을 주고 결제한 사람은 절반도 채 안 됐다. 대원외고 학생 유군은 “생일이면 스타벅스 기프티콘이 쌓이기 때문에 늘 무료로 먹는 기분이 든다”며 “기프티콘을 다 쓰면 스타벅스를 덜 찾게 되고, 찾게 되더라도 돈이 아까운 기분”이라고 말했다.
- 글·사진 송선교 월간중앙 인턴기자 ddoong0404@naver.com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