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 ‘첫 살생부’ 나왔다…“전체 216조원 중 10%가 정리 대상”
금융당국이 강화된 기준으로 실시한 첫 번째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내용을 공개했다. 해당 평가에서 기준 이하를 받은 사업장은 구조조정을 하거나 경·공매에 부쳐지기 때문에 PF 정리를 위한 ‘살생부’가 나왔다는 평가다.
강화된 기준으로 한 PF 첫 평가 결과 공개
부실 부동산 PF 문제는 지난 2022년 ‘레고랜드 사태’로 본격적으로 불거졌다. 금융당국이 대주단 협약 등으로 자금난에 빠진 사업장에 만기 연장 및 이자 상환 유예 같은 대책을 내놨다. 하지만 회생이 어려운 사업장에 금융사 자금만 추가로 투입되면서, 빚으로 빚을 막는 악순환이 반복됐다. 연체율도 계속 쌓이면서 금융권으로 위기가 전이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금융당국이 본격 칼을 뺀 것은 지난 5월이다. 기존 3단계(양호·보통·악화우려)로 나눴던 사업장 평가 기준을 4단계(양호·보통·유의·부실우려)로 세분화하고, ‘유의(C등급)’ 등급 이하를 받았을 경우 구조조정을 하도록 사후조치 강화했다. 특히 최저 등급인 ‘부실우려(D등급)’를 받으면 경·공매를 추진하게 금융사 충당금 비율을 75%로 높였다.
전체 9.7%가 정리 대상, “토담대 부실에 경·공매 예상치 2배”
특히 이 중 경·공매에 부쳐지는 부실우려 등급은 전체의 약 6.3%였다. 이는 원래 평가 전 금융당국이 예상한 2~3%보다 약 2배로 늘었다. 박상원 금감원 부원장보는 “연체율이 특히 토지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급속히 상승했다. 신규 부실이 새로 들어왔다기보다는 기존에 연체에 걸렸던 부분들이 좀 더 악화한 영향”이라고 했다.
이번 사업성 평가는 연체나 연체유예 및 만기연장을 3회 이상 한 부실 사업장(33조7000억원)만을 대상으로 했다. 이 때문에 다음 달 말부터 시작 예정인 남은 사업장(182조8000억원)에 대한 추가 평가가 끝나면 정리해야 할 사업장은 더 늘어날 수 있다. 이에 대해 금감원은 “대부분 부실 사업장이 6월 말에 이미 평가돼, 추가될 부실 사업장은 자체 시뮬레이션 결과 2조3000억원 수준으로 많지 않다”고 했다.
매달 경·공매 이행 사항 점검
박 부원장보는 “다음 달 중순부턴 활발하게 경·공매 물량 나올 것으로 예상하는데 출회 시기에 대해선 만기 도래 따라서 순차적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한 번에 몰리지 않고 분산돼 있다”고 했다.
“정리 밀어붙인다” 업계 불만…“위기 전이 없어” 반박
다만 이런 업계 반발에 대해 금융당국은 “유의·부실우려 등급 받은 부동산 PF 대부분이 브릿지론·토담대이고 공사 진행 중인 본 PF(4조1000억원) 규모는 크지 않아 건설사 영향은 제한적”이라며 “유의·부실우려 등급 받은 사업장을 보유한 시행사의 대부분(93.1%)도 1개 사업장만 보유해 다른 사업장으로 위기가 전이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금융사 부실채권 비율 늘어…“구조조정 하면 개선”
다만 금융당국은 “증자 등으로 자본비율은 오히려 전 분기말보다 상승하고, 최저 자본 규제 비율을 충족하지 못한 금융사가 없는 만큼 영향은 크지 않다”면서 “구조조정이 하반기에 본격 진행되면 부실채권 비율은 개선될 것”이라고 했다.
김남준(kim.namjun@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