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죄에 오픈된 '오픈소스 AI'…딥페이크 막기 힘든 까닭 [팩플]
학생들도 손쉽게 이미지를 만들 수 있게 도와주는 인공지능(AI) 도구 확산의 부작용이 커지고 있다. 불법 딥페이크(AI 등 기술을 이용해 만든 실제 같은 이미지나 영상) 음란물로 인한 피해가 커지면서다.
무슨 일이야
대통령까지 딥페이크 근절을 강조한 것은 친구‧지인 여성의 얼굴에 음란물을 합성하는 딥페이크 사태가 일파만파 커지고 있어서다. 특히 해당 음란물이 해외 메신저 앱 텔레그램을 통해 모인 이용자들간 공유되는 일이 잦아지면서 피해를 키우고 있다. 불법 합성물로 협박하는 추가 범죄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딥페이크, 왜 범람하나
① 쉬워진 생산: 생성 AI 프롬프트(지시) 입력 창에 간단한 문장을 입력하는 것만으로도 음란물 이미지‧영상의 생성과 합성이 가능해졌다. 특히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오픈소스(개방형) AI 모델이 크게 늘면서 이를 활용한 딥페이크 앱 개발도 용이해졌다. 오픈소스 AI는 소스코드, 데이터셋 등을 공개해 누구나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AI다. 이를 통해 개발자들은 AI를 자유롭게 수정하고 개선할 수 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 등 앱마켓에서 딥페이크 앱이 늘어난 이유다.
② 편해진 유통: 텔레그램은 보안성, 프라이버시를 이유로 수사협조에 거의 응하지 않아 딥페이크 음란물 범죄의 온상으로 지목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2019년 텔레그램을 악용한 온라인 성범죄 사건인 ‘N번방 사건’이 사회적으로 큰 논란이 된 바 있다.
막을 방법은
물론 만들어진 딥페이크 이미지가 실제인지, 딥페이크로 만들어진 건지에 대해선 기술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만드는 것 자체를 막는 건 어렵다는 의미다. 김도국 인하대 인공지능공학과 교수는 “생성 AI로 만들어진 이미지에 워터마크를 부착하는 기술은 존재해, 이 기술이 제작자 추적 등 사이버 수사에 도움이 되는 면은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기업뿐만 아니라 많은 개발자들이 오픈소스로 AI를 공개함에 따라 일반인들이 AI 생성물을 만드는것 까지 막기는 어렵다”며 “빅테크와 달리 개인 개발자들을 규제하기도 쉽지 않다”고 말했다.
현실적 대안은
대통령실 사이버특별보좌관인 임종인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석좌교수는 “딥페이크 만드는 것 자체를 억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다크웹(특정 방식으로만 접속할 수 있는 웹) 등에서 딥페이크를 만드는 AI가 공공연히 거래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결국 글로벌 플랫폼과의 협력, 국제공조를 통해 빨리 발견하고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김남영(kim.namyoung3@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