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수펑크·부동산 영끌 급증…'국가+가계 빚' 첫 3000조 돌파
25일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국가채무(지방정부 채무 제외)와 가계 빚(가계신용)은 총 3042조1000억원으로 기록됐다. 나라·가계빚 합계가 3000조원 넘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직전 분기(2997조9000억원) 대비 43조2000억원 늘어났는데, 이는 코로나 팬데믹이 있었던 2021년 3분기(63조4000억원) 이후 최대 증가폭이다. 지난해 명목 GDP(2401조원)의 127% 수준이기도 하다.
국가채무·가계신용 모두 역대 최대
다만 ‘큰 정부’를 표방했던 문재인 정부와 비교해 채무가 불어나는 속도는 둔화되고 있다. 문재인 정부 첫해인 2017년 660조2000억원이었던 국가채무는 2021년 970조7000억원으로 늘어나면서 연평균 10.1% 증가했다. 특히 2020년 한 해엔 전년 대비 17.1%나 급증했다. 이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인 2022~2023년 증가율(6.3%)보다 높은 수준이다.
올 2분기 기준 가계 신용은 전분기 대비 13조8000억원 늘어난 1896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역시 역대 최대치다. 최근 부동산 거래 확대로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구 빚이 늘어난 영향이다. 여기에 고금리 장기화까지 맞물리며 내수 회복 속도는 더뎌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분기 소매판매액지수는 전년 동기 대비 2.9% 줄었는데, 이는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1분기(-4.5%) 이후 15년 만에 가장 큰 감소폭이다. 내수 부진이 장기화되면서 한국은행과 한국개발연구원(KDI) 모두 올해 경제성장률을 0.1%포인트씩 하향조정했다.
이자비용만 20조원대…野는 “돈 풀자”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부 교수는 “저출생 고령화가 이어지는 인구 구조상 정부 지출과 국가채무가 늘어나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뚜렷한 세수 확충 노력도 없다는 것이 문제”라며 “재정이 제 역할을 못했을 때 경제성장 악화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의무지출비용 구조조정”…‘내수 회복이 먼저’ 목소리도
복지 지출 등에 쓰이는 의무지출비율을 구조조정하는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국조세재정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국세 수입 대비 의무지출 비중은 94.8%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인구가 감소하고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국가 재정 상태는 갈수록 악화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며 “복지 지출을 효율화하고 줄어드는 학령인구에 맞춰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을 깎는 등 의무지출비율에 대한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다만 단기적으론 내수 침체가 장기화한 상황인 만큼 재정 정책 우선순위를 ‘경제 활성화’에 둬야 한다는 제언도 나온다. 김정식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는 “아직은 국가채무비율이 60%를 넘지 않은 만큼 위험한 수준이라고 보진 않는다”라며 “장기적인 재정 관리는 필요하지만, 당장은 내수를 회복시켜 경제 성장률을 끌어올리고 가계 대출을 줄이는 등의 역할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나상현(na.sanghyeon@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