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A 네트워크 '세계 1위' 도약 추진…통상정책 로드맵 발표
이번 로드맵이 나온 건 오랜 기간 이어져 온 다자 통상체계가 최근 약화하고 있어서다. 미국 등 선진국이 경제안보를 명목으로 자국 우선주의를 강화하면서 국제통상질서 패러다임이 크게 변화하고 있다는 판단도 작용했다. 정부는 그간 선진국 중심으로 두텁게 쌓아온 협력망을 신흥국까지 확대해 글로벌 통상 중추 국가로 부상하겠다는 구상이다.
韓 FTA 네트워크, 전 세계 GDP 85%…1위 싱가포르는 87%
공급망의 핵심축으로 떠오르고 있는 ‘글로벌 사우스’ 국가들과의 협력 강화에도 나선다. 역대 최초로 개최한 한·아프리카 정상회의 및 한·중앙아 K-실크로드 협력 구상 등의 다자 플랫폼을 활용해 경제·산업 협력을 강화한다.
美·日·EU·中 등 주요국과 협력 강화
이 외에 2019년 중단된 한·일·중 FTA 협상을 되살리고 포괄적·점진적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CPTPP) 가입과 관련해서는 사회적 공감대 형성에 주력하기로 했다. 또 외국인 투자 유치와 공급망 핵심업종의 국내복귀 활성화를 추진하고 국가핵심기술 유출을 막기 위한 산업기술보호법 정비에도 나서겠다고 밝혔다.
“산업정책 포함 긍정적” vs “좀 더 공격적인 대책 나와야”
아쉽다는 목소리도 있다. 대부분의 정책이 이전에 이미 발표가 된 ‘재탕’ 정책인 데다 예전부터 추진해온 정책에서 구체적인 성과가 나오지 않고 있어서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예컨대 일본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는 일본 파운드리 기업 '라피더스'는 미국 IBM에 직원 100명을 보내 첨단 2나노 기술개발에 뛰어들었고, 독일은 드레스덴에 세계 최대 반도체 파운드리 기업인 대만 TSMC의 반도체 생산공장을 짓고 있다”며 “정부가 세계 각국·기업과 협력을 강조하는데 비해 아직 결과물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우림(yi.woolim@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