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할 돈도 없다…고금리·고물가에 소비 못 따라간 소득
고금리ㆍ고물가 국면이 장기화하자 가계 저축 여력이 약 10년 만에 낮은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물가가 오른 만큼 가계 소비지출은 커지는데, 가계가 벌어들이는 돈은 이를 따라잡지 못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빚을 낸 가계의 이자 부담이 커지자 저축 여력이 줄어든 영향도 있다.
21일 통계청ㆍ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순저축률은 4.0%로 전년(6.3%)보다 2.3%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3년(3.7%)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가계순저축률은 가계의 저축 성향을 나타내는 지표다. 세금 등을 제하고 개인이 처분할 수 있는 소득 가운데, 소비ㆍ지출에 쓰고 남은 돈의 비중을 계산한다. 쉽게 말해 이 수치가 감소했다는 건 가계가 쌓아둔 여윳돈이 줄어들었단 의미다.
가계순저축률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이 한창이던 2020ㆍ2021년엔 각각 11.4%ㆍ9.1%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이 시기엔 소비가 크게 위축된 영향이 컸다. 정부의 현금성 지원금이 가계 소득에 더해진 반면, 여행·숙박 등과 같은 대면서비스 소비는 줄어들면서 저축이 크게 늘어난 것이다.
그러나 2022년부터 양상이 달라졌다. 우선 물가는 오르는데 소득이 이를 따라잡지 못하면서, 가계의 저축 여력이 급격하게 떨어진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지난해 소비자물가는 전년 대비 3.6%로 가파르게 올랐지만, 근로자들의 1인당 월평균 명목임금은 2.5% 오르는 데 그쳐 실질임금은 뒷걸음질 쳤다.
이자 비용이 늘어난 것도 가계의 저축 여력을 끌어내렸다. 지난해 1인 이상 가구의 월평균 이자 비용은 전년 대비 31.7% 급증했다.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가계부채가 늘어난 가운데, 고금리 장기화 상황이 맞물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가계가 짊어진 빚의 규모를 의미하는 가계신용 잔액은 지난해 12월 말 기준 1886조4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18조8000억원 증가했다. 올 2분기(4~6월) 말 잔액은 1896조2000억원으로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운 상태다.
이는 자금 여력을 늘린 기업과 대비된다. ‘기업 총저축률’은 지난해 기준 23.4%로, 전년(22%)보다 1.4%포인트 올랐다. 관련 통계를 집계한 2000년 이후 가장 높다. 글로벌 경기침체에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위기대응에 나선 측면도 있지만, 고물가ㆍ고금리에 가계가 입은 타격이 특히 컸다는 해석도 가능하다.
다만 올해는 가계소득 증가 폭이 조금씩 커져 가계순저축률이 상승 전환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물가상승률 둔화세가 이어지고 경기가 회복세를 유지하면서다. 한국은행은 올해 경제가 2.5% 성장하면서 지난해(1.4%) 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보고 있다. 내수 부진이 장기화하고 있는 점이 걸림돌이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연구실장은 “올해 성장률이 개선되는 건 반도체 수출 영향이 커 내수 회복세로 파급되는 데에는 시차가 더 있을 수밖에 없다”며 “회복에는 좀 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내다봤다.
물론 가계순저축률의 적정 수준이 정해져 있는 건 아니다. 가계가 저축한 돈이 기업의 투자 재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보면, 가계순저축률이 높다는 건 긍정적 신호다. 하지만 코로나19 대유행 시기처럼 경기 부진으로 소비가 줄어들면서 가계순저축률이 높아질 수도 있다. 하준경 교수는 “최근의 가계순저축률 감소 추세는 소비와 소득이 모두 지지부진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라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며 “소비와 소득이 선순환 구조로 이어지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오효정(oh.hyojeong@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