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전기차·태양광모듈…중국産만으로도 차고 넘친다
중국발 공급 과잉 여파가 세계 경제를 압박하고 있다. 배터리의 경우 중국에서 생산되는 물량이 전 세계 수요를 넘어서는 수준으로 쏟아지고 있다. 중국이 배터리를 비롯해 철강, 전기차, 태양광 제품을 중국 밖으로 밀어내자 주요 국가들도 반덤핑 관세를 물리며 대응 중이다.이정아 한국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중국이 만드는 배터리만으로 글로벌 수요를 맞추고도 중형 전기차 156만대 분량의 배터리가 남는 상황”이라며 “중국 내에서 소화할 수 있는 수요가 공급의 절반도 되지 못하는 상황이라 세계 시장에 타격이 이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전기차도 비슷한 상황이다. 지난해 중국은 전기차 954만대를 생산했지만 판매량은 841만대에 그쳤다. 유럽‧미국이 중국산 전기차 규제에 나서자 남미와 동남아시아 시장을 집중적으로 공략했고 지난해 동남아 전기차 시장 내 중국 점유율은 75%까지 치솟았다. 하지만 지난해 12월 한달에만 중국에서 생산된 전기차는 117만대에 달하는 등 여전히 수요보다 과잉 생산되고 있다.
태양광 모듈도 마찬가지다. 중국은 지난해 499기가와트(GW)를 생산하고 그중 208GW를 수출했다. 중국의 철강 생산량도 전 세계 생산량(2022년 기준)의 54%를 차지할 만큼 늘었지만, 세계 수요는 감소하는 추세다.
주요 국가들은 중국이 밀어내는 물량이 자국 경제산업에 영향을 미치자 다양한 방식으로 규제 중이다. 미국은 중국산에 대한 반덤핑‧상계관세‧세이프가드 등 무역 구제 조치는 물론 대통령 권한으로 수입 규제까지 나섰다. 유럽연합(EU)는 중국의 특정 기업들에 대한 반덤핑 조치를 주로 활용하고 있다.
멕시코는 철강 제품을 중심으로 중국에 반덤핑 관세를 35%까지 부과하고 있고 인도도 중국산 알루미늄 합금 로드 휠에 대한 반덤핑 관세를 7.4배까지 인상했다. 무협은 “2002년 미국의 철강 세이프가드로 한국의 대미 철강 수출이 20% 감소할 정도로 우려가 있었다”며 “세계적인 무역 장벽이 확산하면 한국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대비가 필요하다”라고 조언했다.
최현주(chj80@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