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드럽게 '속삭이는 목소리'의 배신…당신 '성대' 망치고 있다, 왜
재발 잦은 목소리 질환
박모(여·38)씨는 몇달 전 갑자기 목에 가래가 낀 것처럼 답답하더니 목소리가 조금씩 갈라지기 시작했다. 콧물·발열 증상은 없었지만 감기인가 싶어 약을 먹었다. 그렇게 한 달이 지나고 오랜만에 친지들을 만났는데 목소리가 이상하다며 병원에 가보라고 조언했다. 시간을 내 동네 이비인후과에서 검사한 결과 성대 폴립 진단을 받았다. 약을 먹고 발성 교정을 해봤지만 차도가 없어 결국 폴립을 떼어내는 수술을 받았다. 그는 “평범한 워킹맘인데 성대 폴립이 생겼다는 얘기를 듣고 놀랐다”며 “요샌 재발이 안 되게 하려고 목 관리에 신경을 많이 쓴다”고 말했다.
작년 성대 폴립·결절 환자 11만명 넘어
음성 질환은 가수·교사·성우처럼 목을 많이 쓰는 특정 직업군의 직업병으로만 인식했다. 이제는 취미생활이 다양해지면서 일반 회사원이나 주부, 자영업자 혹은 육아를 전담하는 부모, 활동적인 어린이 등 일상에서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질환이란 경각심이 필요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성대 폴립·결절로 병원 진료를 받은 인원은 11만 명이 넘는다.
성대 결절은 성대의 반복적인 마찰로 성대가 맞닿는 부분에 굳은살이 생긴 질환이다. 호흡이 뒷받침되지 않는 상태에서 성대를 혹사하는 무리한 발성이 원인이다. 마찬가지로 쉰 목소리와 목소리 변화, 목의 불편감과 통증을 느끼고 고음에서 분열되거나 부드럽지 못한 소리가 나는 증상을 호소한다. 성대 폴립은 주로 성대 한쪽에 먼저 발생하고 성대 결절은 양측 동시에 생기는 것이 일반적이다. 강동경희대병원 이비인후과 김수일 교수는 “성대 폴립은 목을 자주 사용하지 않더라도 소리를 크게 지르거나 지속적인 기침 후에 성대가 자극을 받아 발생할 수 있다”며 “성대 결절은 지속해서 목을 사용하면 발생하기 쉬운 질환이다. 여러 직업에서 목소리 사용 빈도가 높기 때문에 환자 수가 더 많은 경향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초기에 검사와 치료를 받아야 단기간에 증상 호전을 기대할 수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방치하지 말아야 한다. 치료는 가능한 한 말을 줄이는 성대 휴식이 기본이다. 이때 약물치료와 식습관 개선을 병행한다. 술·담배를 끊고 기름기가 많거나 카페인이 함유된 음식을 피하며 자기 전 식사를 자제하는 식이다. 음성 질환은 잘못된 발성법이 원인인 경우가 많다. 잘못된 발성을 올바른 방법에 따라 교정하고 성대 접촉을 유도하면서 호흡 조절 능력을 강화해 호전을 기대한다. 오래된 성대 폴립과 결절은 수술을 고려한다. 김 교수는 “소아는 지속해서 성대가 성장하고 있으므로 성대 점막에 수술을 시행해 손상을 가하는 것을 최소화해야 하고 음성 치료와 음성 휴식을 통해 대부분 호전되는 경향을 보인다”며 “음성 치료로 호전될 수 없는 병변에 한해 후두 미세 수술을 시행한다”고 설명했다.
후두 미세 수술은 마취 후 입안으로 후두경을 넣어 성대를 관찰할 수 있게 한 뒤 현미경으로 확대해 보면서 병변을 제거한다. 수술 후엔 가능하면 일주일 정도 음성 사용을 자제하고 술이나 담배, 커피를 금해 수술 부위가 깨끗하게 치유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후에도 한달가량 휴식과 안정을 취하고 발성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음주 상태서 큰 소리 내면 더 많은 손상
시끄러운 곳에선 대화하지 않고 멀리 있는 사람을 큰 소리로 부르기보다 가까이 가서 부르거나 옆 사람에게 불러달라고 부탁한다. 전화 통화를 오래 하거나 노래·콧노래를 부르는 것도 삼간다. 흔히 속삭이는 것이 목소리를 부드럽게 내는 방법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오해다. 성대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좋지 않은 말하기 방법에 해당한다. 습관적으로 목청을 가다듬는다거나 헛기침하는 행동, 무거운 물건을 밀거나 드는 행동 역시 성대의 과도한 충돌을 유발하므로 피한다.
후두를 건조하지 않고 부드럽게 해주는 것도 중요하다. 카페인, 항히스타민제처럼 후두를 건조하게 할 수 있는 약제나 음료는 피한다. 물을 충분히 마시되 유제품은 가래를 생기게 해 헛기침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따뜻한 물에 축인 수건으로 입 주변을 감싸고 숨을 깊이 들이마셔 가능한 많은 수증기를 들이마시는 습포법도 실천하면 도움된다.
김선영(kim.sunyeong@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