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루·샤'도 백화점 1층서 방 뺀다…그 자리 차지한 '스몰 럭셔리'
불황이 바꾼 백화점, 스몰 럭셔리가 뜬다
경기 불황에 스몰 럭셔리가 주요 소비 트렌드로 떠오르면서 지금껏 명품 매출 위주로 먹고살던 백화점도 20여 년 만에 변신 중이다. 한국이 선진국 수준의 경제 궤도에 처음 진입한 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부터 백화점은 주요 지점별로 1층에 명품 브랜드를 대거 배치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서는 1층에 명품 대신 스몰 럭셔리(Small Luxury·화장품·식료품 등으로 하는 작은 사치) 브랜드를 전진 배치, 소비자를 끌어모으면서 당초 생각보다 길어진 불경기를 기회로 바꾸고 있다.
스몰 럭셔리, 적은 금액으로 누리는 사치
업계 관계자는 “명품 매출은 기대에 못 미쳤지만 영패션과 스몰 럭셔리 등의 매출 호조에 힘입었다”고 설명했다. 실제 이 기간 3사 주요 지점의 화장품 등 스몰 럭셔리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0~30%대 고성장을 기록했다. 잡화 가운데 대표적인 스몰 럭셔리 품목으로 꼽히는 선글라스의 경우 상반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최소 27%(신세계)에서 최대 40%(롯데)나 증가했다. 패션 선글라스 외에도 러닝과 골프 등 MZ세대가 야외 활동에서 착용할 수 있는 오클리 등의 스포츠 고글 수요가 급증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다.
신세계 강남점은 과거였다면 1층을 차지 했을 글로벌 3대 명품 브랜드(에르메스·루이비통·샤넬), 이른바 ‘에루샤’와 4대 주얼리 브랜드(까르띠에·반클리프아펠·티파니앤코·불가리)를 모두 2층에 배치하는 파격 승부수를 뒀다. 일각의 우려도 있었지만, 이는 지난해 단일 유통 점포 중 사상 최초 3조원대 연매출(3조678억원) 기록이라는 결과로 돌아왔다. 이미 명성이 드높은 명품 브랜드는 2층으로 가더라도 소비자가 항상 몰린다. 이에 비해 명성이나 가격대가 낮지만, 그만큼 기대되는 신규 유입 효과도 큰 럭셔리 화장품은 1층에 배치했을 때 한층 효과적일 수 있다는 계산과 전략이 통한 것이다.
명품은 1층 아니어도 소비자 항상 몰려
현대백화점은 이보다 더 파격적인 전략이 주효했다. 여의도에 있는 더현대 서울은 2021년 2월 ‘에루샤’가 아예 입점하지 않은 서울 최대 규모 백화점으로 문을 열어 우려를 낳았다. 그럼에도 지난해에 역대 최단기간(개점 2년 9개월여 만) 연매출 1조원을 달성한 인기 백화점으로 자리 잡았다. 1층을 명품 브랜드로 가득 채우는 대신에 전시 등의 문화 공간, 네스프레소 등 리빙 매장으로 꾸미면서 스몰 럭셔리 취향의 소비자를 겨냥한 게 통했다는 평가다.
또 다양한 팝업스토어와 함께 식료품 매장 역시 유명 외식 브랜드와 프리미엄 식품 라인업으로 꾸려 MZ세대가 가성비(가격 대비 성능) 좋은 사치를 부릴 수 있는 ‘핫플(핫플레이스)’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했다. 식품관 매장 3분의 1 이상을 베이커리와 디저트 등 MZ세대의 스몰 럭셔리 취향으로 구성한 것도 그래서다. 정지영 현대백화점 대표는 “더현대 서울은 단순 쇼핑 공간에 머물던 백화점에 대한 인식을 깨고 오프라인의 재발견과 공간 경험 가치 극대화 같은 새 패러다임을 제시했다”고 자평하기도 했다.
이에 신세계 강남점도 올해 2월 국내 최대 규모의 디저트 전문관인 ‘스위트파크’를 열면서 스몰 럭셔리 맛집 강화에 힘쓰는 데 나섰다. 고급 디저트를 사먹기 위해 백화점에 가는 MZ세대를 또 한 번 정조준한 것이다. 이는 해외 유명 디저트 브랜드가 밀집한 명소로 입소문이 나면서 개관 한 달 만에 누적 방문객 140만 명을 기록하는 등 호응을 얻고 있다. 신세계백화점 관계자는 “스위트파크가 신세계 강남점 매출을 30% 넘게 끌어올리면서 전체 실적을 이끌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스몰 럭셔리의 인기가 당분간 이어지면서 백화점의 해당 수요 공략도 한층 가속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최철 숙명여대 소비자경제학과 교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으로 주변에 일상을 공유하는 것을 취미 삼는 MZ세대는 소비를 통해 자기 만족을 추구하는 경향이 강하다”며 “본인의 예산 허용 범위 안에서 접근 가능한 스몰 럭셔리에 상대적으로 집중, 주변에 과시하려는 소비 심리가 트렌드 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스몰 럭셔리에 소비하는 금액도 계속 모이면 커지는 만큼, 계획 대비 너무 무리한 지출은 지양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