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가이드] 물가와 부동산
물가 상승 어려운 상황 속 부동산 지키기
인플레이션 대비 자산 최적화해야 유리
하지만 현재의 물가 상승은 다소 심하고 지속적이라는 것을 모두가 느낄 수 있다. 예상치 못한 코로나 시기 미국을 포함은 대부분의 나라들이 생계를 위해 직접적으로 현금을 지급했다. 게다가 코로나 시기 가장 거대한 재산인 부동산 또한 우상향한 것도 인플레이션이라고 볼 수 있다. 시중에 풀린 현금만큼 물가 상승을 예측하긴 했지만 현실은 생각보다 훨씬 더 어렵게 다가오고 있다.
코로나 시기 이후 거의 모든 섹터의 물가가 오른 만큼 부동산 가격도 물가와 비슷한 폭으로 계속 상승해야 하는 것이 교과서적인 추론이지만 상황은 그렇지 않다. 입지 좋고 수요가 탄탄한 곳은 더 오르고 상대적으로 그렇지 못한 곳은 떨어지기도 한다. 코로나 시기에 비정상적으로 급격히 상승했던 매매가가 차츰 정상적인 인플레이션 속도로 맞춰지고 있다고 보는 것이 합리적인 해석이다. 즉 급격한 상승세가 멈춘 2022년 2분기부터 현재 2024년 2분기까지 약 2년 넘는 조정이 이뤄지고 있다.
조정된 인플레이션은 이제 자산의 끝판왕인 부동산을 움직일 준비를 마치고 있다. 떨어진 화폐가치만큼 부동산은 다시 우상향하게 될 것이고, 현금 보유보다는 부동산 등기를 두고 있는 것이 바로 인플레이션 해지(Hedge·대비)를 도와줄 것이다.
코로나 때를 빗대어 예를 들어보자. 100만 달러 현금을 저축하고 있는 사람과 100만 달러짜리 부동산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가정해 보자.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두 사람의 자산 가치는 벌어지게 됐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화폐 가치는 떨어졌고 부동산은 그냥 그대로 있었을 뿐인데 화폐 가치가 하락하며 값이 자연스럽게 올라가는 논리다.
결국 인플레이션을 방어하기 위해 얼마나 빨리 자산이 되는 재화 즉 부동산을 가지고 지키느냐에 따라 자본주의 틀 안에서 돈을 벌고, 레버리지를 활용하고, 절세도 할 수 있는 위치를 선점할 수 있는 결론에 다다른다. 고인플레이션 시기는 자산 시장에 돈이 몰린다는 것이 시장의 보통 원리다.
물론 이미 굉장한 수준으로 올라버린 미국 부동산값에 대한 회의적인 시선도 물론 존재한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대로 자산의 끝판 왕 부동산은 ‘물가가 오르면 집값도 오른다’는 공식에 크게 벗어나지 않을 고인플레이션 시대 속 최고의 해지수단이다.
▶문의: (424) 359-914
제이든 모 / EXP 부동산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