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美 우주 프로젝트 주역도 있다…'한국판 나사' 어벤저스 3인

한국판 ‘NASA’(미국항공우주국·나사)로 불리는 우주항공청(이하 우주청)을 이끌 초대 청장으로 윤영빈 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가 내정됐다. 우주청 차장에는 노경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을, 우주항공임무 본부장에는 존 리(John Lee) 전 NASA 본부장을 기용했다.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24일 오후 용산 청사 브리핑에서 다음 달 27일 공식 출범하는 우주청 고위직 3명의 인선을 발표했다. 지난 1월 9일 근거 법률인 ‘우주항공청법 제정안’이 국회를 통과한 뒤 첫 인선이다.

세 명 모두 우주항공 분야에서도 각각의 장점을 지닌 전문가들이다. 연구 정책 수립(노경원)-우주 핵심기술 개발(윤영빈)-우주산업 활용(존 리) 등의 분야에서 잔뼈가 굵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번 인선에 대해 “업계 최고 전문가들을 주요 직위에 내정한 만큼 우주청이 성공적으로 출범해 우리나라 우주항공 산업을 잘 이끌어 갈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해달라"고 당부했다.

우주항공청 초대 청장에 내정된 윤영빈 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왼쪽부터), 우주항공청 1급 우주항공임무본부장에 내정된 존 리 전 미국 항공우주국(NASA) 고위 임원, 우주항공청 차장에 내정된 노경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연구개발정책실장이 2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인사브리핑에 참석해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의 소개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윤 청장은 로켓 추진체 분야의 대표 연구자다. 차세대 로켓추진연구센터를 이끌면서 나로호 한국형 발사체 개발, 달 탐사 1단계 사업 등에 참여해 왔다. 이날 용산 대통령실을 방문한 윤 청장은 “우주항공청 설립은 우주 항공인들의 숙원 사업이었다”며 “단순한 정부 조직 신설이 아닌 대한민국 미래를 열어가고자 하는 이번 정부의 담대한 도전”이라고 말했다. 이어 “과거 미·소 간 우주 경쟁에서 뒤처진 미국이 1958년 NASA를 발족해 우주 개발에 박차를 가한 결과 우주 강대국으로 부상한 것처럼, 우리도 우주청 설립과 더불어 우주 개발의 새로운 출발을 시작하고자 한다”고 포부를 밝혔다.

노 차장은 연구개발 관련 정책 전문가다. 서울대 전자공학과를 졸업하고 행정고시 38회로 공직에 입문했다. 이후 미래창조과학부 창조경제기획국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프트웨어정책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지원단장 등을 역임했다. 성 실장은 노 차장에 대해 “기술에 대한 이해도와 행정 전문성 모두 갖춘 최고 전문가”라며 “연구개발정책실장을 우주항공청 차장으로 내정한 것은 우주청이 조기에 안정적으로 궤도에 오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계 미국인인 존 리 본부장은 우주 분야 전문가다. 미국 이민 1.5세대로, 1992년부터 NASA에서 근무를 시작해 고다드 우주비행센터 위성 통합관리본부장, 수석 어드바이저로 근무하며 미국 우주 프로젝트를 이끌었다. 성 실장은 “NASA와 백악관에서의 프로젝트 매니지먼트 경험, 국제적 고위급 네트워크로 프로젝트 중심인 임무 본부를 이끌어갈 최고의 적임자”라고 강조했다.

정부 직급으로 1급(차관보)인 존 리 본부장의 연봉은 차관급인 윤 청장(1억4000만원대)보다 1억 이상 많은 2억5000만원으로 책정됐다. 윤 대통령을 제외하면 공무원 중 가장 많다. 차관급은 정무직 공무원으로 기존 공무원 연봉 체계를 따라야 하지만, 우주청 내 1급부터는 특별법이 적용돼 연봉 상한선이 없다. 인재 영입을 위한 '허들 없애기' 차원에서 청장을 제외하면 외국인도 고용할 수 있는데, 존 리 본부장이 그 사례다. 주식 백지 신탁 의무도 제외된다. 정부 관계자는 “민간 전문가와 해외파 인재를 영입하는 데 걸림돌이었던 제약을 없애려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지난 3월 27일 오전 서울 용산 대통령실청사에서 의료 현안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우주청은 임무 조직과 기관운영 조직으로 나뉜다. 존 리 본부장이 이끄는 임무 조직은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하며 정책·연구개발(R&D)·비즈니스·국제협력 등의 임무를 수행한다. 특히 R&D 분야는 발사체·인공위성·우주과학탐사·첨단항공 부문 별로 임무를 발굴한다. 노 차장이 관장하는 기관 운영 조직은 인사·감사·홍보·기획조정·운영지원 등 행정 지원 업무를 수행한다. 우주청의 전체 조직은 300명 이내 인력으로 구성하되, 점차 늘려나가기로 했다. 올해 예산은 7200억원이 편성됐다.

우주청은 "우주 개발을 주도할 국가 컨트롤타워를 설립하겠다"는 윤 대통령의 공약에 따라 추진됐다. 윤 대통령은 2022년 11월 “광복 100주년인 2045년에 우리 힘으로 화성에 착륙할 것”이라는 비전을 골자로 하는 ‘미래 우주경제 로드맵’을 직접 발표했다. 이 로드맵에는 ▶향후 5년 안에 달을 향해 날아갈 수 있는 독자 발사체 엔진을 개발하고 ▶2032년 달에 착륙해 자원 채굴을 시작하겠다는 등의 정책 방향이 담겨있다. 정부 관계자는 “우주 개발에는 천문학적인 자금이 소요되지만, 첨단 기술 확보와 국내 경제적 측면에서도 파급효과가 매우 크다”며 “국가 안보 및 국제적 협력의 관점에서도 간과할 수 없는 영역”이라고 말했다.



현일훈.왕준열(hyun.ilhoon@joongang.co.kr)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