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넬대 의대 학장 역임 한인, 연구조작 논란
최명근 박사 패혈증 논문 관련
PETA, 잘못된 데이터 사용 이유
보건복지부에 조사 요청 서한
의학계 포럼에서도 의혹 제기

이번 논란은 동물보호단체 페타(이하 PETA)가 지난 2021년 국립보건원(이하 NIH)에 제기한 소송을 근거로 최 박사에 대한 연구비 지원 중단 요구와 연방 보건복지부에 조사 요청 서한을 발송하면서 불거졌다.
PETA에 따르면 최근 연방 보건복지부 산하 인간연구보호국(OHRP) 측에 생쥐를 이용한 최 박사의 패혈증 연구 중 최소 4건의 논문이 부정확한 데이터로 인해 수정됐다며 조사 요청 서한을 발송했다.
최 박사는 지난 2017~2022년까지 코넬대학교에서 첫 한인 의대 학장을 역임했던 인물이다.
PETA가 발송한 서한은 잘못된 데이터가 임상 시험의 근거로 사용되는 것을 막고 최 박사가 실험을 중단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PETA는 주장의 근거로 2002년 이후 최 박사의 패혈증 연구 논문 중 9건이 철회됐다는 점과 그중 1건은 학술지에서까지 철회 조치된 것을 언급했다. 학술지에서 논문이 철회된 것은 최 박사가 이전 실험 데이터를 사용했고, 다른 출판물의 이미지 등을 중복으로 사용한 사례가 발견됐다는 게 이유였다.
PETA의 캐서린 로 박사(신경과학자)는 “패혈증 임상 시험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임상 단계 전 동물에게 적용되는 전임상 연구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정확히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인간연구보호국은 최 박사의 연구 주장 등을 조사해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PETA가 서한을 발송한 인간연구보호국은 연구자들이 연방 정책에 따라 실험 및 연구 등을 수행하는지를 조사하고 위법 행위를 적발하는 기관이다.
연방 정부 기관에 최 박사에 대한 조사를 요청한 것은 PETA가 지난 2021년 NIH에 제기한 패혈증 실험 지원 자금 소송과도 관련돼있다.
PETA 측은 논문이 철회됐음에도 NIH가 최 박사에게 납세자의 세금으로 충당하는 연구 자금을 약 7700만 달러나 지원해왔다고 주장했다.
현재 최 박사의 연구 결과 위조 논란은 의학계에서도 논란이 되고 있다. 의학계 관계자들은 각종 논문을 다루는 온라인 포럼인 ‘펍 피어(Pub Peer)’에서도 최 박사의 논문 등을 두고 연구 결과 조작 등의 의혹을 제기하는 댓글들이 달리고 있다.
최 박사는 이번 논란과 관련, 일체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본지는 최 박사에게 이번 연구 조작 의혹과 관련한 입장을 묻는 이메일을 보냈지만, 10일 현재 아무런 답변을 받지 못하고 있다.
코넬대학교 학교 신문인 ‘코넬 데일리 선’도 최 박사에 대한 논란을 보도하면서 “만약 연구 부정행위 혐의가 사실로 밝혀질 경우 최 박사는 연방 차원의 형사 고발과 함께 벌금, 지원금 중단, 징역형 등의 처벌을 받을 수 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코넬대학교 연구 조사 부서(ORIA)는 지난 2020년에 조사를 시행했지만, 최 박사의 연구 부정행위는 없었다는 주장이다. 단, ORIA는 최근 불거진 최 박사의 혐의 및 논란 등에 대해서는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다.
PETA의 로 박사는 “대학 기관에서의 조사는 엄격하게 시행되지 않는다”며 “그래서 우리가 연방 기관에 직접 조사를 요청하는 서한을 보낸 것”이라고 전했다.
한편, 최명근 박사는 중학교 1학년 때 부모를 따라 이민 온 1.5세다. 루이빌 의대를 나와 존스 홉킨스, 예일, 하버드 의대 교수 등을 지낸 세계적인 의과학자다.
장열 기자ㆍ[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