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건설 워크아웃' 초읽기…“채권단 상당수 찬성으로 무게"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에 따르면 11일 열린 1차 채권자협의회에서 609곳의 채권자 투표(서면결의)로 워크아웃을 결정한다. 신용공여액 기준으로 채권자의 75% 이상이 ‘찬성표’를 던진 경우다. 익명을 요구한 채권단 관계자는 “주요 채권단은 물론 (채권자의 상당수 비중을 차지하는) 2금융권도 워크아웃 찬성으로 무게가 실렸다”며 “워크아웃 가결이 유력하다”고 말했다. 산은은 채권자가 11일 자정까지 투표할 수 있는 만큼 정확한 투표율은 이르면 12일 오전에 나올 것으로 예상했다.
워크아웃이 개시되면 태영건설에 대한 금융채권은 석달간(한 달 연장 가능) 유예된다.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에 따르면 4월 11일까지 태영건설 실사를 거쳐 워크아웃 첫 단추인 기업개선계획을 마련한다. 또 다른 채권단 관계자는 “기업 재무구조부터 PF 사업장의 우발채무 가능성, 자구계획에 제시한 담보물(지분 등) 가치 등을 꼼꼼하게 들여다보는 실사를 거쳐 기업개선계획을 마련한다”고 말했다.
기업개선계획은 채권단 주도로 부실사업장 정리, 인력 구조조정 등 기업을 살려내는 정상화 방안이다. 워크아웃 문이 열리더라도 채권자간이해 상충 가능성 등 여러 난관이 나타날 수 있다. 특히 건설사 워크아웃은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마다 대주단이 다르기 때문에 대주단과 건설사에 직접 돈을 댄 금융사(산은 등 주채권단)와 갈등을 빚을 수 있다. 또 태영은 채권단이 실사 후 ‘정상화방안’을 마련하는 동안 태영건설의 운영자금을 확보해야 한다. 이때 금융채무는 동결되지만, 자금 수혈(신규자금)은 어렵기 때문이다. 금융투자업계에선 태영이 기존 자구계획만 제대로 이행하면 1조5000억~1조6000억원 상당의 자금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한다.
이은형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꼼꼼한 기업 실사를 거쳐 기업개선계획을 마련하는 게 워크아웃의 핵심”이라며 “이런 구조조정으로 사업장이 정상화돼야 (태영건설은) 채무를 털고, 워크아웃을 졸업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태영건설은 부동산 PF 우발채무를 감당하지 못해 지난달 28일 워크아웃을 신청했다. 태영건설의 PF 관련 보증채무는 3조7000억원에 이른다. 태영건설은 우여곡절 끝에 워크아웃 문고리를 잡았다. 워크아웃 신청 초반 금융당국ㆍ채권단은 태영건설 자구안에 대해 ‘뼈를 깎는 자구안이 아닌, 남의 뼈만 깎고 있다’고 혹평했다. 대통령실까지 나서 ‘자구이행’을 압박하면서 법정관리(기업회생절차) 우려가 짙어졌다. 냉랭했던 채권단 분위기가 달라진 것은 태영그룹이 지난 9일 채권단 요구를 모두 수용한 ‘기존 자구책+알파(α)’를 내놓으면서다. 유동성 위기엔 대주주의 TY홀딩스 지분과 TY홀딩스가 보유한 SBS 지분을 담보로 현금 확보에 나서겠다는 게 추가자구안의 줄기다. 워크아웃 신청 당시 내놨던 기존 네 가지 자구안(태영인더스트리 매각대금 1549억원 지원 등)도 9일 이사회를 거쳐 확약했다.
염지현(yjh@joongang.co.kr)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