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안보공백·고령 리스크 우려?…백악관 '오스틴 실종' 진화 총력

미국 역사상 최고령인 81세 조 바이든 대통령이 ‘깜깜이 입원’과 이에 따른 안보 공백 논란에 휩싸인 70세 국방장관에 대한 경질 요구에 선을 그었다. 본격적인 대선 레이스가 시작되기 전에 논란이 복잡한 양상으로 확산될 가능성을 차단하려는 시도란 해석이 나온다.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 오스틴 장관은 지난 1일 수술 합병증으로 추정되는 통증으로 중환자실에 입원했지만, 이를 백악관에 보고하지 않으면서 '안보 공백'과 관련한 논란의 중심에 섰다. 조 바이든 대통령은 부정적 여론이 확대됐음에도 8일(현지 시간) 오스틴 장관에 대한 경질 요구에 명확하게 선을 그었다. 연합뉴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8일(현지 시간) 사우스캐롤라이나로 이동하는 비행기 내에서 진행한 브리핑에서 “대통령의 최우선 관심사는 오스틴 장관의 건강 회복”이라며 “오스틴 장관이 자리를 지키고 지금까지 보여준 리더십을 계속 발휘하는 것 외에 다른 계획은 없다는 것은 분명하다”고 말했다.

커비 조정관은 이어 “대통령은 오스틴 장관이 투명성 부족에 대해 주인 의식을 갖고 대처한 점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며 이른바 ‘국방장관 실종’ 논란보다는 이를 인정하고 재발방지를 약속한 오스틴 장관의 사후 대처에 의미를 뒀다.

브리핑에 함께 참석한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도 “대통령이 오스틴 장관에 대한 전폭적인 신뢰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다시 한 번 말씀드린다”며 “대통령이 토요일(6일) 오스틴 장관과 통화해 좋은 대화를 나눴다”고 말했다.



‘세계의 경찰’로 불리는 미군을 총괄하는 오스틴 장관은 군 통수권자인 대통령에게도 알리지 않은 채 수술과 입원을 위해 자리를 비운 사실이 뒤늦게 확인되면서 논란의 중심에 섰다. 특히 이스라엘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 긴박한 안보 상황에도 불구하고 바이든 대통령마저 최소 나흘간 국방장관이 사라졌다는 사실조차 몰랐던 것으로 드러나면서 논란은 눈덩이처럼 불어났다.

미 국방부에 따르면 오스틴 장관은 지난달 22일 ‘미상의 병’으로 수술을 받고 다음날 퇴원했다. 그러다 지난 1일 오후 합병증으로 추정되는 심한 통증으로 중환자실에 입원한 뒤 이날까지 8일째 퇴원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10월 백악관에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주재한 회의에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왼쪽)과 로이드 오스틴 국방장관(오른쪽)이 나란히 참석해 있다. 연합뉴스
오스틴 장관은 이 과정에서 입원 사실을 백악관에 알리지 않았고, 심지어 업무를 대행해야 할 캐서린 힉스 국방부 부장관은 해외에서 휴가를 보내느라 초유의 군 지휘부의 공백 사태가 발생했다. 미국은 정부 기관의 업무 공백이 발생할 경우 이를 감사원장과 의회 상·하원에 보고할 것을 법으로 강제하고 있어, 오스틴 장관의 이번 행동은 실정법 위반에 해당될 가능성도 있다.

이를 놓고 야당인 공화당은 물론 여당인 민주당 내에서도 비판이 이어졌다.

공화당 유력 대선주자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에 “오스틴 장관은 부적절한 업무 행위와 직무 유기로 즉각 경질돼야 한다”며 “그는 1주일간 실종상태였는데도 상관인 부패한 조 바이든을 포함해 누구도 그가 어디 있었는지 몰랐다”고 비판했다. 미 하원 마이크 로저스 의원(공화당)과 아담 스미스 의원(민주당)도 “가능한 빨리 추가 세부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내용의 성명을 내고 의회 차원의 초당적 조사를 예고한 상태다.

백악관은 해당 사실이 언론 보도를 통해 알려졌을 때만 해도 일단 침묵 기조로 일관했다. 그러나 백악관 내부에서 바이든 대통령이 오스틴 장관의 보고 누락 등에 대해 크게 화를 냈다는 확인되지 않은 보도가 이어지는 등 부정적 여론이 급속하게 확대됐고, 결국 주말 내내 침묵했던 백악관은 월요일 오전부터 공식 창구를 총동원해 적극적인 수습 모드로 전환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트럼프 전 대통령은 오스틴 장관의 이른바 '깜깜이 입원' 논란과 관련 바이든 행정부를 향해 국방장관의 경질을 요구했다. 연합뉴스
일각에선 백악관이 여론 수습을 위한 총력전에 나선 배경엔 이번 사태가 안보 공백에 따른 책임 공방을 넘어, 자칫 오는 11월 대선의 핵심 이슈가 된 바이든 대통령을 둘러싼 나이와 관련한 부정 여론을 증폭하는 계기가 될 가능성을 차단하려는 의도도 내포돼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한·미연합사 작전참모를 지낸 데이비드 맥스웰 아시아·태평양센터 부대표는 이날 중앙일보와의 인터뷰에서 “현재의 안보는 대통령이 매일 국방 장관과 소통해야 할 정도의 시급한 상황인데도 며칠 간 백악관이 국방장관의 부재 사실조차 몰랐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라며 “국방장관이 건강 문제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기간이 있었다는 사실은 물론, 백악관이 이를 알지 못했다는 것은 결코 발생해선 안 되는 일”이라고 평가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을 방문해 남북전쟁을 상기시키며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을 맹비난했다. 바이든 대통령이 방문한 이매뉴얼 교회에선 지난 2015년 예배 중 백인우월주의자의 총기 난사로 9명이 숨진 곳이다. 연합뉴스
그는 이어 “오스틴 장관의 건강 문제 자체는 아직 시간이 남아 있는 11월 대선 국면에선 대부분 잊혀지는 이슈가 되면서 대선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는 어려울 것”이라면서도 “다만 여러 계기를 통해 민주당과 공화당의 최종 대선 후보가 누가 되더라도 후보자의 연령과 건강 문제는 이번 사건 등을 계기로 다시 한 번 핵심 정치적 이슈가 될 가능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부연했다.



강태화(thkang@joongang.co.kr)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