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짝퉁차 굴욕 벗었다…품질 잡은 中전기차, 테슬라 꺾고 질주

미국 테슬라가 중국의 전기차 업체 비야디(BYD)에 사상 처음으로 전 세계 분기별 전기차 판매 1위 자리를 내줬다. 10여 년 전만 해도 싸기만 한 ‘짝퉁 차’ 취급을 받던 중국 차가 거대한 전기차 내수 시장을 바탕으로 빠르게 성장하면서 이젠 가격 뿐 아니라 품질도 잡았다는 평가까지 나온다. ‘전기차 굴기’에 힘 입은 중국의 자동차 수출도 쾌속 질주하고 있다.


중국 전기차 생산기업 1위인 비야디(BYD)가 노르웨이에 수출할 차량을 선적하고 있다. 사진 바이두 캡처
전기차 패권, 中이 꽉 쥐었다
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CNN 등에 따르면 테슬라는 생산판매 보고서에서 지난해 4분기 약 48만4507대의 전기차를 팔았다. 이는 BYD의 지난해 4분기 판매량(52만5409대)보다 약 4만대 적은 수치다. 테슬라가 전기차 판매 실적 1위에서 밀려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은 ‘세계 최대 자동차 수출국’이라는 타이틀도 곧 거머쥘 것으로 보인다. 2021년만 해도 수출 6위였던 중국은 2023년 집계에서 1위에 오를 가능성이 크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CAAM)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중국의 자동차 수출량은 441만2000대. 전통의 차 수출 강국인인 일본의 지난해 판매량(430만대)을 이미 11월에 추월했다.

게다가 독일 폭스바겐도 이젠 유럽에서 판매할 전기차를 중국 내 공장에서 만든다. 이에 대해 뉴욕타임스는 지난 12월 30일 기사에서 “폭스바겐의 ‘중국에서, 중국을 위해(In China, for China)’라는 새로운 전략은 중국이 전기차 분야에서 압도적인 우위에 있음을 보여주는 또 다른 신호”라고 평가했다.


박경민 기자
차준홍 기자
달라진 ‘Made in china’
업계에선 이제 중국차가 ‘가격만 싼 자동차’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품질도 인정받기 시작했다고 본다. 지난 12월 중국 BYD가 60년 전통을 자랑하는 ‘유럽 올해의 차’ 최종 후보에 처음으로 오른 사실은 상징적이다. BYD의 중형 전기 세단 실을 비롯해 최종에 오른 BMW의 5시리즈, 기아 EV9, 푸조 3008, 르노 시닉, 볼보 EX30, 도요타 C-HR 등 7대 중 마지막 한 대는 올 2월 선정된다.

이러한 중국 전기차의 폭발적인 성장 뒤엔 국가 역량을 총동원한 전폭적 지원, 공급망‧기술 경쟁력 강화, 탄탄한 내수 시장이라는 3박자 시스템이 있다. 고질적인 대기 오염에 시달리던 중국은 지난 2010년부터 10년 동안 전기차 연구개발에 1000억위안(당시 약 17조원)을 쏟아 붓는다고 밝혔으며 이후 배터리와 소재·부품까지 중국 내 ‘전기차 제조 생태계’를 키우기 위해 업체들에 막대한 보조금과 세제 혜택을 제공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지난달 뉴욕타임스 딜북 콘퍼런스에서 "중국 자동차 기업이 세계 10대 자동차 기업 중 9곳이 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며 "그들이 틀리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중앙포토
“서방의 중국 전기차 불안, 문제 키웠다”
다만 미국과의 무역 전쟁은 중국 전기차 질주의 장애물로 꼽힌다. 미국은 현재 중국산 전기차에 27.5%의 관세를 부과한다. 때문에 중국 전기차들의 미국 진출이 상대적으로 제한됐다.

이에 더해 미국 에너지부는 지난 1일 발표에서 올해 인플레이션감축법(IRA) 혜택 적용 차종이 지난해 말(43개)보다 대폭 줄어든 19개 차종이라고 알렸다. 중국산 배터리 부품을 쓰는 전기차를 보조금 대상에서 완전히 배제한 것. 미국은 대선을 앞두고 중국산 전기차에 대한 견제를 강화하고 있다. 실제로 WSJ는 지난달 관계자를 인용해 중국 전기차 관세 인상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하기도 했다.

다만 중국 전기차에 대한 서방의 불안감이 문제를 더 키울 수 있다는 경고도 나온다. WSJ는 “전기차 공급망을 구축하고 국내 제조업체에 시간을 벌어주기 위해 전기차로의 전환을 늦추다보면 그 사이에 중국 전기차는 보조금 넉넉한 내수 시장과 신흥국으로 수출에 힘입어 더 앞서갈 것”이라고 꼬집었다.



김수민(kim.sumin2@joongang.co.kr)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