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 후 기준금리 관리 '플로어시스템' 폐기 압력"
WSJ "과잉 유동성 사라져 제도 위협 받아"
WSJ "과잉 유동성 사라져 제도 위협 받아"
(서울=연합뉴스) 이봉석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등 중앙은행들이 2008년 금융 위기 이후 써온 기준금리 관리 방식인 '플로어 시스템'(floor system)이 폐기 압력에 놓였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중앙은행들은 금융 위기 이후 돈을 찍어낸 뒤 채권을 사들여 시중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양적 완화'(QE) 정책을 썼다.
이와 함께 지급준비금에 대해 목표금리와 같은 수준의 이자를 은행들에 지급했다. 기준금리를 목표 범위에 두기 위한 것으로, 이것이 바로 플로어 시스템이다.
유로존에서는 금리가 마이너스(-)일 때 이자를 받았다.
하지만 과잉 유동성이 사라지면서 이 제도는 위협을 받고 있다.
지난해 이후 서구 중앙은행들은 대차대조표를 축소(보유자산 감축)하고 있다.
시중 은행들은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대출을 갚았고 채권 포트폴리오는 만기가 허용됐다.
연준과 유럽중앙은행(ECB), 영국 중앙은행인 잉글랜드은행(BOE), 캐나다은행 등은 더 나아가 자산을 적극적으로 팔고 있다. 이른바 양적 긴축(QT)이다.
플로어 시스템 폐기를 가장 앞장서서 주장하는 인물은 클라우디오 보리오 국제결제은행(BIS) 통화경제국장이다.
보리오 국장은 올해 초 "개인적으로 매력적이라고 생각하는 원칙은 (중앙은행의) 대차대조표가 가능한 한 작아야 한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중앙은행들도 조심스러운 모습이긴 하지만 준비금이 적은 과거의 상태로 돌아가는 쪽에 다가서고 있다.
연준의 국채·주택저당증권(MBS) 보유 계정 관리 부서인 소마(SOMA·System Open Market Account)의 로베르토 펄리 책임자는 지난 10월 준비금이 넘치는 시스템에서 풍부한 시스템으로 전환에 대해 언급했다.
하지만, 문제는 최근 규제 강화로 은행들이 안전하고 유동성이 큰 자산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추가 대출 자금을 확보해야 한다는 점이다.
반면에 유동성을 공급할 수 있는 민간 주체는 줄었다.
이에 '고장 나지 않았다면 고치지 말라'는 격언처럼 현 시스템을 유지해야 한다는 투자자들의 목소리도 작지 않다.
anfour@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이봉석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